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7)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왕고들빼기 신품종 선향과 야생종의 수확시기별 일반성분, 무기질, 항산화, 항당뇨, 항염 효과를 측정하였다. 수분 함량은 6월 수확된 선향 잎이 90.5%로 가장 높았으며, 8월 수확된 야생종에서 단백질은 4.8%, 조섬유는 2.7%로 가장 높았다. 칼륨은 선향과 야생종 잎에서 626~684 mg/100 g으로 수확시기별 큰 차이가 없었다. 칼슘은 8월 수확 선향 잎에서 350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인은 8월 수확 야생종에서 123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6월 수확된 야생종 잎에서 총 폴리페놀은 59.8 mg/g, 총 플라보노이드는 125.8 mg/g으로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6월 수확된 선향과 야생종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약 94%로 가장 높았다. α-Amylase 저해 활성은 7월에 수확된 선향 잎의 물 추출물에서 94.8%로 가장 높았다. NO 생성 저해 활성은 6월 수확된 선향과 야생종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14.3, 16.8 μM로 LPS 단독처리에 비해 NO 생성 저해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선향 잎은 야생종에 비해 칼슘 함량과 α-amylase 저해 활성이 높았으며, 이러한 선향 잎의 영양?기능성을 활용한 다양한 가공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arvesting time on the proximate composition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Lactuca indica L. Seonhyang and wild species. The highest moisture content (91%) was obtained from Seonhyang harvested in June. The wild species harvested in August showed the highest crude protein (4.8%) and crude fiber contents (2.7%). Potassium contents were 626∼684 mg/100 g,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rvesting time was observed between Seonhyang and wild species. Calcium and phosphate contents of Seonhyang leaves harvested in August were highest (350 mg/100 g and 123 mg/100 g,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observed for wild species harvested in June (60 mg/g and 126 mg/g, respectively). Ethanol extracts of Seonhyang and wild species leaves harvested in June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95%).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st (94.8%) in water extract of Seonhyang leaves harvested in July.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was 14.3 μM in ethanol extracts of Seonhyang and 16.8 μM in ethanol extracts of wild species harvested in June. Calcium content and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Seonhyang leaves were greater than those of wild species leav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onhyang leaf can be used to develop processed foods.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REFERENCES

참고문헌 (2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594-001262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