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세계적 수준인 우리나라 해운물류산업에 비해, 해운물류 연구 실적에 대한 평가는 다소 불분명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해운물류분야의 상위 30명의 연구자와 30개의 기관을 분석했다. 분석은 2000년부터 2015년까지 16년간 해운 및 운송 관련 65개 SSCI 및 SCI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했다. 순위를 산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지표를 사용했다: 1) 논문의 수, 2) 저자들의 기여도를 반영한 가중 점수(Weighted Score), 3) 학술지의 Impact factor를 고려한 영향력 점수.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각 기관과 연구자의 순위 변화를 5년을 주기로 측정했다. 또한, 우리나라 해운물류 연구가 세계 해운물류분야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방법론적 선호도를 세계 연구자들과 비교 및 분석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Korea’s top 30 authors, in the maritime transportation field to compare their world ranking. The analysis covers the affiliation of the authors and their articles published in 65 SSCI and SCI journals on maritime and transportation over a 16-year period (2000–2015). The following three indicators are used for ranking: number of papers; the weighted score that reflects the contribution of the authors; and the impact score, which considers the impact factor. The two most active two schools are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Inha University. Star players are deemed to have contributed greatly to boosting the ranking of their affiliated institution. The institutions that are located in a city that is a seaport show higher research outcomes. Because of the fall in the proportion of Korean papers in the total papers published globally on maritime transportation, the country’s future rankings are likely to suffer.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분석 방법
Ⅲ. 결과
Ⅳ. 토론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참고문헌 (1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23-000543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