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경상남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sangnam-do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을 조사하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긍정적이고 실천적인 식생활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에 소재한 한 특성화고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70부를 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25.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생활환경은 ‘부모’와 동거하는 학생이 57.40%로 가장많았고, 월 소득 수준은 ‘하’가 55.56%로 가장 많았다. 둘째, 조사 대상자의 식습관은 1일 ‘2식’을 섭취하는 학생이 64.81%로가장 높게 나타났고, 1일 ‘1식’의 경우 식사 장소는 ‘학교 급식소’가 65.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영양지식 수준을 분류한결과 ‘상’이 37.78%, ‘중’이 37.41%, ‘하’가 24.81%를 나타냈다. 영양교육에 관한 경험은 최근 12개월 동안 영양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없다’가 64.44%로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35.56%로 교육 경로는 ‘학교(교사)’가72.9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에게 발생할 수 있는 청소년 식습관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가정, 학교, 지역사회가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이루어야 하고, 더 나아가 정부의 아낌없는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들이 알고 있는 영양지식이 올바른 식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실천 중심의 식생활교육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students' current eating behavior and nutritional knowledge to provide researchers with basic data that can help students with positive, practical, and healthy eating habits. For this purpos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students of a vocational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sangnam-do. A total of 27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5.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57.40% of students lived with “parents,” and 55.56% of students' household monthly income levels were “Low.” Second, as for the eating behavior of the subjects, the students who ate ‘two meals’ a day showed the highest at 64.81%, ‘one meal’ occupied 17.41%, and those who ate one meal a day, ‘School cafeteria’ was the eating place most frequently mentioned (65.96%). Third, when student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ir nutritional knowledge levels, “High” group comprised 37.78%, “Moderate” group 37.41%, and “Low” group 24.81% of the total students. Regarding the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64.44% answered ‘no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in the last 12 months, and among the 35.56% of students who had received nutrition education, 72.92% received the education from school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to prevent problems with the eating habits that can occur to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organic cooperation between families,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s required. Furthermore, ful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needed. In addition, more efforts are needed for practice-oriented dietary education so that nutritional knowledge can be converted into correct eating behavior.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