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n the City Squares in Seoul - Focused on Grand Public Place -

서울 소재 도시광장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 중심 대 광장을 대상으로 -

  • Received : 2011.12.19
  • Accepted : 2012.05.17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City squares are public open spac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peoples daily lives. Most squares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ity, and they are usually used for community gatherings and they are suitable for open markets, music concerts, political rallies, and other events. City squares also play an important role as a grand public place operating in multi functions that require involvement of more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atisfaction on the spatial components, characteristics, and the user satisfaction in City Squares. The slady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about spatial components, characteristics and it also shows that the user satisfaction is followed. This study sites are made in 3 grand public places in the center of Seoul including the Seoul plaza, Cheonggye Plaza, and Gwanghwarnun Square. Data were analyzed using several statistical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ctor analysis carried out to extract the various factors of satisfaction on the sites; spatial components, usability, amenity/security, and spatial characteristics. User satisfaction concerning usability factor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of the other factors. This result represented that the slady sites play an important role to the public open spaces in the city. Second, users showed high user satisfaction to study sites, and user satisfaction rate toward the Gwanghwarnun Square is the highest because of its facility planuing. Finally, user satisfactim was strongly correlated on the usability factor of spatial planning. Also,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user satisfaction and the other factors such as spatial components, security,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patial planning are presented.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guide the planning and management of the city square as a public open spa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us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도시광장은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도시의 대표적인 공공 오픈 스페이스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도시광장은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시민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여가 문화 활동, 오픈 마켓, 정치적 집회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최근 우리나라에 공공 오픈 스페이스로 조성된 도시광장은 도시민들의 요구에 의한 중심 대 광장 유형의 광장으로 볼 수 있으며, 여러 가지 특징을 갖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에 중심 대 광장의 유형으로 보여지는 광화문 광장, 서울 광장, 청계 광장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고, 광장의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여 분석하고, 공간 이용 만족도를 조사하여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와의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각각의 광장에서 수집한 설문조사 결과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일원배 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도시광장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요인분석한 결과, 구성요소, 이용성, 쾌적성/안전성, 공간특성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용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요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구 대상지가 오픈 스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광장의 이용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으며, 특히, 다양한 구성요소가 조성되어 있는 광화문 광장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시광장의 공간 이용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나머지 요인들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광장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만족사항을 반영하여, 도시 오픈 스페이스의 역할을 하는 도시광장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일조할 것이라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4) 도시계획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 기준에 관한 규칙.
  2. 김대현(2001) 도시광장 만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건물 전면 통로형 광장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3(1) : 17-22.
  3. 김석태(1985) 서울 도심미관광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선영 (2009) 공공 공간으로 본 도시형 오픈 스페이스와 광장디자인 : 청계천, 예술의 전당, 쌈지길, 오모테산도 힐스, 롯본기 힐스, 예르바 부에나 센터 디자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22 : 47-58.
  5. 김정윤(2006) 서울 다이나믹스 : 청계천 시점부 광장 설계. 한국조경학회지 34(1) : 92-106
  6. 김현경, 김학신(2005)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이 시민 만족도와 구전의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4) : 553-564.
  7. 남호현, 민상충(2008) 중세광장의 공간결정요소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7(4) : 83-95.
  8. 성동규, 김성희(2005) 서울 광장 이용에 대한 시민 만족도 및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시민광장과 문화광장으로서의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 도시연구 6(4) : 191-215
  9. 이민우, 안세헌, 조경진(2003) 서울시청 앞 광장 조성 계획. 한국조경학회지 31(3) : 34-45.
  10. 이영경(1994) 광장설계지침과 진화이론을 이용한 광장선호분석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2(3) : 13-27.
  11. 임혜진, 유승훈, 곽승준(2005) 서울광장 조성에 대한 서울시민의 지불의사액 추정. 서울도시연구 6(2) : 39-55.
  12. 장태현(1996) 현대도시광장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4(3) : 164-188.
  13. 정승희, 김현중(2009) 도시 공간 오픈 스페이스의 영역성 디자인 표현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4) : 507-519.
  14. 조혜경, 이영근(1996) 도시광장의 특성 연구 : 물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지역개발논총 8 : 309-327.
  15. Arefi, M. and W. Meyers(2003) What is public about public space : The case of Visakhaptnam, India. Cities 5 : 331-339.
  16. Brander, L. M. and M. J. Koetse(2011) The value of urban open space : Meta-analyses of contingent valuation and hedonicpricing result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2(10) : 2763-2773. https://doi.org/10.1016/j.jenvman.2011.06.019
  17. Burgess, J. , C. M. Harrison and M. Limb(1988) People, parksand urbangreen : a study of popular meaning and values for opens spaces inthecity. Urban Studies 25 : 455-473. https://doi.org/10.1080/00420988820080631
  18. Chidister, M. (1986) The effect of the context on the use of urban plaza. Landscape Journal 5(2) : 115-127. https://doi.org/10.3368/lj.5.2.115
  19. Francis, M. (1989) Control as a dimension of public-spacequality, In Irwin Altmanand Ervin H. Zube. Eds. Public Places ad Spaces. New York and London. Plenum Press. pp. 147-172.
  20. Grahn, P. and U. K. Stigsdotter(2010)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ensory dimensions of urban green space and stress restor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4(3-4) : 264-275.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9.10.012
  21. Lee, Y. K. , D. W. Lee and C. K. Lee (2003) The impact of perceived festival environmental cues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 the caseof Suanbo Spafestival.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7(1) : 85-104.
  22. Marcus, C. C. and C. Francis(1997) Peopleplaces : Design Guidelines for Urban Open Spaces. New York : John Wiley & Sons.
  23. Maruani, T. and I. Amit-Cohen(2007) Open space planning models : A review of approaches and methods. Landscapeand Urban Planning 81 : 1-3.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7.01.003
  24. Pasaogullari, N. and N. Doratli(2004) Measuring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publics pacesin Famagusta. Cities 21(3) : 225-232. https://doi.org/10.1016/j.cities.2004.03.003
  25. Sirakaya, E. , J. Petrick and H. Choi(2004) The role of mood on tourism product evalua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31(3) : 517-539. https://doi.org/10.1016/j.annals.2004.01.009
  26. http://plaza.seoul.go.kr
  27. http://square.sisul.or.kr
  28. http://www.cheonggyecheo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