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정보 활용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연구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Enhance Information Util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약어 : -
2020 vol.23, no.2, pp.73 - 82
DOI : 10.32431/kace.2020.23.2.008
발행기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69 회 열람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일반적인 현황 및 정보화실태를 분석하고, 정보화교육의 기본방향을 모색하고자 교육 참여자들의 학습 시 나타나는 특성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북한이탈주민들이 학습 시 나타내는 특성은 새로운 기기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느린 학습, 정보화용어와 외국어의 낯설음으로 인한 학습곤란, 본인이 닥친 상황이 아닌 경우 무관심으로 인한 정보유실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학습자특성 및 요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 정보화교육 활성화를 위해 단계적 반복에 의한 전략, 남북한 정보화 용어사전을 활용한 전략, 취업중심 및 소통을 위한 전략, 생활밀착형 교육을 위한 전략의 STEP모형을 제안하였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정보화 수준을 높이는 것은 성공적인 남한정착에 도움일 될 것이며, 이는 장차 이루어질 통일한국의 소중한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eral informatization situ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learners in order to provide the directions of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ey are slow learners due to the fear of new devices, have difficulty in learning due to the unfamiliar language of information and English, and indifferent when the situation is not related to themselves. Based on these learner characteristics and needs, this study suggests the strategies of step-by-step repetition, use of North and South Korean dictionary of the information terminology, apply job-centered and communication abilities, and suggested a four-element STEP model. Raising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will help establish a successful settlement to South Korea. This will be a valuable foundation and a stepping stone for the future unification of Korea.

교수학습 전략, 북한이탈주민 교육, 정보 활용 강화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North Korean Defectors, Enhance Information utilization

  • 1. [보고서] 통일부 / 2019 / 2019 통일백서 : 205 ~
  • 2. [학술지] 윤상오 / 2007 / 남북한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 10 (4) : 135 ~ 4 kci
  • 3. [기타] 강진규 / 2018 / 북한 이탈주민 정보격차 실태와 변화 / NK경제
  • 4. [보고서] 유석진 / 2004 / 남북간 정보격차 대응방안 연구
  • 5. [학술지] 김은주 / 2007 / 국내입국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특성연구 / 한국교류분석협회지 / 4 (2) : 33 ~ 2
  • 6. [기타] /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법률제16223호)
  • 7. [보고서] 이상만 / 2000 / 하나원 사회적응 교육 프로그램 평가 및개선방안
  • 8. [보고서] 김정규 / 2009 /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서안정 및 초기적응력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 9. [학위논문] 이형종 / 2018 / 북한이탈주민의 공감 능력과 경험연구
  • 10. [학술지] 윤여상 / 2002 / 북한이탈주민 지원 인적자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한국동북아학회지 / 23 : 129 ~
  • 11. [학위논문] 김선화 / 2005 /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사회 적응의 어려움과 통일교육의 방향
  • 12. [보고서] 구현정 / 2016 / 남북한 의사소통방식 차이 극복방안 연구 : 193 ~
  • 13. [보고서] 조석주 / 2011 / 북한이탈주민 지역정착을 위한 사회통합 지원정책연구
  • 14. [기타] 한국산업인력공단 / 2015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분류
  • 15. [단행본] 남성욱 / 2002 / 북한의 IT산업발전전략과 강성대국 건설 / 한울아카데미
  • 16. [보고서] 한국정보화진흥원 / 2018 /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보고서
  • 17. [학술지] 조용완 / 2006 / 북한이탈주민의 정보빈곤 해소를 위한 정보서비스 방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7 (3) : 325 ~ 3 kci
  • 18. [학술지] 이찬 / 2007 / 새터민의 기초직업능력 진단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39 (3) : 213 ~ 3 kci
  • 19. [학술대회] 한세억 / 2007 / 지식정보시대의 남북간 정보화현황 및 정보격차 해소방안 /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1121 ~
  • 20. [보고서] 이기식 / 2008 / 국민정보화교육의 효과 및 성과 분석
  • 21. [단행본] 권두승 / 2016 / 성인학습 및 상담 / 교육과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