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248.239
13.58.248.239
close menu
KCI 등재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Social Welfare Officials: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이은실 ( Eunsil Lee ) , 정주연 ( Juyeon Jeong ) , 금창민 ( Changmin Keum )
인문사회 21 12권 5호 1247-1261(15pages)
DOI 10.22143/HSS21.12.5.88
UCI I410-ECN-0102-2022-000-000901124

본 연구는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전국 지자체에 근무하는 사회복지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189부의 응답자료 중 184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4.0을 활용했으며, bootstrap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마음챙김, 소진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마음챙김에 부적 영향을, 그리고 소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음챙김은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마음챙김을 매개하여 소진에 미치는 간접효과의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스레스로 인해 소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데에 마음챙김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공무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마음챙김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job stress on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 survey was conducted on social welfare officials working in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and data from 184 copies out of 189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SPSS PROCESS Macro Model 4.0 was used for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checked using bootstrap.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mindfulness, and burnout. The job str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mindfulness and a positive effect on burnout. Also, it was found that mindful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job stress on burnout by mediating mindfulness was verified. Finally, it was mentioned that burnout can occur due to job str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that mindfulness can help reduce these negative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supporting a mindfulness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social welfare officials was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