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lans for Improving Functions of Conservation Science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 기능 발전 방안연구

  • Chung, Yongjae (Department of Heritage Conservation &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Jeong, Seonhye (Department of Heritage Conservation &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Lee, Nara (Department of Heritage Conservation &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Moon, Hyeyoung (Department of Heritage Conservation &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정용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정선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이나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문혜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Received : 2018.03.15
  • Accepted : 2018.05.04
  • Published : 2018.05.31

Abstract

As a leading institution for conservation science in Korea,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NMK) has conducted diverse efforts in this field through conservation treatment, analysis, research, and other relevant affairs over the past four decades. However, conservation science at the NMK has been facing difficulties due to insufficient human resources for handling its extensive collection, decrepit equipment, an expanding number of requests for support from other institutions, and increasing calls for enhancing its functions. In view of these challenges, this study diagnosed the current situation and examined the functions required in order to suggest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conservation science at the NMK. In this regard, it reviewed current activities at the museum and conducted case studies of overseas institutions to propose five functions to be enhanced or introduced at the NMK. First, the NMK should refine the existing functions of conservation treatment and enhance its support for conservation science.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o introduce and develop advanced analysis and diagnosis involving valuations, conservation environment management to counter climate change, and content-based digital conservation/restoration. The functional enhancements and introduction of the new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would help the NMK develop into a leading center for conservation science in Asia.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 40년간 한국 보존과학의 중심 기관으로 보존처리, 분석 및 연구 등 다양한 업무를 하였다. 그러나 소장품 대비 처리 인력 부족, 장비 노후화, 외부 기관의 업무 지원 요구와 기능 강화 등의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 분야의 발전 방안을 위한 상황을 진단하고, 향후 요구되는 기능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박물관 현황 진단 및 국외 사례 분석을 통해 보존과학이 발전하기 위한 5가지 기능을 제시하였다. 기존 보존처리 기능 및 보존과학 지원 기능의 강화가 필요하다. 또한 가치 판단을 포함한 첨단 분석 및 진단 기능, 기후 변화에 따른 박물관 보존환경 및 관리 기능, 그리고 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보존·복원 기능을 신설하고 확대 운영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기능 강화 및 신규 기능 확대를 통해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은 향후 아시아의 중심 보존과학센터로서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중앙박물관, 2011 국립박물관 연보, p54-113, 형우디앤피, 서울, (2012).
  2. 국립중앙박물관, 2012 국립박물관 연보, p60-111, (주)계문사, 서울, (2013).
  3. 국립중앙박물관, 2013 국립박물관 연보, p50-106, (주)계문사, 서울, (2014).
  4. 국립중앙박물관, 2014 국립박물관 연보, p56-125, (주)계문사, 서울, (2015).
  5. 국립중앙박물관, 2015 국립박물관 연보, p20-36, (주)계문사, 서울, (2016).
  6.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전통문화과, 2015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p215-485, (주)계문사, 세종, (2015).
  7.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THE MET), Conservation and Scientific Research, https://www.metmuseum.org/ about-the-met/conservation-and-scientific-research, (2016).
  8. 김은주,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적 운영방안: 국립박물관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화관리학과, 석사학위 논문, p36-39, (2013).
  9. Victoria and Albert museum(V&A), V&A Resources-Courses, https://www.vam.ac.uk/whatson/?type=course#wonav, (2016).
  10.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GCI), Publications & Resources, http://www.getty.edu/conservation/publications_resources/, (2016).
  11.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 발전 방안연구, 국립중앙박물관, p29-30, p50-55, (2016).
  12.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 우리 문화재를 지키다, p8,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2016).
  13.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ICOM), Museum Definition, http://icom.museum/the-vision/museum-definition/, (2016).
  14. 김영숙, 에코뮤지엄(Ecomuseum) 개념 도입을 통한 박물관의 새로운 발전 가능성 연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석사학위 논문, p35-37, (2002).
  15. 하수봉, 박수근 회화의 표현기법 연구,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 논문, p1-4, (2012).
  16. 대한석유협회, 기후변화협약 현황과 대책, 대한석유협회, p86-89, 11, (2003).
  17. 이진영, 제주도 제4기 미고결 퇴적층 연구 중장기 계획 수립, p22-2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6).
  18. 김지영, 국내 석조유산의 기후변화 영향: 연구동향과 미래전망, 보존과학회지 32(3), p437-448,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3.14
  19. 이귀복, 계절별 보존서고 온.습도 기준 조정과 에너지 절약 분석, (사)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제41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p59-62, (2015).
  20.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Committee for conservation (ICOM-CC), Environmental Guidelines ICOMCC and IIC Declaration, http://www.icom-cc.org/332/-icom-cc-documents/declaration-on-environmentalguidelines/#.Wq8qV9qrSM8, (2016).
  21. 오성환,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가치화를 위한 표준화 방안 연구, 문화콘텐츠연구 3, p171-220, (2013).
  22. 이해순, 위광철, 3D 프린팅을 이용한 토기.자기 문화재 복원 연구, 보존과학회지 31(2), p131-145, (2015). https://doi.org/10.12654/JCS.2015.3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