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n the Child Caregiver's Job Satisfaction from Characteristics of Work and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과 대인관계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김나원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고재욱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4.29
  • Accepted : 2016.05.17
  • Published : 2016.06.28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impact on the Child Caregiver's Job Satisfaction from Characteristics of Work and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rovide them with basic data to increase the Child Caregiver's Job Satisfac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giver service business. We was conducted among our surveys the Child Caregivers 114 of S metropolitan city. Key study outcome is as follows. : First, the sociology of population by the Visual Characteristic on Job Satisfaction of the Child Caregiver was showing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Some had no effect. Second, Child Caregiver's Characteristic of Work and Interpersonal Relationalship Characteristics, formerly the (+)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is analyzed. Third, the estimated result of the regression model Characteristics of Work have to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import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nd were shown to. In conclusion, co-worker relationships, relationships of the family to receve child care service, relationships of the children to receve child care service, there is a greater Job Satisfaction to be associated entities. Therefore, We must make an effort to increase the child caregiver's job satisfaction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 from improving the child care system and developing the various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과 대인관계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아이돌봄사업의 서비스의 질을 향상 시키는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S특별시 지역 아이돌보미 1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에 일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일부는 영향이 없었다. 둘째, 아이돌보미의 근무특성, 대인관계특성, 직무만족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회귀모형의 추정결과 근무특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대인관계특성은 직무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료관계, 이용자가족 관계, 돌봄대상아동 관계가 높아질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만족을 높일수 있도록 제도적인 개선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는데 노력을 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정, "저출산대응을위한 보육정책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p.50, 2014.
  2. 윤명자 황신혜, "서울시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제50권, 제4호, pp.68-70, 2012.
  3. 이서영, "돌봄유형에 보육사업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학국영유아보육학회, p.175, 2013.
  4. 이선화, 조직 특성에 따른 돌봄노동자의 직무만족 비교연구,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논문, 2014.
  5. 이국진, 정가윤, "아이돌보미의 '돌봄경험'과 사회적 의미 구성,"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제73권, 제1호, pp.419-441, 2012.
  6. 노성향, "취업여성의 영아보육현황과 육아지원방안," 아동복지학회지, 제33호, p.113, 2010.
  7. 김은정, "주요국가의 사회적 돌봄서비스정책 현황과 특성," 사회과학연구회, 제2집, 제2호, p.164, 2011.
  8. 김영은, 돌봄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 수행정도가 서비스 질 인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논문, 2011.
  9. 송다영, "사회복지부문 돌봄 관련 일자리의 질 저하에 관한 연구," 제더와문화, 제7권, 제1호, pp.7-42, 2014.
  10. 권정아, "아이돌보미의 자기효능감, 보육효능감, 직무효능감과의 관계," 아동보육연구, p.62, 2012.
  11. 방한별, "아이돌봄서비스 이용가정 실태 및 가정유형에 따른 서비스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3권, 제3호, p.226, 2009.
  12. 여성가족부, 2015년 아이돌봄 지원사업 지침, 여성가족부, 2015.
  13. http://www.mogef.go.kr/
  14. http://www.kihf.go.kr/
  15. 여성가족부, 2007년 아이돌봄 지원사업 지침, 여성가족부, 2007.
  16. 정수영, 호텔산업 리더의 펀 리더쉽 행동이 종업원의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호텔경영학, 석사학위논문, p.23, 2011.
  17. E. J. Mccormick and D. Ilgen,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th(ed), Englewood Cliffs : Prentice-Hall Inc, 1985.
  18. E. A. Locke, Handbook of Industrealand Organizational Psycholog, Chicago: Rand Mcnally, 1976.
  19. 이명자, 아이돌보미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62, 2009.
  20. 이종모, 노인장기요양기관 근무환경이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한성대학교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0, p.48, 2009.
  21. 김미정, 유급가정봉사원 전문직업적태도와 서비 스질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72, 2005.
  22. 이경란,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과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8, 2010.
  23. 김유나, "돌봄서비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소진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 연구, 제37호, p.142, 2013.
  24. 김민주, 돌봄 노동의 특성이 돌봄 여성 노동자의 직무연속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논문, p.131, 2012.
  25. 이윤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통일사회복지정책대학원 사회복지행정학, 박사학위논문, 2000.
  26. 최인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그리스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8, 2010.
  27. 안해자,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 연구, 초당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4, 2014.
  28. H. C. Smith, "Phychology of Industrial Behavior, New York : McGraw-Hill, 1955.
  29. 문상현,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논문, p.26, 2014.
  30. 이영란, 박선남, 주민선, "아이돌보미 여성의 지 각된 건강상태, 우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 가정간호학회지, 제21권, 제1호, pp.26-35, 2014.
  31. 이주영, "영아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 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1권, 제1호, pp.63-82,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063
  32. 유순란, 아이돌보미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목표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33. 김선실, 돌봄 서비스 제공자들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 논문, 2011.
  34. 최영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정책학, 석사학위논문, 2009.
  35. 김민주, 김남숙, "돌봄 여성 노동자의 노동특성 이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43권, pp.37-59, 2014.
  36. 이승부, 정신요양시설종사자의 금무환경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박사학위논문, p.112, 2008.
  37. 류연규, "가족의 돌봄 공백에 대응하는 돌봄의 사회화 정책의 성격 규명," 비판사회정책, 제37권, pp.113-153, 2012.
  38. 김유경, 박정윤, 송혜림, "맞벌이 가정의 자녀 돌 봄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8권, 제5호, pp.145-155, 2010. https://doi.org/10.6115/khea.2010.48.5.145
  39. J. L. Price, Handbook of Organizational Measurement, Washington : Healh & Company, 1972.
  40. 김현미,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논문, 2005.
  41. 박미화, 방문요양 기관의 요양보호사 직무만족도 조사 연구,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논문, 2012.
  42. 이길자,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논문, 2010.
  43. 김혜영, 전라남도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 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논문, pp.7-42, 2014.
  44. http://www.mohw.go.kr
  45. http://www.moi.go.kr
  46. http://www.moj.go.kr

Cited by

  1. The Effects of Structur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of Fashion Models vol.68, pp.6, 2018, https://doi.org/10.7233/jksc.2018.68.6.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