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Healing Effect of 'Self-archetype' Manifested in the Analysis of 'Hunger' and 'Compulsive Overeating' : Investigation Focused on the 'Serpent' Imago

'배고픔'과 '폭식충동'을 주소로 하는 내담자의 분석과정에서 발현된 '자기원형'의 치유적 기능 : '뱀'의 상징을 중심으로 한 고찰

  • Kim, Kye-Hee (Department of Psychiatry, Yong-In Mental Hospital, Yongin Korea C.G. Jung Institute of Korea)
  • 김계희 (용인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국융연구원)
  • Received : 2017.05.25
  • Accepted : 2017.06.19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Objectives : In this study I made investigations how 'strange hunger' and 'compulsive overeating' threatening the ego could be resolved and healed. And I aim to present a healing model of psychotherapy and analysis as one of methods of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Methods : The analysands of this study were out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f Yong-In Mental Hospital from March 2008 to February 2017 with 'hunger' and 'compulsive overeating' as their chief complaints. This study is based on the detailed records of the process of analysis including dreams and visions. Results : 1) Throughout the process of analysis that explore both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dream, vision), hunger and compulsive overeating is improved and healed in all analysands. 2) The Imago of 'Snake' appeared in dreams and visions of all analysands. 3) By suffering impulse rather than acting it out, impulse transformes itself into 'Imago'. As impulse transforms into 'Imago' and reveals the 'meaning' of it, ego-threatening power of impulse weakens and mood is calmed. And as a result, synthesis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creative transformation of personality can be possible. Conclusions : In some people, 'hunger' and 'compulsive overeating' are 'creative impulses' that aim 'Self-realization' which can be fruited as creative transformation of personality and as creative transformation in the relation with the world. 'Creative impulses', which often can be experienced as instinctive impulse or emotional suffering unless ego realizes the meaning, reveal the meaning in dreams or visions through 'Imago' and 'Symbol'.

연구목적 자연스러운 본능으로서의 배고픔과는 다르며, 의식의 자아를 습격하듯이 위협적으로 찾아들기도 하며, 정서적 고통을 수반하기도 하는, 낯설고 이질적인 '이상한 배고픔'과 '강박적 폭식충동'이, 분석과정에서 어떤 경과를 취하며 어떻게 해소되고 치유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증상으로 체험되던 고통의 목적의 미에 대해 살펴보고, '식이장애' 증상군을 이해하고 조명하는 하나의 관점과 치료방법으로서, 분석의 치유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08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이상한 배고픔'과 '폭식충동'을 주소로 용인정신병원 외래를 방문한 A, B, C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주 1~2회, 1회에 55분,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의식과 현실의 상황, 어린시절을 포함한 개인사 및 가족력과 더불어 무의식(꿈, 환상)을 함께 살펴나갔다. 분석과정의 기록이 본 연구와 논문의 토대가 되었다. 결과 1) 의식과 무의식(꿈, 환상)을 함께 살펴나가고 꿈의 상과 상징을 주관단계로 이해하는 분석 과정을 통해서, '무의식의 의식화'와 '인격의 창조적 변환'이 진행되었으며, 피분석자 모두에서 '이상한 배고픔'과 '폭식충동'의 호전과 치유가 진행되었다. 2) 피분석자들의 꿈과 환상에서 '전체성의 원형(자기원형)'으로 볼 수 있는 '뱀'의 상(Imago)이 공통적으로 나타남이 관찰되었다. 3) 피분석자C의 환상에서 폭식충동이 뱀의 '상'으로 변환됨으로써 폭식충동이 점차 사라지고 마음의 평정을 회복하게 되었다. 투사(전이)를 인식하고, 외부대상(분석가)과의 분리(separation, detachment)가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무의식적이었던 심리적 내용이 인식됨으로써 '의식과 무의식의 합성'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되었다. 결론 피분석자 A, B, C에서 배고픔과 폭식충동은 자신의 본성과 개성을 회복하고 자신의 전체가 되는 '자기실현'을 목적지로 하며, '무의식의 의식화 인격의 창조적 변환 세상과의 창조적 관계변환'으로 귀결되는, '창조적 충동'이라고 볼 수 있다. '창조(재탄생)'라는 목적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나 의식의 자아가 그 의미를 깨닫기 전에는 정서적 고통과 본능적 충동으로 체험되기도 하는 '창조적 충동'은, 꿈이나 환상을 통해 '상'과 '상징'으로 드러나게 됨으로써, 의식의 자아에게 그 의미가 알려지게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Jung CG. Commentary on "The Secret of Golden Flower. CW 13.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Ltd.;1929. p.44-54.
  2.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서울: 한길사;2002. p.80.
  3.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서울: 한길사;2002. p.83.
  4. Jung CG. Aion, CW 9-ii.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Ltd.;1951. p.56.
  5.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서울: 한길사;2002. p.55-58.
  6. 폰프란츠/이부영 외 옮김. 개성화 과정.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서울: 집문당;1983. p.166.
  7. Rhi BY. Textbook of Analytical Psychology. 3rd edition. Seoul: Iljogak;2011. p.215-216.
  8. C.G. 융/C.G융저작번역위원회 옮김. 정신요법의 기본문제. 서울: 솔;2004. p.86.
  9. Jung CG. The Philosophical Tree.CW 13. London:Routledge and Kegan Paul Ltd.;1954. p.253-341.
  10. C.G. 융/C.G융저작번역위원회 옮김. 연금술에서 본 구원의 관념. 서울: 솔;2004. p.164-168.
  11. M.L. 폰프란츠/심상영 옮김. 융심리학과 고양이. 여성적인 것의 구원에 관한 이야기. 서울: 한국심층심리연구소;2013. p.91-92.
  12. C.G. 융/C.G융저작번역위원회 옮김. 인격과 전이. 서울: 솔; 2004. p.229. p.344-345.
  13. Sibylle Birkhauser-Oeri. The Mother. Archetypal Image in Fairy Tale. Toronto: Inner City Book;1988. p.144.
  14. Chevalier J & Gheerbrant A(tr. by Buchanan-Brown). The Penguin Dictionary of Symbols. London: Penguin Books;1996. p.977-978.
  15. C.G. 융 /이부영 옮김. 현대의 신화. 서울:솔;2013. p.62-67'
  16. M.L. 폰프란츠/이부영 옮김. C.G 융. 우리 시대 그의 신화. 서울: 한국융연구원;2016. p.162.
  17. C.G. 융/C.G융저작번역위원회 옮김. 인격과 전이. 서울: 솔; 2004. p.229. p.344-345.
  18. 김계희. 분석 과정에서 꿈과 환상으로 나타난 '신의 육화' 상징의 의미와 치유적, 창조적 작용에 관한 고찰. C.G.융의 '자기실현'과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신학과 실천 2017;54:319-320
  19. Jung CG. Psychological Types. CW 6.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Ltd., 1921. p.814-829.
  20. C.G. 융/C.G융저작번역위원회 옮김. 인격과 전이. 서울: 솔; 2004. p.269-271.
  21. C.G. 융/C.G융저작번역위원회 옮김. 인격과 전이. 서울: 솔; 2004. p.263, 350-351.
  22. Hannah B. The Archetypal Symbolism of Animals. Lectures given at the C.G.Jung Institute, Zurich, 1954-1958. Wilmette, Illinois:Chiron Publications;2006. p.129-263.
  23. Jung CG. Aion. Research into the Phenomenology of the Self. CW 9ii. Princeton:Princeton Univ. Press;1969. p. 249-250.
  24. Jung CG. Visions. Princeton:Princeton Univ. Press;1997.
  25. Jung CG. Nietzsche's Zarathustra. Princeton:Princeton Univ. Press;1998.
  26. Jung CG. Paracelss as a Spiritual Phenomenon. CW 13.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Ltd.;1942. par. 180.
  27. Jung CG. The Psychology of Kundalini Yoga, Notes of the Seminar Given in 1932.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Ltd.;1994. p.20-25.
  28. Jung CG. The Philosophical Tree. CW 13.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Ltd.;1951. p.328-337.
  29. Jung CG. Psychological Analysis of Nietzsche's Zarathustra. Unpublished seminar notes. Recorded and mimeographed by Mary Foote;1935. p.131.
  30. Meier CA. Psychosomatic Medicine from the Jungian Point of View, C.A. Meier. Soul and Body. Santa Monica: The Lapis Press;1986. p.168-189.
  31. Stein R. Body and psyche. An archetypal view of psychosomatic phenomenoa. Spring;1976. p.66-80.
  32. Abt T. Archetypische Traume zur Beziehung zwischen Psyche und Materie. Heidelberg:Spring;1994.
  33. 이부영. 정신과 신체.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심성연구 2004;30:1-32.
  34. 김성민. 마이스터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와 분석심리학. 신학과 실천 2014;41:311.
  35. C.G. 융/C.G융저작번역위원회 옮김. 원형과 무의식. 서울: 솔; 2002. p.34.
  36. C.G. 융/C.G융저작번역위원회 옮김. 연금술에서 본 구원의 관념. 서울: 솔;2004. p.82-84.
  37. M.L. 폰프란츠/이부영 옮김. C.G 융. 우리 시대 그의 신화. 서울: 한국융연구원;2016. p.265-266.
  38. M.L. 폰프란츠/이부영 옮김. C.G 융. 우리 시대 그의 신화. 서울: 한국융연구원; 2016. p.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