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1997년부터 2014년까지 18년간 우리나라 남해안의 278개 정점에서 하계(8월)에 관측된 수온 및 염분자료(http://www.meis.go.kr)를 이용하여 수괴 분포와 그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기간 중 표층의 평균수온은 다소 상승하는 추세를 나타낸 반면, 저층의 평균수온은 전체적으로는 하강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또한 한국남해 연안 수가 그 세력을 확장하여 외해를 흐르는 고온의 쓰시마난류수계와의 사이에 대략 25 oC를 전후한 수온전선을 형성하는 모습이 자주 출현하였다. 반면, 염분은 표층과 저층 모두 전반적으로 해가 갈수록 점차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S diagram에 의한 수괴분석결과, 표층수는 고온·저염으로, 저온·고염의 저층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았다. 그러나 해에 따라서는 표층수와 저층수간에는 성층이 강화되거나 혼합(mixing)이 증가하였다. 클러스터 분석에 의한 수괴분포의 검토 결과, 표층의 경우, 연안역은 외양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온·저염의 경우가 많았다. 또한, 해에 따라서는 연안역과 외 양역 사이에 뚜렷하지는 않으나 밀도전선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저층의 경우는, 연안역은 저온·저염수가, 외양역은 저온·고염수가 출현하는 경우가 우세하였다. 또한, 조사기간 동안 남해안 서부해역과 제주해협 사이, 중부 연안역과 외양역 사이, 동부해역 등에서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3-4개의 수괴가 출현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appearing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in summer. For our study, we used the data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that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and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KOEM) gathered from 1997 to 2014. During the period of the investigation, the surface mean water temperature had a tendency to increase while the bottom one had a tendency to decrease. On the contrary, the mean salinity tended to gradually increase at both of the surface and bottom layers. T-S diagrams proved that the surface water had high temperature and low salinity, compared to the bottom water of low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However, stratification or mixing was found between the surface and bottom layers in accordance with years. The results of a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urface coastal areas often appeared to be low temperature and low salinity compared to the outer seas. In addition, in some years, thermohaline fronts were established between the coastal areas and the outer seas even though they were not significant. On the contrary, the bottom coastal areas often appeared to be low temperature and low salinity while the outer seas appeared to be low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Consequently, we could notice that three or four water masses almost regularly appeared between the western part and Jeju Strait, the middle coastal areas and the outer seas, and the eastern part of the southern coastal waters in summer.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자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및 향후과제
References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