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식사의 규칙성과 1일 식사횟수에 대하여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7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서울 시내와 경기도 파주시에 소재하는 남녀 공학 고등학교의 식생활 실태 중 식사 규칙성과 식사횟수와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남녀 고등학생의 식사의 규칙성에서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하루 식사가 비교적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동안의 식사횟수는 남녀학생 모두 대체로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섭취횟수의 형성 시기에 대한 결과에서는 남녀학생은 모두 ‘중학교’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학생에 있어서는 ‘학령기 이전’이라고 답한 경우도 28.7%로 높게 나타났다. 활동에 가장 영향을 주는 식사에 대한 답변은 남학생은 점심 (41.0%)이라고 답한 결과가 가장 높은 반면 여학생은 ‘아침’(39.8%)이라는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 식사섭취빈도와 규칙성의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는 전반적으로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차가 없었다(p<0.05). 1일 식사횟수에서는 1~3학년 모두 대체적으로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식사섭취횟수형성시기에서는 모든 학년에서 ‘중학교’와 ‘학령기 전’의 순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식사의 규칙성과 일반사항의 분석결과, 가족 수 ‘5명’과 ‘용돈이 적을수록’의 항목에서 규칙적인 식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용돈 중 ‘3만원 이하’의 경우‘5만원 이상’의 식비 지출의 경우 비교적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를 준비하는 사람에 따라서는 ‘어머니’가 식사를 준비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하루 식사가 비교적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연령과 교육정도가 높고 월 가구 소득이 많을수록 하루 식사가 비교적 규칙적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직업에 따라서는 아버지 ‘사무직’(149명(56.9%))과 어머니 ‘전업주부’(279명(56.9%))인 경우 하루 식사가 비교적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동안의 식사횟수와 일반사항과의 차이분석 결과에서는 대체적으로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한 달 용돈 ‘5만원 이하’의 경우 54.3%가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사를 준비하는 사람의 경우, ‘스스로’ 이외에는 대체적으로 1일 3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연령, 부모 학력, 월 가족소득에 따라 식사횟수와 차이를 보여주었다. 식사 섭취횟수의 형성시기와 일반사항을 분석한 결과, ‘용돈’과 ‘식사를 준비하는 사람’의 결과는 ‘중학교’>‘학령기전’ 순으로 나타났다. 수면시간과의 분석결과에서는 ‘5~8시간’이라고 응답한 학생들의 경우 ‘중학교 때 형성되었다’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부모 연령이 낮을수록 ‘중학교 때 형성되었다’는 결과가 높았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학령기 전’의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월가구소득과 식사섭취횟수와의 분석 결과에서는 소득이 높을수록 ‘학령기 전’이라고 답변한 결과가 높았고 소득이 낮을수록 ‘중학교 때 형성되었다’에서 높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중학교 때 형성되었다’가 3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령 전’(23.8%), ‘초등학교 4~6학년 전’(13.7%), ‘초등학교 2학년 전’(11.8%) 순으로 나타났다. 한 끼 식사 중 자신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식사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점심’이 37.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아침’(35.8%), ‘저녁’(22.8%) 순으로 나타나 전반적 ‘점심’이 자신의 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 달 용돈 ‘9만원 이하’의 경우 ‘점심’이, ‘10~20만원’의 경우 ‘아침’이, ‘21만원 이상’의 경우 ‘저녁’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차이를 보였다. 수면시간과의 분석 결과에서는 4, 5, 6시간의 경우 ‘아침’이, ‘7시간 이상’ 수면을 하는 경우 ‘점심’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였다. 아버지의 연령은 낮을수록 어머니의 연령은 높을수록 ‘아침’의 영향력이 크다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월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아침’의 영향력을 높게 느끼고 있는 결과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등학생의 식생활태도는 성별과 학년별로 차이를 나타내어 차별화된 영양교육과 식생활 태도에 관련한 기초지식을 강화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식사의 규칙성과 식사횟수에 있어서는 부모의 특성과 월 가족 소득에서 차이가 나타나 고등학생 개인의 영양교육은 물론이고 가정을 연계한 영양지도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사횟수의 형성은 이미 고등학생 이전에 만들어져 고정되어 있는 결과가 나타나기에 특히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하여 그 중요성을 인지하도록 만들고 올바른 식습관으로 개선된 후 유지되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었다. 아침식사보다 점심식사에 대한 영향력이 나타난 결과를 보면, 아침식사에 대한 결식과 영양불균형을 예측해 볼 수 있었고 영양 섭취가 세 끼니에 골고루 분배될 수 있는 영양지도의 중요성과 아침식사와 결식에 고등학생의 식생활태도의 후속연구를 진행해야 할 필요성을 확신할 수 있었다. 본 조사의 결과는 남녀 고등학생이 식생활태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관련하여 분석해서, 실천적인식습관 형성 및 개선에 대한 개별적이면서 세부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가 활용되어지길 바란다. 또한 지속적이면서 다각적인 식사관련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 영양교육 시간이 정규 수업시간으로 정착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etary behavior patterns of high school students. As for regularity of meal,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more regular than those of the male students in a day. They answered 'between 4th and 6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s 'the time for formation about number of meal intake'. As for a highly influential meal, males were higher answered 'lunch (41.0%)' while females were higher answered 'breakfast (39.8%)'. About 'number of meals per day by the grade', they ate 3 times per day mostly. As for the time for formation about number of meal intake: 'before 4th to 6th in elementary school'>'before elementary school'. In the result of regularity of mea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a family of 5 was higher in regularity and those with pocket money showed lower regularity in meal. As for the person who prepares a meal, mothers prepared meals regularly. Also, higher parents age and education level resulted in more regularity in meals. In number of meals per da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y were eating 3 times; moreover, this trend was evident as parents' age and education level and the household income was higher. Students answered generally regularity in meal in family where parents' jobs were administrative assistant (father job (56.9%)) and housewife (mother (56.9%). In the formation time of meal intake number and general characteristics, they answered order 'middle school'> 'before elementary school'. A highly influential meal, they answered as the highest 'lunch' (37.6%). This study may provide information on dietary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suggesting that nutrition education or counseling can improve food habits and develop positive behavior.

목차

Abstract
서론
조사내용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문헌

참고문헌 (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2-511-004365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