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임신초기 모체의 엽산영양은 태아의 신경관 손상을 예방하는 측면에서는 물론이고 엽산 필요량이 증가하는 임신후기를 대비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임신초기에 있는 151명의 임신부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식사를 통해 얼마의 엽산을 섭취하는지를 조사하고, 혈청과 적혈구의 엽산 농도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하여 엽산영양상태를 평가하고, 이들의 엽산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조사당시 임신기간은 9.1±2.3주이었으며, 초산부가 46%이었고 나머지는 경산부이었다. 에너지 및 엽산 섭취량은 각각 1559±589 kcal/day 및 230.8±145.2 ㎍/day로 각 권장량의 72.5% 및 46.2%로 낮았다. 혈청과 적혈구의 엽산 농도는 각각 5.5±1.9 ng/mL 및 266.6±75.0 ng/mL으로, 연구대상자의 7.8%가 혈청 엽산 수준이 3 ng/mL미만인 결핍상태에 해당하였고 60.3%는 경계역(3~5.9 ng/mL)에 속하였으며, 적혈구 엽산 농도가 157 ng/mL미만인 결핍상태에는 4.3%가 해당하였다. 그러나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정상범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대상자의 엽산영양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고 판정되었다. 혈청 엽산 농도에 영향을 끼칠수 있는 유의한 인자는 건강상태점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연령(-), 임신기간(-) 및 엽산 섭취량(+) 순으로 그 영향력이 높았고, 적혈구 엽산 농도의 영향인자는 교육수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지난번 출산 영아의 출생시신장(+), 연령(-) 및 에너지 섭취량(+)이었고,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영향인자는 지난번 출산 영아의 출생시 신장(-), 경제수준(+), 혈청 엽산 농도(-)와 임신전 체중(+)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혈장이나 적혈구의 엽산 농도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하지 않고도, 임신초기에 있는 모체의 엽산영양상태를 개략적으로 판정하는데 있어 주관적으로 평가한 불량한 건강상태, 높은 교육수준 또는 경제수준, 지난번 출산에서 작은 체위의 영아를 출산한 경력, 고연령 또는 엽산이나 에너지 섭취량 부족을 위험인자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임신기간이 진행되었을수록 엽산영양상태가 저하되었을 가능성이 있음도 나타내준다. 앞으로 임신초기 임신부의 엽산영양상태를 어떤 위험인자를 몇 가지나 가졌느냐에 따라 평가하는 연구결과가 나와야 이들 위험인자의 실용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선 이들 위험인자를 많이 지닌 임신부라면 임신초기부터 엽산 섭취량을 늘리거나 엽산보충제 섭취를 일찍 시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엽산 영양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Folate nutrition in early pregnancy is crucial in order to prevent neural tube defects (NTDs) in the fetus and maternal folate deficiency in late pregnancy. If the influencing factors on maternal folate status are identified we may be able to detect the women at most risk of folate deficiency. This study intends to determine folate intakes, assess the levels of serum folate, erythrocyte folate, and plasma homocysteine, and reveal the influencing factors on maternal folate status in early pregnancy. A total of 151 healthy women in their first trimester volunteered for this study. The average length of gestation period was 9.1±2.3 weeks and seventy subjects were primipara. They consumed 1599±589 kcal/day of energy and 230.8±145.2 ㎍/day of folate. This represented 72.5% and 46.2% of the Korean RDA respectively for pregnant women in the first half of pregnancy. Results show that they consume less folate and energy due to morning sickness. Morning sickness correlated negatively with the intakes of energy, folate, and Kimchi also. Their levels of serum folate, erythrocyte folate, and plasma homocysteine were 5.5±1.9 ng/mL, 266.6±75.0 ng/mL, and 7.0±1.8 μ㏖/L, respectively. Results indicate that 7.8% were deficient and 60.3% were borderline deficient in serum folate, 4.3% were deficient in erythrocyte folate, however, all had normal levels of plasma homocysteine. Results indicate that the folate status was not poor. Contributing factors influencing serum folate concentrations (R² = 0.724, p = 0.0001) were self-reported health status (+), folate intake (+), age (-), length of gestation (-), and homocysteine levels (-). Factors influencing erythrocyte folate concentrations (R2 = 0.570, p = 0.0029) were the infant birth height of the last pregnancy (+), energy intake (+), age (-),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 and education level(-). Factors influencing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R² = 0.450, p = 0.0051) were income level (+), prepregnancy weight (+), serum folate concentration (-), and the infant birth weight of the last pregnancy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egnant women are likely to have a folate deficiency if they are in poor health status, having a history of delivering small infant and low energy and/or folate intake, and/or are older. And folate status is likely to decline as pregnancy progresses.

목차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감사의 글

문헌

참고문헌 (3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11-018121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