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경호ㆍ경비분야 연구의 내용분석에 따른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개발방향 탐색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through Content Analysis of the safety security guard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국보안관리학회(구 한국경호경비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시큐리티 연구 바로가기
  • 통권
    제51호 (2017.06)바로가기
  • 페이지
    pp.251-272
  • 저자
    박영만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05302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1,279 articles related to administrative, management, marketing, and service for private clients among the scholarly research results in the field of security and security, and categorizes the main topic security, private secu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security and security sciences were first identified by finding 32 subordinate or related subjects in each category. The situ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environment which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needs of academia and the age was confirmed. The task of improving security and security scienc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is the expans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related to management and service, which are suitable for the major course of the major. And the analysis of socio-scientific disciplines and job types in the field of security and security In this study, fir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anagement and marketing measurement tool suggesting the specificity of security and security busin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learning units of management skill related to management and marketing.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security related departments, we proposed the necessary precondi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s.
한국어
이 연구는 경호․경비분야의 학술지 연구 성과물 중 민간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행정, 경영, 마케팅, 서비스 관련 연구 1,279편의 내용을 분석하여 상위 주제어 경호, 민간경비, 안전, 경찰을 대범주화하고 각각의 상위 범주에 8개씩 모두 32개의 하위 또는 연관 주제어를 찾아 경호․경비학의 주요 학문적 성과를 먼저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적 성과에 따른 대학의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주요 대학의 교육과정과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비교하였으나 학계와 시대의 요구에 비하여 미흡한 교육과정 및 환경의 상황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경호․경비학의 개선 과제는 배출되는 전공자의 주요 진로에 적합한 경영 및 서비스 관련 교육과정의 확충이다. 그리고 경호․경비업 분야에 대한 사회과학적 학문 및 직종 분석에 대한 세밀함이 더욱 요구된다. 이에 이 연구는 첫째, 경호․경비업의 특수성을 제안하는 경영 및 마케팅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 둘째, 경영 및 마케팅 관련 직무능력 학습단위의 재고가 필요, 셋째, 경호관련 학과 개성 목적 및 목표의 명확성 재고가 필요를 경호․경비학 관련 전공학과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해 필요한 전제 조건 및 개선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영만 [ Park, Young-Man | 중원대학교 경호학과 교수 ] 제1저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보안관리학회(구 한국경호경비학회) [Korean Security Management Association]
  • 설립연도
    1996
  • 분야
    사회과학>행정학
  • 소개
    경호경비학 및 이에 관련된 학술의 조사·연구·발표 및 발전과 보급을 기하고 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함

간행물

  • 간행물명
    시큐리티 연구 [KOREAN SECURITY JOURNAL]
  • 간기
    계간
  • pISSN
    2671-4299
  • 수록기간
    1997~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50 DDC 351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시큐리티 연구 제51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