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일반벼에 비하여 폴리페놀 함량이 뛰어나고 항산화력이 우수한 품종인 홍진주벼와 흑광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력 향상을 위한 열처리법 개발을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우수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큰눈벼와 대조품종인 화성벼를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홍진주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60℃의 열처리 조건에서 6.50±0.32 mg GAE/g(대조군의 약 23%)으로 가장 높았고, 흑광벼는 40℃와 180℃의 열처리 조건에서 각각 6.57 mg GAE/g(대조군의 약 14%)과 6.89 mg GAE/g(대조군의 약 20%)의 높은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열처리를 실시한 시료에 대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는 상관관계 분석에 있어서도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결과와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결과에 따르면 열처리에 따른 반응은 식물의 종류 및 열처리 방법에 따라 상당히 큰 차이를 나타내므로 본 실험에서 사용한 열처리 방법을 통하여 홍진주벼 및 흑광벼의 항산화력이 상당히 증가되었던 연구 결과는 매우 의미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본 실험에서 확인된 열처리 효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열처리 방식, 온도 및 열처리 시간에 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한다면 더욱 효율적으로 유리형의 폴리페놀 함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색미를 식품산업에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phenolic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various rice cultivars (from Hwaseongbyeo, Keunnunbyeo, Hongjinjubyeo, and Heugkwangbyeo) were investigated. Each brown rice cultivar was heated at six temperatures (40, 60, 90, 120, 150, and 180℃) for 15 min. The total polyphenolic content (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 (TFC) of 70% ethanol extracts from heated brown rice were quantified using spectrophotometrical metho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using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Hongjinjubyeo had the highest TPC (6.50 mg GAE/g, DB)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5.85 AAE/g, DB) at 60℃. Also, Heugkwangbyeo showed considerable values for TPC (6.57 and 6.89 mg GAE/g, DB)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6.29 and 6.11 AAE/g, DB) at 40℃ and 180℃, respectively. Overall,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both Hongjinjubyeo and Heugkwangbyeo extracts ha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R2≥0.916, α=0.01) with TPC and TF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eat treatment effectively enhance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ongjinjubyeo and Heugkwangbyeo.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문헌

참고문헌 (3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510-003668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