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63.62
3.145.63.62
close menu
KCI 등재
스마트러닝 이용자의 기본심리욕구와 감정반응 및 학습성과의 관계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Smart Learning Users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sponse and Learning Outcomes
박복원 ( Park Bok-won )
융합과 통섭 5권 1호 138-154(17pages)
DOI 10.33090/SFCC.5.1.9
UCI I410-ECN-0102-2023-300-00074738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이용자의 기본심리욕구와 감정반응 및 학습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20년 9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50일 동안 서울특별시를 5대 광역으로 나누어 균등하게 정부의 코로나19 예방에 근거, 사회적 거리두기를 고려하여 스마트러닝 이용자를 중심으로 스마트폰, 온라인을 이용한 집락무선표집법을 실시하여 529명을 표집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경로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은 Cronbach's .852~.883 미만이다. 결과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심리 욕구는 감정반응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 욕구는 학습성과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반응은 학습성과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마트러닝 이용자의 기본심리욕구와 감정반응 및 학습성과 간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매개변수 감정반응은 기본심리 욕구와 학습성과를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로 밝혀졌다. 결론 디지털 환경으로의 빠른 전환 속에서 스마트러닝을 이용한 감정 반응은 미래사회의 중요한 요인이다.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smart learning users, emotional responses, and learning outcomes. METHOD During the study perio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s divided into five metropolitan areas from September 1 to October 10, 2020, and 529 people were sampled by conducting oil sampling using smartphones and online, focusing on smart learning users, based on the government's prevention of COVID-19.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emotional reactions, and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it was foun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response. Third, it was foun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of smart learning user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response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learning performance of smart learning users. Fifth, us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using smart learning directl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response and learning outcomes, but parameter emotional respons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variable mediat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learning outcomes CONCLUSION In the rapid transition to a digital environment, emotional response using smart learn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future society.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