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아동, 청소년 대상 소비관련 연구 키워드 분석

Keyword Analysis of Research on Consump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Text Mining

  • 319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으로 최근 20년간 아동, 청소년 대상 소비 관련 연구의 주요어를 분석하여 소비 관련 연구의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CI 등재/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아동, 청소년의 소비관련 연구 869편의 주요어를분석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가장 빈도가 높은 주요어는 청소년, 청소년소비자, 소비자교육, 과시소비, 소비행동, 캐릭터, 경제교육, 윤리적소비 순으로 나타났다. 5년 단위로 주요어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2006년~2010년에는 소비자교육의 빈도가 월등하게높아 이 시기에 소비자교육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1년 이후 윤리적소비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졌으며, 최근 5년 동안은 두드러지는 주요어가 없는 대신 다양한 주제로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TF-IDF 기준으로주요어를 살펴보면 2001년~2005년 사이에는 환경과 인터넷 관련 단어가 주요 키워드였다. 2006년~2010년에는 미디어이용, 광고교육, 인터넷아이템, 2011년~2015년에는 공정무역, 녹색성장, 녹색소비, 북한이탈청소년, 소셜미디어, 2016~2020년에는 텍스트마이닝, 지속가능발전교육, 메이커교육, 2015개정교육과정이 중요한 용어로 등장하였다. 토픽모델링 결과, 소비자교육, 대중매체/또래문화, 합리적 소비, 한류/문화산업, 소비자역량, 경제교육, 교수학습방법, 친환경/윤리적소비의 8개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동시출현 빈도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아동, 청소년 관련 소비 연구에서 과시소비와 소비자교육이 중요한 연구주제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and potential themes of research on consump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20 years by analyzing keywords. The keywords of 869 studies on consump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published in journals listed in Korean Citation Index were analyz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most frequent keywords were found in the order of youth, youth consumers, consumer education, conspicuous consumption, consumption behavior, and charact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keywords by dividing into five-year periods, it was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of consumer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betwn 2006 and 2010. Research on ethical consumption has been active since 2011,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various topics instead of without a prominent keyword during the most recent 5-year period. Looking at the keywords based on the TF-IDF, the keywords related to the environment and the Internet were the main keywords between 2001 and 2005. From 2006 to 2010, the TF-IDF values of media use, advertisement education, and Internet items were high. From 2011 to 2015, fair trade, green growth, green consumption, North Korean defector youths, social media, and from 2016 to 2020, text mining,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maker education,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ppeared as important themes.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eight topics were derived: consumer education, mass media/peer culture, rational consumption, Hallyu/cultural industry, consumer competency, economic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eco-friendly/ethical consumption.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nsumer education are important topics in consumption researc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