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개망초를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각 부위별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개망초의 꽃, 잎, 줄기 및 뿌리의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53.15, 55.79, 36.71 및 42.61%로 각각 나타났다. 조섬유의 함량은 줄기와 뿌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꽃보다 잎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개망초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Na(19.55~33.78 ㎎/100 g), K(49.95~89.80 ㎎/100 g) 및 Ca(25.39~116.40 ㎎/100 g)으로 나타났으며, 개망초의 각 부위별 Ca의 함량은 꽃, 줄기 및 뿌리보다 잎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개망초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유리당으로는 sucrose(0.12~1.37%), glucose(0.68~1.08%) 및 fructose(0.56~1.66%)로 각각 나타났다. 개망초의 부위별 총 아미노산 함량은 꽃 2,509.74 ㎎/100 g, 잎 2,630.95 ㎎/100g, 줄기 889.54 ㎎/100 g 및 뿌리 1,201.41 ㎎/100 g으로 나타났으며, 꽃과 잎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tyrosine 및 proline로 나타났다. 또한 줄기에서는 lys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로 나타났고, 뿌리에서는 lysine, glutamic acid 및 proline로 나타났다. 개망초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유기산으로는 succinic acid(4.78~19.72 ㎎/100 g), tartaric acid(3.90~6.91 ㎎/100 g) 및 citric acid(1.79~6.60 ㎎/100 g)로 나타났다. 개망초에는 총 9종의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었고, 주요 지방산으로는 myristic acid(18.05~20.18%), oleic acid(18.50~32.91%) 및 linoleic acid(18.02~29.87%)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성분은 꽃과 잎에서 다른 부위보다 높게 나타났다.

The chemical components of different parts of Erigeron annuus were examined in order to use as a new functional food material. Nitrogen free extract contents of flowers, leaves, stems and roots were 53.15, 55.79, 36.71 and 42.61%,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crude fiber in the stems and roots were similar, while those in leaves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flowers. Mineral components of Erigeron annuus were rich in Na (19.55~ 33.78 ㎎/100 g), K (49.95~89.80 ㎎/100 g) and Ca (25.39~116.40 ㎎/100 g). Among the portions of Erigeron annuus Ca contents was slightly higher level in the leaves than those of flowers, stems and roots. The major free sugars of Erigeron annuus were sucrose (0.12~1.37%), glucose (0.68~1.08%) and fructose (0.56~1.66%). The contents of total amino acid in Erigeron annuus were 2,509.74 ㎎/100 g in the flowers, 2,630.95 ㎎/100 g in the leaves, 889.54 ㎎/100 g in the stems, and 1,201.41 ㎎/100 g in leaves. Abundant amino acids in the flowers and leaves were glutamic acid, tyrosine and proline. And abundant amino acids of stems were lysin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and its root were lysine, glutamic acid and proline. Organic acid components of Erigeron annuus were succinic acid (4.78~19.72 ㎎/100 g), tartaric acid (3.90~6.91 ㎎/100 g) and citric acid (1.79~6.60 ㎎/100 g). Nine fatty acids in Erigeron annuus were identified and the major fatty acids were myristic acid (18.05~20.18%), oleic acid (18.50~32.91%) and linoleic acid (18.02~29.87%). Total flavonoid and phenol contents were higher in leaf and flower extracts than any other extracts.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문헌

참고문헌 (2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11-018125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