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5%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5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노년기 여성의 연령집단별 생활체육 현황 분석을 토대로 참여 확대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18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의 50세이상 여성의 원자료이다. 노년기 연령을 50세이상으로 설정한 이유는 선진국 노인체육과 우리나라 고령사회 정책의 대상 연령이 50세부터 접근되는 경향을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이 조사는 전국 만 10세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다단계층화 집락추출 후 가구방문에 의한 1:1 면접조사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변량분석이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 참여 실태 분석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참여율과 참여정도가 감소해 적정 수준의 참여 유인을 위한 체육활동 참여 가이드라인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체육활동 비용부담이 적고 근거리에서 참여 가능한 종목과 체육시설을 선호하고 있어 관련 정책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 동반자와 사회화 주관자로 친구와 가족/친지의 영향력이 비교적 크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지역주민과의 참여 동반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때문에 주요 참여 동반자와 사회화 주관자를 활용한 홍보와 유인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확대를 위해 시간증가, 건강상태 개선, 소득수준 증가 등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건강상태 개선 요구가 높았다. 그러므로 일상에서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 않고 참여할 수 있는 정책이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건강문제로 인한 참여 제약 최소화를 위해 의료기관과 연계해 맞춤형 운동처방을 제공하는 국민체력100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of sport-for-all of the elderly females and to provide the ways of promoting their participation. The object of investigation are over 50 year old females from a national survey on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 Korea in 2018. The survey is carried out by one to one interview to over 10 year old Korean people who were selected by stratified multi-stage cluster sampling. The statistical methods are frequency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ANOV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sport-for-all participation shows that the rate and degree of participation are decreased with age. Therefore, the guide line of sport activity should be provided for participation inducement. In addition, the elderly tend to prefer a low sport activity cost and easily possible sport items in near sport facilities. So, the related policy needs to be extended. Second, the family and close friends wield influence to the elderly as the sport-for-all socializer and participation companions. And they have an higher participation rate of accompanying with local residents with age, so the promotion for expanding influences of socializer and the incentive plans of sport-for-all participation with companion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hey need more leisure time, health condition improvement, and growth of income level for their sport activity. And more old they have a higher need of health condition improvement. Therefore, the participation promotion policy that the elderly females can participate in sport-for-all without much money and time should be extended. Also, Korea national fitness award 100 program that provide customized exercise prescriptions should be expanded to prevent the participation restric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노년기 여성의 연령집단별 생활체육 참여 현황
Ⅳ. 노년기 여성의 연령집단별 생활체육 참여 확대 방안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692-000890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