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Highschool Students' Misconception Textbooks Related to the Declination

편각과 관련된 고등학생들의 오개념 및 교과서 분석

  • Lee, Gyu-H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규호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Received : 2011.07.11
  • Accepted : 2011.10.18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declination is an important concept because it is the underlying concept to understand the plate tectonics and also is used to decide one's location by using the compass and the map in real life. So this study surveys the description of declination being used in six of the seventh curriculum earth science II textbooks followed by the investigation of the possible of misconceptions that the highschool students might have. Utilizing an inventory of key concept,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misconceptions of high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isconceptions and textbooks. As a result, highschool students possess some misconceptions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north pole which is caused by a lack of explanation about declination and by a wrong illustrat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detailed explanations of declination with non-dipole effect and precise illustrations be provided in the textbook for students th have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declination.

편각은 판구조론 이해의 바탕이 되는 개념이며 실생활에서 지도와 나침반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할 때도 쓰이는 중요한 개념이다. 이에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6종의 지구과학 II 교과서에서 편각에 대한 설명이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고등학생들이 오개념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개념 검사지를 통해 실제로 나타나고 있는 고등학생들의 오개념을 확인하고 교과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고등학생들은 특히 자북극과 관련하여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이는 교과서의 편각에 대한 설명 부족과 함께 잘못된 삽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편각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비쌍극자 효과를 추가한 편각의 설명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삽화의 제시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재복, 윤일희, 이경훈, 김기룡, 황원기, 이기영, 2002, 고등학교 지구과학 II.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서울, 347 p.
  2. 고인배, 강영봉, 강동식, 2003, 교과서 삽화를 활용한 중학생의 힘과 운동 개념 변화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백록논총, 5, 69-90.
  3. 교육과정교과서정보서비스, http://cutis.mest.go.kr/ (검색일:2011. 8. 8)
  4. 교육인적자원부, 1997,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6. 과학-.교육인적자원부, 서울, 244 p.
  5. 국동식, 2002, 온실효과에 대한 고등학교 공통과학교과서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3, 455-460.
  6. 권재술, 김범기 편저, 1993, 과학 오개념 편람. 한국교원대학교 물리교육연구실, 청주, 425 p.
  7. 김문수, 정영란, 1997, 확산과 삼투 개념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오개념의 원인으로서의 교과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 191-200.
  8. 김찬종, 이조옥, 1996, 달의 위상 변화와 빛에 대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사이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17, 8-21.
  9. 김희수, 정남식, 신동원, 박정웅, 이정식, 한홍열, 박용선, 2002, 고등학교 지구과학 II. (주)천재교육, 서울, 367 p.
  10. 민경덕, 서정희, 권병두, 1987, 응용지구물리학. 우성문화사, 서울, 772 p.
  11. 박종석, 조희형, 1986, 고등학생들의 유전에 대한 오인의 확인 및 유전학 지도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 35-42.
  12. 변재성, 정재구, 문병찬, 정진우, 2004,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회지, 25, 519-531.
  13. 부덕현, 홍승호, 2008, '바람'의 개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도와 오개념 유형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2, 67-82.
  14. 오준영, 김상수, 강용희, 2007, 예비 중등교사들의 방사성 동위원소에 대한 대안개념의 구조와 개념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8, 775-788. https://doi.org/10.5467/JKESS.2007.28.7.775
  15. 오준영, 채동현, 2004, 별에 대한 초등교사와 초등학생들의 핵심 신념 비교. 중등교육연구, 52, 427-452.
  16. 우종옥, 정진우, 위수민, 임청환, 홍성일, 이석형, 2002, 고등학교 지구과학 II. 교학사, 서울, 303 p.
  17. 이규석, 이창진, 김정률, 이용준, 강진철, 김재현, 2002, 고등학교 지구과학 II. 대한교과서, 서울, 351 p.
  18. 이면우, 2001,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이해. 과학교육연구, 24, 55-68.
  19. 이문원, 전성용, 권석민, 진만식, 신석주, 임부철, 2002, 고등학교 지구과학 II. 금성출판사, 서울, 391 p.
  20. 이재응, 김상달, 김종희, 2003, 지구의 복사평형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오개념 유형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003년 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p. 185.
  21. 장명덕, 정철, 정진우, 2001, 계절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과 개념 변화 양상. 한국지구과학회지, 22, 268- 277.
  22. 전인영, 국동식, 1998, 구름 생성에 대한 중.고등학생의 오개념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9, 269-275.
  23. 정완호, 1997, 고등학생들의 생물 오개념 처치를 위한 수업 모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 333-343.
  24. 정진우, 1991, 중학교 학생들의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오개념 형성 원인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2, 304-322.
  25. 조정일, 1993, 과학 오개념의 생성 원인. 아동의 기본과학개념에 관한 학술 세미나, 한국교원대 과학교육연구소, 5-19.
  26. 채동현, 1996, 달 위상 변화의 원인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5, 45-55.
  27. 최경희, 장현숙, 2003, 중학생들의 자기 관련 오개념 조사. 새물리, 47, 207-217.
  28. 최승일, 조희형, 1987, 고등학교 생물 I의 세포분열, 생식, 수정개념에 대한 오인 분석. 한구과학교육학회지, 7, 1-17.
  29. 한국지구과학회, 1998,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서울, 818 p.
  30. 허창희, 박병훈, 정성표, 김병국, 2002, 고등학교 지구과학 II. 지학사, 서울, 335 p.
  31. Geological Survey of Canada, http://gsc.nrcan.gc.ca/geomag/field/arctics_e.php (검색일: 2011. 7. 11)
  32. McElhinny, M.W., 1973, Paleomagnetism and plate tecton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UK, 368 p.

Cited by

  1. Teachers' Understanding of Declination and Its Explanation Presented in the Earth Science II Textbook vol.35, pp.7, 201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7.585
  2. An Analysis of Concept Description and Model and Student Understanding About Ionic Compound in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vol.60, pp.5, 2016, https://doi.org/10.5012/jkcs.2016.60.5.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