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 Use and Needs of Disabled Users in Korea

장애인의 도서관 서비스 이용 및 요구에 관한 연구

  •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 ;
  • 김성진 (인하공업전문대학 비서과)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There has been significant movements in the provision of equal access to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use and needs of library services of disabled people with a survey. The survey data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disabled persons did not visit library and not experience library sol-vices. The main reason was reported that they had poor information about the library services. Also, they did not satisfy the variety, sufficiency, accessibility, up-to-dateness of the materials in general. And there were difference of favorite programs and needs among different kinds of the disabled. Therefore, active guidance and public relations about library services.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by building digital collection, resource sharing and extension of services by building library cooperation network, and the arrangement of librarians for the disabled and education for them should be back up for improving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동등한 정보접근권을 보장하고자 하는 흐름에 발맞추어 장애의 여부나 장애의 유형과 상관없이 모든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 9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국내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장애인 이용자의 이용 실태 및 요구 사항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 및 도서관 서비스 이용 경험은 상당히 저조한 편이었으며 그 원인은 도서관 및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장애인들은 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자료의 다양성, 충분성, 접근성, 최신성 등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장애유형별로 도서관에 희망하는 프로그램과 개선사항에 차이를 보였다. 결국 장애인 도서관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안내와 홍보, 전자자료 구축을 통해 이용자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협령망 구축을 통한 자원공유와 서비스 확대가 필요하고 장애인 서비스를 담당할 전문사서의 배치 및 직무교육 제공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숙희. 2001. 시각장애인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 (4): 229-256
  2.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007.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중장기 발전계획'.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김영신. 2004. 공공도서관 시각장애인실 서비스에 관한 조사 연구-한밭도서관 시각장애인실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177-199
  4. 김지현. 2002. 시각장애자를 위한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의 점자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1): 215-230
  5. 남영준. 2007.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49-68
  6. 변용찬, 김성희, 윤상용, 최미영, 계훈방, 권선진, 이선우,보건복지부. 2006. '2005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윤희윤. 2007. 주요 국가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정책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8(4): 215-240
  8. 영숙. 2007. 장애인정보격차에 관한 소고.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69-91
  9. 이해균, 김성애, 김정현. 2007. 장애인 독서환경 개선 방안 I: (독서)장애인의 독서 및 도서관 이용 실태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8(3): 619-643
  10. 장덕현, 임신영. 2005. 지체장애인의 정보소외 양상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2): 89-108
  11. 전재봉. 1993. 視覺障碍人을 위한 圖書館의 構成要素分析.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4: 139-169
  12. 전재봉. 1999. 시각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의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0(4): 137-161
  13. 전재봉. 2002. 장애인에 대한 공공 도서관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4): 157-173
  14. 조용완. 2007.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해소 활동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8(4): 167-186
  15. Beaton, M. 2005. 'Glasgow City Council: library, information and learning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in Glasgow.' Library Review; 54(8): 472-478 https://doi.org/10.1108/00242530510619174
  16. Brophy, P. and J. Craven. 1999. The Integrated, Accessible Library: A Model of Service Development for the 21st Century. The Final Report of the REVIEL(Resource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of the Electronic Library) Project
  17. Brundtland, G. H. 1999. 'Interagency Consultation on Disability'. Speech of Director- General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accessed 2007.11.15].
  18. Burrington, G. A. 2007. 'A user's perspective.' Library Trends, 55(4): 760-766 https://doi.org/10.1353/lib.2007.0037
  19. 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CILIP). 2007.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cited 2007.12.15].
  20. Cookson, J. and L. Rasmussen. 2001. 'National Library Service for the Blind and Physically Handicapped: digital plans and progress.' Library Hi Tech, 19(1): 15-18 https://doi.org/10.1108/07378830110384539
  21. Cylke, F. K., M. M. Moodie, and R. E. Fistick. 2007. 'Serving the blind and physically handicapp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Library Trends, 55(4): 796- 808 https://doi.org/10.1353/lib.2007.0031
  22. Joint, N. 2006. 'Libraries, digitisation and disability.' Library Review, 55(3): 168- 172 https://doi.org/10.1108/00242530610655966
  23. Nelson, P. P. 1996.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Results of a survey.' Bulletin of Medical Library Association, 84(3): 397-401
  24. Owen, D. 2007. 'Sharing a vision to improve library service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in the United Kingdom.' Library Trends, 55(4): 809-829 https://doi.org/10.1353/lib.2007.0033
  25. Ryder, J. 2004. 'Can't get to the library? Then we'll come to you. A survey of library services to people in their own homes in the United Kingdom.' Health Information and Libraries Journal, 21: 5-13 https://doi.org/10.1111/j.1740-3324.2004.00515.x
  26. United Nations(UN). 2006. 'Some Facts about Persons with Disabilities.'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New York, 14-25 August, 2006. [accessed 2007.11.15].
  27.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2001. Towards a Common Language for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 Geneva: WHO. [accessed 2008.7.10].

Cited by

  1. A Study on the Information Needs and Behavior of Visually Handicapped vol.41, pp.1, 2010, https://doi.org/10.1633/JIM.2010.41.1.097
  2. Website Design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of Disabled People vol.30, pp.1, 2013,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193
  3. Study on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vol.1, pp.2, 2011, https://doi.org/10.5865/IJKCT.2011.1.2.029
  4. A Model On Voluntary Activity in Library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in Public Libraries vol.44, pp.1, 2010, https://doi.org/10.4275/KSLIS.2010.44.1.217
  5. A Study of Differently-Abled Users'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 Services in Libraries vol.45, pp.4, 2011, https://doi.org/10.4275/KSLIS.2011.45.4.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