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Development of Multi-residue Analytical Method for 261 Pesticides in Herbal Medicines using GC-MS/MS and LC-MS/MS

BibTex RIS APA Harvard MLA Vancouver Chicago

@article{HGNHB8_2020_v39n2_142,
author={Eun Shik. Na and Seong Soo. Kim and Sung Soo. Hong and Kyoung Ju. Kim and Yong Jae. Lee and Byung Chul. Lee and Kyu Seung. Lee},
title={Development of Multi-residue Analytical Method for 261 Pesticides in Herbal Medicines using GC-MS/MS and LC-MS/MS},
journal={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issn={1225-3537},
year={2020},
volume={39},
number={2},
pages={142-169},
doi={10.5338/KJEA.2020.39.2.19},
url={https://doi.org/10.5338/KJEA.2020.39.2.19}

TY - JOUR
AU - Na, Eun Shik.
AU - Kim, Seong Soo.
AU - Hong, Sung Soo.
AU - Kim, Kyoung Ju.
AU - Lee, Yong Jae.
AU - Lee, Byung Chul.
AU - Lee, Kyu Seung.
TI - Development of Multi-residue Analytical Method for 261 Pesticides in Herbal Medicines using GC-MS/MS and LC-MS/MS
T2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PY - 2020
VL - 39
IS - 2
PB -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SP - 142-169
SN - 1225-3537
AB - BACKGROUND:A new analytical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determine 261 pesticide residues in herbal medicines.METHODS AND RESULTS:The extraction of pesticides was carried out by modified method of the Korea Food Standards Codex sample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was performed using GC-MS/MS and LC-MS/MS. During the pre-treatment process of the test method, Solid-liquid separation was changed to centrifugation. The method was validated by the precision and accuracy results. 261 pesticides spiked at three level 20, 50, 100 ug/kg in herbal medicines. The limit of quantification of method were 4-40 ug/kg for GC-MS/MS and 2-45 ug/kg for LC-MS/MS, respectively. Among the pesticides analysed by GC-MS/MS and LC-MS/MS, 244 pesticides (94% of total number) in chinese matrimony vine and 224 pesticides (86% of total number) in korean angelica root and 231 pesticides (89% of total number) in jujube and 214 (82% of total number) in cnidium showed recoveries in the range of 70-120% with RSD≤20%.CONCLUSION: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C-MS/MS and LC-MS/MS analysis with the sample extraction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multi-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in herbal medicines.
KW - GC-MS/MS
KW - Herbal Medicine
KW - LC-MS/MS
KW - MRL
KW - Pesticide
DO - 10.5338/KJEA.2020.39.2.19
UR - https://doi.org/10.5338/KJEA.2020.39.2.19
ER -

Na, E. S., Kim, S. S., Hong, S. S., Kim, K. J., Lee, Y. J., Lee, B. C., & Lee, K. S. (2020). Development of Multi-residue Analytical Method for 261 Pesticides in Herbal Medicines using GC-MS/MS and LC-MS/M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9(2), 142-169.

Na, ES, Kim, SS, Hong, SS, Kim, KJ, et al. 2020, “Development of Multi-residue Analytical Method for 261 Pesticides in Herbal Medicines using GC-MS/MS and LC-MS/M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ol. 39, no. 2, pp. 142-169. Available from: doi:10.5338/KJEA.2020.39.2.19

Na, Eun Shik et al. “Development of Multi-residue Analytical Method for 261 Pesticides in Herbal Medicines using GC-MS/MS and LC-MS/M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9.2 (2020): 142-169.

1. Na ES, Kim SS, Hong SS, Kim KJ, Lee YJ, Lee BC, Lee KS. Development of Multi-residue Analytical Method for 261 Pesticides in Herbal Medicines using GC-MS/MS and LC-MS/M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Internet]. 2020;39(2): 142-169. Available from: doi:10.5338/KJEA.2020.39.2.19.

Na, Eun Shik, Seong Soo Kim, Sung Soo Hong, Kyoung Ju Kim, Yong Jae Lee, Byung Chul Lee and Kyu Seung Lee. “Development of Multi-residue Analytical Method for 261 Pesticides in Herbal Medicines using GC-MS/MS and LC-MS/M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9, no.2 (2020): 142-169. doi: 10.5338/KJEA.2020.39.2.19.

Menu
Open Access Journa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p-ISSN 1225-3537
e-ISSN 2233-4173

HOME > Archives > Article View

Article History

Received2020-04-21
Revised2020-05-04
Accepted2020-06-24

Contents

Citation

1 Radical Scavenging Active Compound Screening Analysis in Extract of Coffea arabica L. Leaves  /  2022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vol.30, no.4, pp.264 /  10.7783/KJMCS.2022.30.4.264
2 Comparison of Major Compounds of Coffee Tree Leaf Extract by Varieties Cultivated in Korea  /  2022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vol.30, no.6, pp.401 /  10.7783/KJMCS.2022.30.6.401

Article View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020. Vol.39. No.2. pp.142-169

DOI : https://doi.org/10.5338/KJEA.2020.39.2.19

Number of citation : 2
crossmark images crossmark images

Abstract

BACKGROUND:

A new analytical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determine 261 pesticide residues in herbal medicines.

METHODS AND RESULTS:

The extraction of pesticides was carried out by modified method of the Korea Food Standards Codex sample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was performed using GC-MS/MS and LC-MS/MS. During the pre-treatment process of the test method, Solid-liquid separation was changed to centrifugation. The method was validated by the precision and accuracy results. 261 pesticides spiked at three level 20, 50, 100 ug/kg in herbal medicines. The limit of quantification of method were 4-40 ug/kg for GC-MS/MS and 2-45 ug/kg for LC-MS/MS, respectively. Among the pesticides analysed by GC-MS/MS and LC-MS/MS, 244 pesticides (94% of total number) in chinese matrimony vine and 224 pesticides (86% of total number) in korean angelica root and 231 pesticides (89% of total number) in jujube and 214 (82% of total number) in cnidium showed recoveries in the range of 70-120% with RSD≤20%.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C-MS/MS and LC-MS/MS analysis with the sample extraction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multi-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in herbal medicines.

Keyword

GC-MS/MS,Herbal Medicine,LC-MS/MS,MRL,Pesticide

서론

생약재는 약용식물의 특정 부위 또는 전체를 건조한 것으로 예로부터 동양의학과 함께 질병의 예방이나 상처의 치료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생약재 재배시에 발생되는 병해충 및 잡초의 효율적인 방제를 위해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된 농약은 수확 후 건조된 생약재에까지 잔류할 가능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생약재에는 각 나라별로 사용하는 농약의 종류가 달라 우리나라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농약이 검출되는 문제점도 있기 때문에 생약재로부터 잔류농약을 분석하여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1-5].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2003-2015년까지 매년 약령 시장에서 유통되는 국산 및 수입 생약재의 잔류농약 오염실태를 모니터링한 보고서에 의하면 생약재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검사 건수 대비 검출율은 진피, 구기자, 대추, 인삼, 천궁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천궁의 경우 매년 부적합이 8% 이상으로 endosulfan이 MRL의 약 25배까지 검출되거나 천궁에 등록되지 않은 농약성분인 hexaconazole, pendimethalin, triadimefon이 검출되는 등 품목별로 미등록된 농약들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2003-2015). 따라서 생약재는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성이 매우 취약한 농산물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위해서 잔류농약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농산물에 있어 잔류농약 분석은 극미량의 잔류농약을 측정하는 기술로 전처리법과 기기분석으로 이루어진다. 잔류농약 분석은 1960년도 미국 FDA에서 잔류농약분석법의 기초를 처음 마련하였으며, 현재까지 수많은 농약 물질의 분석 전처리법과 분석장비가 등장하고 있다[6]. 미국 AOAC (Associtiation of Analytical Communities)에서는 2007년 1월부터, 유럽 표준위원회에서는 2007년 10월부터 QuEChERS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법을 유럽 품질표준규격(European Standard: EN 15662)로 인정하였다[7]. QuEChERS 법이 등장한 이래로 세계적으로 이 전처리법을 이용하여 농산물별, 농약 종류별, 분석장비별로 최적의 방법을 찾으려는 많은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다[8]. 현재 국내에서도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들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식품공전 중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제2법(MFDS, 2017)과 농산물품질관리원의 농산물 등의 유해물질 분석법 (MOLEG, 2020) 등이 있다. 식품공전 중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제2법 및 농산물품질관리원의 농산물 등의 유해물질 분석법은 acetonitrile 추출법으로 전처리한 후 GC-MS/MS, LC-MS/MS를 활용하여 기기분석하는 방법으로 유사성을 갖고 있다.

생약재 중 잔류농약 분석법의 연구는 매우 적다. 이로인해 생약재 중 잔류농약 분석은 다양하게 연구되어진 농산물이나 식품 중의 잔류농약 분석법을 주로 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생약재에는 일반적인 농산물에 비해 다양한 화학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어 잔류농약 분석시 농약 성분의 추출 및 분리가 어렵기 때문에 시료의 전처리에서부터 분석법 그리고 결과의 해석까지 매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생약재 중 잔류농약의 분석을 위하여 ‘생약 등의 잔류⋅오염물질 기준 및 시험방법’을 고시하고 있다. 생약재 시료를 acetone으로 추출하여 여과한 다음 dichloromethane 을 이용하여 액/액 분배(liquid-liquid extraction)를 하고 고상추출법(solid phase extraction)으로 정제과정을 거친 후 기기분석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을 생약재에 적용하여 실험할 경우 생약재의 종류에 따라 추출, 분배, 정제 및 기기분석 등 복잡한 일련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모되고 오차의 발생요인이 커져서 이 방법으로는 모든 생약과 농약을 적용하는데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2009-2012년도 식품의약품안전처 보고서에 의하면 기존에 고시된 생약재 중의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은 액/액 분배시 층분리가 잘 되지 않아 농약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기기분석 상에서 간섭피크가 많이 발생하여 회수율 및 재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좀 더 정밀하고 정확한 분석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서술하였다. 이를 개선하고자 다종농약다성분 분석 성분 중 적용하기 어려운 성분들을 대상으로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생약재의 종류별 특성을 고려해 생약재 품목별로 특화된 단성분 분석법을 제시하였다(MFDS, 2009-2012).

따라서 본 연구는 생약재 품목 중 약용부위별 잔류농약 검출 빈도가 비교적 높은 당귀(當歸, Angelica gigas Nakai), 천궁(川芎, Cnidii Rhizoma), 구기자(拘杞子, Lycii Fructus), 대추(待秋, Zizyphi Fructus)를 대상으로 식품공전 중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제2법의 전처리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전처리한 후 GC-MS/MS와 LC-MS/MS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기분석 조건을 확립한 후 분석하여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의 생약재 중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재료및방법

다성분 분석대상 농약 및 시약

시험대상 농약은 생약재 중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성분을 포함 비교적 검출이력이 높은 fungicide 70성분, herbicide 56성분, insecticide 129성분, insect growth regulator 2성분, plant growth regulator 2성분, nematicide 1성분, acaricide 1성분 등 총 261성분이었다. 분석에 사용한 표준품은 Dr. Ehrenstorfer (Germany), Sigma-Aldrich (USA), Wako (Japan), AccuStandard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각각의 농약 표준품은 용매에 따른 용해도를 고려하여 acetone과 methanol으로 1,000 mg/L의 stock solution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stock solution은 일정량을 취한 후 acetone과 methanol로 표선하여 10 mg/L 혼합 working solution을 제조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acetone, acetonitrile, dichloromethane, methanol, hexane은 Merck (Germany) 사의 잔류분석용 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3차 증류수는 Milipore사의 Mili-Q Direct8 system (USA)을 사용하였다. Sodium chloride 및 magnesium sulfate는 Merck (Germany)사의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전처리 방법

생약재 중 잔류농약을 분석하기 위한 전처리방법은 적은 양의 시료를 짧은 시간동안 진탕추출하기 때문에 균질화된 시료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균질화 측면에서 전처리 시험방법은 식품공전 중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제2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MFDS, 2017). 식품공전 시험법 중 추출 후 감압여과 대신 원심분리를 통한 전처리방법을 적용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생약재 시료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균질화한 후 blank 시료 및 회수율 시험에 사용하였다. 균질화된 당귀, 천궁, 구기자, 대추 각각의 시료 10 g을 200 mL centrifuge용 bottle에 넣고 증류수 40 mL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습윤 시킨 후 acetonitrile 50 mL 넣고 NaCl 1 g 및 MgSO4 4 g을 첨가하여 10분간 진탕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을 원심분리기(Avanti J-15R, Beckman coulter, USA)로 3,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이 후 상층액 20 mL를 50 mL 시험관에 분취하여 40℃ 이하 수욕조에서 감압농축 한 후 농축잔류물을 dichloromethane:methanol=95:5(v/v) 2 mL로 재용해하였다. NH2 SPE cartridge (1 g/6 mL, Waters, USA)에 dichloromethane 5 mL로 pre-washing 한 후 상기 시료 2 mL를 loading하고 dichloromethane: methanol=90:10(v/v) 10 mL를 용출시켜 40℃ 이하 수욕조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잔류물은 GC-MS/MS 분석대상 농약의 경우 acetone: hexane=20:80(v/v) 2 mL에 재용해 하였으며, LC-MS/MS 분석대상 농약의 경우 methanol 2 mL에 재용해한 후 0.2 ㎛ syringe (PTFE) filter (Whatman, USA)로 여과한 후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농약성분의 정량 분석을 위한 검량선은 각각의 표준품을 각각의 용매에 녹여 1,000 mg/L의 stock solution을 조제한 후 무처리 시료 추출액과 혼합하여 10, 20, 50, 100, 200 및 500 ug/L 농도로 matrix matched calibration을 작성하였다.

기기분석 조건 확립

GC-MS/MS 분석은 SCION-TQ (Bruker, USA) 기기를 사용하였고, 데이터 처리는 MS Work Station 8을 사용하였다. 컬럼은 DB-5MS (30 m × 0.25 mm × 250 μm, Agilent, USA)을 사용하였고 oven 온도를 70℃에서 시작하여 승온프로그램을 설정하여 300℃까지 올려 34.5분 이내에 모든 농약성분이 분리되도록 하였다. 시료 주입량은 1 μL로 하였다. LC-MS/MS 분석은 XEVO-TQD (Waters, USA) 기기를 사용하였고, 데이터 처리는 massHunter quantitative analysi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컬럼은 역상 칼럼인 BEH-C18 (2.5 mm I.D x 100 mm L, 1.7 μm, waters, USA)을 사용하였고 0.1% formic acid가 함유된 acetonitrile과 0.1% formic acid가 함유된 증류수를 사용하여 최적화된 기울기 용리방식으로 12분 이내에 모든 농약 성분이 분리되도록 하였다. 유속은 0.4 mL/min, 주입량은 2 μL로 하였다. 간섭물질의 방해를 배제하고,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 multiple reaction monitoring(MRM) 조건을 설정하고자 261성분의 각각의 농약을 acetone과 methanol을 사용하여 100 ug/L 수준으로 희석하였고 full scan mode에서 각 물질의 모분자(precursor ion)의 질량스펙트럼을 확인한 후 최적의 충돌에너지(collision energy)를 선택하여 생성된 조각이온(daughter ion) 중 최적의 이온을 선택하였다. GC-MS/MS 분석대상 농약 102종과 LC-MS/MS 분석대상 농약 159종에 대한 MRM조건은 각각 Table 12에 나타내었다.

회수율,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측정

잔류분석법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회수율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각 농약에 대한 회수율 시험은 20, 50, 100 ug/kg 수준에서 5반복 결과를 확인하였다. 검출한계(limits of detection, LOD)와 정량한계(limits of quantification, LOQ)는 MS/MS상에서 측정 가능한 최소 검출량을 이용하여 아래식에 따라 산출하였으며, LOD는 S/N ratio 3 이상, LOQ는 S/N ratio 10 이상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Matrix effect 조사

잔류농약 분석 시 matrix effect (suppression 혹은 enhancement)의 원인은 서로 다른 반응과 현상에 의해 결정 되는데, 수많은 시료와 농약성분의 반응을 명확히 규명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의 matrix effect 검증은 변동 폭에 따른 간섭 정도에 초점을 두어 표준농약성분의 chromatogram상 피크 면적의 수치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생약재 4품목 각각의 무처리 농산물 시료 추출용액을 이용하여 검량선 작성시 만든 matrix matched standard를 비교하여 matrix effect를 조사하였다. Matrix effect의 산출은 solvent standard의 피크 면적과 matrix matched standard의 피크 면적의 비로 판단하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산출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9,10].

결과및고찰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각 농약별 LOD는 GC-MS/MS 분석에서 2-10 ug/kg, LC-MS/MS에서 1-8 ug/kg 수준이었으며, LOQ는 GC-MS/MS 분석에서 4-40 ug/kg, LC-MS/MS에서 2 -45 ug/kg 범위를 나타내었다(Table 3, 4). 이는 시료 중 함유된 ug/kg 수준의 미량의 잔류농약의 검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각각의 표준용액으로부터 acetone과 methanol로 희석하여 6단계의 농도별 분석용 작업표준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GC-MS/MS와 LC-MS/MS에 주입하여 얻은 chromatogram의 피크면적을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검량선의 직선성은 양호하였으며, 각각의 상관계수(r2)는 모두 0.99 이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분석법의 농약의 회수율

품목별 261성분에 대한 회수율 시험결과는 Table 34에 나타내었다. 구기자에서 70~120% 이내이고 표준편차가 20% 이내인 농약은 20 ug/kg에서 228종, 50 ug/kg에서 234종, 100 ug/kg에서 244종이었다. 당귀에서 70~120% 이내이고 표준편차가 20% 이내인 농약은 20 ug/kg에서 185종, 50 ug/kg에서 204종, 100 ug/kg에서 224종이었으며, 대추에서 70~120% 이내이고 표준편차가 20% 이내인 농약은 20 ug/kg에서 219종, 50 ug/kg에서 228종, 100 ug/kg에서 231종이었다. 천궁에서 70~120% 이내이고 표준편차가 20% 이내인 농약은 20 ug/kg에서 198종, 50 ug/kg에서 205종, 100 ug/kg에서 214종이었다. 각국 및 국제기구 등에서 연구수행에 활용된 분석방법에 대한 적합성은 회수율과 상대표준편차 등의 범위를 이용하여 판단하고 있으며, 국내는 회수율 70~120% 및 상대표준편차 20% 이하(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9), 유럽연합에서 제시한 회수율은 70~120%와 상대표준편차 20% 이하 (Document N〫 SANCO/12495, 2011)로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생약재 중 구기자, 당귀, 대추, 천궁 품목에 대하여 GC-MS/MS와 LC-MS/MS를 이용한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의 회수율은 국내 및 국제적 기준에 충족하였다. 하지만 일부 불량한 회수율의 결과를 가진 농약성분(Table 5)의 경우 생약재 시료에 존재하는 matrix의 영향에 의해 suppression과 enhancement의 결과로 정확한 정량은 어렵지만 10 ug/kg 이하까지 정량 한계를 낮춤으로써 충분히 검출 가능하기에 screening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LC-MS/MS 분석 대상 농약 중 chlorfluazuron, etofenprox 등의 분석불가 성분으로 분류하였으나[11], Hernando 등[12]의 연구결과 macrocyclic lactone 화합물은 LC-MS/MS의 desolvation 온도에 따라 감도의 변화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desolvation 온도를 600℃에서 400℃로 설정하여 회수율을 시험하였을 경우 chlorfluazuron의 회수율은 70.2-118.0%, etofenprox의 회수율은 70.5-109.6%의 회수율을 보임으로써 회수율 기준인 70-120% 이내를 만족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2010)의 보고에 의하면 QuEChERS 분석법을 이용할 경우 carbendazim, tricyclazole 및 sulfonylurea 계통의 농약은 다종농약다성분 분석이 불가능한 농약들로 분류하였으나, 본 실험에서는 회수율이 각각 70.0-117.3% 및 상대 표준편차 1.0-10.2%로 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검토된 생약재 중 GC-MS/MS와 LCMS/MS를 이용한 농약의 다성분 동시분석법은 앞으로 생약재의 농약잔류 모니터링 연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품목별 matrix effect

품목별 261성분에 대한 matrix effect는 matrix matched standard와 solvent standard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Matrix effect 판단 시 ±20~50%의 수준은 약간의 영향을 받는 수준이며, 그 이상은 matrix에 강한 영향을 받는 수준으로 평가한다[13-15].

해당 기준으로 본 시험결과는 supplemental S1에 나타내었다. Matrix의 영향이 없거나 약한 영향(±20~50%)을 받는 성분들은 천궁에서는 acetamiprid 등 186종, 당귀에서는 alachlor 등 192종, 구기자에서는 aldrin 등 192종, 대추에서는 alachlor 등 211종이었다. Matrix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는 성분들은 천궁의 경우 alachlor 등 75종, 당귀의 경우 acetamiprid 등 69종, 구기자의 경우 acetamiprid 등 69종, 대추의 경우 acetamiprid 등 50종이었다. 또한, 농약의 물리화학적 특성 중 기본적인 계수인 옥탄올/물 분배계수 Kow (log P)값을 3 이하와 3이상의 두 개 그룹으로 나누어 품목별 matrix effect 영향을 알아보았다. Kow (log P)값이 3이하인 경우 구기자를 제외한 천궁, 당귀, 대추에서 suppression 되는 경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Kow (log P)값이 3이상에서는 구기자, 대추에 비해 천궁, 당귀가 suppression과 enhancement에 의한 matrix 영향이 다소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Kow(log P)값을 기준으로 3미만인 극성 농약이 비극성농약에 비해 suppression 현상이 많이 관찰되었으며,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Helen 등[16]의 연구결과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마지막으로, 농약성분의 화학적 성분이나 조성에 따라 품목별 matrix effect 영향을 알아보고자 261 성분을 2,6-dinitroaniline, amide, anilide, azole, organochlorine, organophosphorus, carbamate, pyrethroid, thiocarbamate 및 urea로 분류하였다. Pyrethroid계의 경우 4품목에서 모두 enhancement에 의해 잔류량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약제들의 Kowlog P값은 4이상이었다. Carbamate계의 경우 천궁, 당귀에서 suppression에 의해 잔류량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약제의 Kowlog P값이 3이하였다. Organophosphorus계의 경우 당귀에서는 suppression에 의해 잔류량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고, 대추에서는 enhancement에 의해 잔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rganochlorine계의 경우는 대부분이 당귀에서 suppression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그 이외의 2,6-dinitroaniline, amide, anilide, azole, thiocarbamate 및 urea계 등에 속하는 농약들은 특별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생약재 중 다종농약 동시분석을 수행할 경우 질량분석기를 통한 정량분석에서는 시료 matrix의 영향을 보완하기 위하여 무처리 시료에서 동일한 전처리 과정을 통해 얻은 추출용액을 사용하여 표준물질을 만들어 정량분석 해야 하며, suppression과 enhancement에 의한 matrix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서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Note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Tables & Figures

Table 1.

Parameters for 102 pesticides residue analysis by GC-MS/MS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Table 2.

Parameters for 159 pesticides residue analysis by LC-MS/MS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Table 3.

Average recovery and RSD of 261 pesticides spiked in korean angelica root and chinese matrimony vine different concentrations with GC-MS/MS and LC-MS/MS (n=5)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Table 4.

Average recovery and RSD of 261 pesticides spiked in cnidium and jujube different concentrations with GC-MS/MS and LC-MS/MS (n=5)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이미지설명
Table 5.

Components showing poor average recovery of 261 pesticides in herbal medicines

이미지설명

References

1. Choi, YC., Park, SK., Kim, OH., Seoung, HJ., Han, SH., Lee, YJ., Jeong, HJ., Kim, YH., JO, HB., & null,null. ((2011)). Pesticides residue monitoring of medicinal herbs in Seoul.. The Korean Jounral of Pesticide Science 15. 335 - 349.

2. Cho, JH., KIM, DH., Kim, HS., Oh, MH., Kang, IH., Shim, YH., Hwang, WK., Myung, SW., & Chio,BK. ((2000)). Monitoring research for residual pesticides as endocrine disreptors in natural medicines(Ⅰ)..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1. 455 - 458.

3. Hwang, BH., & Lee,MR. ((2000)). Solid-phase microextraction for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analysis in Chinese herbal formulations.. Journal of Chromatography A 898. 245 - 256. CrossRef

4. Lee, SH., Kim, HS., Kim, YM., KIM, WS., Won, YJ., Chae, GY., Kim, OH., Park, HJ., & Jeong,SW. ((2006)).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herbal medicine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5. 811 - 817. CrossRef

5. KIM, BS., Park, SG., Kim, MS., Cho, TH., Han, CH., Jo, HB., Chio, BH., & Kim,SD. ((2007)). A study of current status on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dried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ounral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9. 114 - 121.

6. Ock,HS. ((2009)). Developmental trend of analytical methods for pesticide residues.. The Korean Jounral of Pesticide Science 13. 336 - 348.

7. Park, JW., Kim, AK., Kim, JP., Lee, HH., Park, DW., Moon, SJ., Ha, DY., & Seo,KW. ((2014)). Multi-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using GC-TOF/MS, ECD, NPD with QuEChERS sample preparation.. The Korean Jounral of Pesticide Science 18. 278 - 295. CrossRef

8. Wilkowska, A., & Biziuk,M. ((2011)). 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food matrices using QuEChERS methodology.. Food Chemistry 125. 803 - 812. CrossRef

9. de Sousa Freitas, S., & Lancas,FM. ((2009)). Matrix effects observed during pesticides residue analysis in fruits by GC.. Journal of Seperation Science 32. 3698 - 3705. CrossRef

10. Hajšlová, J., Holadova, K., Kocourek, V., Poustka, J., Godula, M., Cuhra, P., & Kempný,M. ((1998)). Matrixinduced effects: a critical point in th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pesticide residues.. Journal of Chromatography A 800. 283 - 295. CrossRef

11. Kwon, HY., Kim, CS., Park, BJ., Jin, YD., & Son,KA. ((2011)). Multiresidue analysis of 240 pesticides in apple and lettuce by QuEChERS sample preparation and HPLCMS/MS analysis.. The Korean Jounral of Pesticide Science 15. 417 - 433.

12. Hernando, MD., Suarez-Barcena, JM., Bueno, MJM., Garcia-Reyes, JF., & Fenandez-Alba,AR. ((2007)). Fast separation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for the confirm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avermectin residues in food.. Journal of chromatograpy A 1155. 62 - 73. CrossRef

13. Ferrer, C., Lozano, A., Agüera, A., Girón, AJ., & Fernández-Alba,AR. ((2011)). Overcoming matrix effects using the dilution approach in multiresidue methods for fruits and vegetables.. Journal of Chromatograpy A 1218. 7634 - 7639. CrossRef

14. Moreno-González, D., Huertas-Pérez, JF., García-Campaña, AM., & Gámiz-Gracia,L. ((2014)). Determination of carbamates in edible vegetable oils by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using a new clean-up based on zirconia for QuEChERS methodology.. Talanta 128. 299 - 304. CrossRef

15. Gwon, JH., Kim, TK., Seo, EK., Hong, SM., Kwon, KS., Kyung, HY., Kyung, KS., Kim, JE., & Cho,NJ. ((2014)). Multiresidue analysis of 124 pesticides in soil with QuEChERS extraction and LC-MS/MS.. The Korean Jounral of Pesticide Science 18. 296 - 313. CrossRef

16. Stahnke, H., Reemtsma, T., & Alder,L. ((2009)). Compensation of matrix effects by postcolumn infusion of a monitor substance in multiresidue analysis with LC-MS/MS.. Analytical Chemistry 81. 2185 - 2192.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