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8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구기자는 식용가능하고 제2형 당뇨병 합병증인 지방간분해, 고혈압 및 고혈당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당 대사 및 지질 대사에 작용하는 정확한 기작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기에 탄수화물 소화효소인 α-amylase와 α-glucosidase의 저해활성 및 정상생쥐를 이용한 혈당강하 효과와 3T3-L1 adipocyte를 통하여 비만축적 억제효과를 보았다. 구기자 추출은 80% MeOH, 70% EtOH 및 열수추출하였으며 이들 중 α-amylase 50% 저해 활성(IC50)은 saliva α-amylase에서 acarbose, 80% MeOH, 70% EtOH, aqueous(7.04, 3.19, 3.20, 3.66 ㎎/mL), pacreas α-amylase acarbose, 80% MeOH, 70% EtOH, aqueous(10.97, 4.16, 3.07, 3.55 ㎎/mL)로 saliva α-amylase에선 acarbose보다 80% MeOH, 70% EtOH 추출물이 가장 낮은 농도에서 IC50값을 나타냈고 pacreas α-amylase에서는 70% EtOH 추출물이 가장 낮은 농도에서 IC??값을 나타냈다. 또한 10 ㎍/mL 농도에서 yeast α-glucosidase 활성저해 IC50값은 80% MeOH, 70% EtOH, aqueous(5.01, 4.98, 4.80 ㎍/mL)로 구기자 추출물 모두 acarbose(5.05)보다 우수한 IC50값을 나타냈다. 정상 생쥐에게 탄수화물 소화효소의 저해활성이 높은 70% EtOH추출물을 전분과 함께 경구투여 한 후 내당능을 측정한 결과, 전분과 함께 100, 200 ㎎/㎏ body weight를 경구투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투여 후 30, 60, 90, 120분에 혈당 증가가 낮았다. 또한 추출물을 100 ㎎보다 200 ㎎ 투여하였을 경우 대조군에 비해 각각 19% 및 40%씩 저하되었으며, 120분에는 대조군 수준이 되었다. 그리고 3T3-L1 adipocyte에서 비만축적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70% EtOH 추출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leptin, 중성지방 농도가 감소하였고 유리지방산 농도는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구기자 추출물 중 70% EtOH는 acarbose보다 높은 α-glucosidase, α-amylase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정상생쥐를 통해 식후 혈당증가를 저하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GLUT4 발현 역시 증가함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구기자 추출물이 지방축적 억제와 인슐린 저항성 억제 및 혈당강하 기전을 확인하여 제2형 당뇨병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 추후 더 연구하여 보다 더 정확한 성분을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obesity and hypoglycemic effects of Gugija (Lycium chinense Mill) extracts in 3T3-L1 adipocytes. We investigated the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Gugija. Gugija was extracted by 70% EtOH and 80% MeOH and aqueous, respectively. A single oral dose of Gugija extract inhibited the increase of blood glucose levels significantly at 0, 30, 60, 90 and 120 min and decreased incremental response areas under the glycemic response cur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Gugija 70% EtOH extracts may delay carbohydrate digestion and reduce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addition, triglyceride content in 3T3-L1 adipocytes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of Gugija 70% EtOH extract. Free fatty acid content in 3T3-L1 adipocytes was in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of Gugija 70% EtOH extract. Also, glucose transporter 4 (GLUT4), the key insulin signaling pathway transcription factor, was remarkably increased by the Gugija 70% EtOH extract when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cells in protein expression levels. Therefore, Gugija can be developed as an effective anti-obesity and hypoglycemic agent.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감사의 글
문헌

참고문헌 (4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11-019094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