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고콜레스테롤 섭취 흰쥐에서 이눌린과 올리고 당의 종류를 달리한 식이가 지질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Sprague-Dawley종 숫쥐를 군당 9마리씩 배정하여 5주간 1% 콜레스테롤과 0.25% cholic acid를 함유한 기본식 이에 6% 수준으로 혼합한 이소말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눌린올리고당 및 치커리 이눌린 실험 식이로 사육하였으며, 프락토올리고당 섭취량을 기준 섭취량으로하여 pairfeeding하였다. 체중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프락토올리 고당과 치커리 이눌린을 섭취한 쥐들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혈당은 프락토올리고당과 이눌린올리고당이 이소말토올리 고당에 비해 낮았다. 혈장 중성지방 농도는 이소말토올리고당에 비해 프락토올리고당, 이눌린올리고당과 치커리 이눌린 군들에서 낮았으나, 대조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혈장 콜레스테롤 농도는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체중 100 g당 간 중량은 대조군에 비해 이눌린올리고당과 이눌린 섭취군이 가장 적었으나, 간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과 올리고당 섭취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변으로의 중성 스테로이드 배설량과 분변의 담즙산 배설량도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분변의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프락토올리고당군과 치커리 이눌린군에서 높았다. 결론적으로 식이 6% 수준의 올리고당과 이눌린 섭취가 콜레스테롤과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으나, 프락토올리고당, 이눌린올리고당, 이눌린과 이소말토올리고당 사이에 차이를 보였으므로 올리고당의 종류에 따라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다고 보여진다.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effects of chicory inulin and three kinds of oligosaccharide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Nine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about 190 g were given one of five experimental diets, which were basal cholesterol diet (Control), isomaltooligosaccharide diet (IMO), fructooligosaccharide diet (FO), chicory inulooligosaccharide diet (CIO) and chicory inulin diet (CI), for 5 weeks. In the oligosaccharide and inulin diets, 6% was added at the expense of sucrose. Rats were pair-fed to the intake of FO group which consumed the least amount, and their feces were collected during the last 4 days. Body weight gain was lower in FO and CI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lasma glucose levels of FO and CIO groups were lower and plasma triglyceride concentrations of FO, CIO, and CI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IMO group.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 did not differ among groups. Relative liver weight was lower in CIO group. Hepatic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did not differ among groups. Fecal excretion of neutral steroid and bile acid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s, but fecal triglyceride excre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FO and CI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oligosaccharides and chicory inulin at 6% of diets showed no significant hypolipidemic effect in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감사의 글

문헌

참고문헌 (3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11-018121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