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학교수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행한 비대면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M대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수 194명과 M대학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1543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또한, 동영상 콘텐츠 제작 방식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교육과 학생 23명과 이공계 학생 8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한 학기 동안 수업동영상을 활용하여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한 후 학기말에 학생들의 각 교과목에 대한 강의평가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원격수업 유형 중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방식은 강의자료를 활용한 음성녹음 방식이나 수업 동영상 콘텐츠 제작 방식이다. 둘째, 동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은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에게 학습 만족도가 높은 수업방식이다. 셋째, 교수자의 많은 사전 준비와 학습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non-face-to face classes at the univers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4 professors and 1,543 students at the M University. In addition, it selected 23 mathematics students and 80 students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using video contents method. It surveyed the evaluation from students after progressing online classes using video for one seme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preferred the types of distance education as the audio recording using lecture materials or class video contents. Secondly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autodidactic background students was ranked highly for the online class using video contents. Finally professors advanced preparation and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students enhanced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 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