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간호대학생의 팬데믹에 대한 윤리인식과 표준주의 건강신념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ical Awareness about Pandemic and Health Beliefs of Standard Precaution on the Performance Standard Precaution of Nursing Students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대한산업경영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바로가기
  • 통권
    제21권 제1호 (2023.01)바로가기
  • 페이지
    pp.137-145
  • 저자
    최동원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24099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ethical awareness about pandemic and health beliefs of standard precaution on performance standard precaution of nursing students. The survey was performed on 163 nursing students in three universitie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5.0 program. Study findings revealed that performance standard precaution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thical awareness about pandemic(r=.17, p=.033), perceived susceptibility(r=.33, p<.001), perceived severity (r=.24, p=.003), perceived benefits(r=.35, p<.001) and perceived obstruction(r=-.31, p<.001). The factors that had the influences on performance standard precaution were the perceived benefits(β=.20, p=.014)) and perceived obstruction(β=-.20, p=.008). And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appeared as being 18.1%(F=8.09, p<.001).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infection education program that considers ethical awareness, and perceived severity and obstruction among health beliefs of standard precaution to improve performance standard precaution of nursing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팬데믹에 대한 윤리인식과 표준주의 건강신념 요인을 조사하고, 이들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3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163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 된 자료는 SPSS 25.0의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및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표준주의 수행도는 윤리인식(r=.17, p=.033), 지각된 민감성(r=.33, p<.001), 지각된 심각성(r=.24, p=.003) 및 지 각된 유익성(r=.35,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지각된 장애성(r=-.31,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표준주의 수행도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8.09, p<.001), 지각된 유익성(β=.20, p=.014)과 지각 된 장애성(β=-.20, p=.008)이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8.1%이 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 윤리인식과 함께 표준주의 건강신념 요인 중 유익성 및 장애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 수집 및 윤리적 고려
2.5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특성
3.2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표준주의 수행도의 차이
3.3 대상자의 팬데믹에 대한 윤리인식, 표준주의 건강신념과 표준주의 수행도
3.4 변수 간의 상관관계
3.5 대상자의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최동원 [ Dongwon Choi | 인천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부교수 ] Corresponding Autho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대한산업경영학회 [Dae Han Society of Industrial Management]
  • 설립연도
    2003
  • 분야
    복합학>과학기술학
  • 소개
    본 학회는 산업체·학계·연구소 등의 회원 상호간에 정보교환 및 지원을 통하여 산업경영에 관한 학문발전을 도모하고 산학에 관한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그 설립 목적을 두고 있다.

간행물

  • 간행물명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간기
    월간
  • pISSN
    2635-8875
  • 수록기간
    2003~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23 DDC 338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산업융합연구(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제21권 제1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