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8931.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두경부암에서 면역회피 기전과 면역항암제 치료

Immune Evasion Mechanism as a Guide for Immunotherapy in Head and Neck Cancer

  • 513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은 전세계적으로 6번째로 흔하며 예후가 불량한 암종이다. 면역 감시는 두경부암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하는 중요한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두경부암세포는 면역 감시를 T세포의 관용을 유도하거나 체크포인트를 통한 T세포 기능을 억제하는 등의 방법으로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진행성 두경부암 임상연구에서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명확한 항종양효과를 입증하였다. 이처럼 면역항암제가 중요한 암치료 방법으로 떠오르는 이때에 본 종설은 두경부암의 면회회피 기전 및 임상적용근거에 대한 최근 지식을 정리하였다.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is the sixth most common cancer globally with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Immune surveillance is well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chanism to prevent development or progression of HNSCC. HNSCC can escape the immune system through multiple mechanisms including development of tolerance in T cells and inhibition of T-cell-related pathways, generally referred to as checkpoint inhibitors. Recent clinical trials have demonstrated a clear advantage in advanced HNSCC patients treated with immune checkpoint blockade. Right at the front of the new era of immunotherapy, we will review current knowledge of immune escape mechanisms and clinical implication for HNSCC.

Abstract

서론

두경부암에서 면역 회피 및 치료 타겟

항원 제시 및 처리

면역 체크포인트 수용체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