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KDC 5판에서 발견된 여러 문제점들 가운데 시간(시대 및 연대 구분) 및 공간(지리 또는 지역구분)의 전개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KDC 5판, DDC 22판 및 NDC 9판의 본표 및 보조표를 비롯한 분류표 전반에 걸쳐서 시간(시대 및 연대 구분) 및 공간(지리 또는 지역구분)의 전개체계를 분석․고찰한 다음, 시스템으로서의 문헌분류법의 요구에 부합되면서 국내실정에 가장 적합한 개선방안을 마련하여 제안함으로써 KDC6판에 일조하고자 한 것이다.

키워드

문헌분류법, 시간장치, 공간장치, 한국십진분류법, 듀이십진분류법, 일본십진분류법

참고문헌(16)open

  1. [단행본] Krishan Kumar / 1979 / Theory of Classification / Vikas Publishing House

  2. [인터넷자료] /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3. [단행본] 김태수 / 2000 / 분류의 이해 / 문헌정보처리연구회 : 103 ~ 134

  4. [인터넷자료] / 네이버국어사전

  5. [인터넷자료] / 브리태니커온라인

  6. [인터넷자료] / 브리태니커온라인

  7. [인터넷자료] /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8. [단행본] Melvil Dewey / 2003 /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 Forest Press

  9. [단행본] 日本圖書館協會 / 1995 / 日本十進分類法 / 日本圖書館協會

  10. [단행본] 남태우 / 2009 / 한국십진분류법=KDC, 2 Vols. / 한국도서관협회

  11. [단행본] 오동근 / 2009 / KDC5의 이해 / 태일사 : 94

  12. [인터넷자료] / UDC Master Reference File 2009 기준

  13. [학술지] 곽철완 / 2009 / 한국십진분류법 역사(900) 분야 개정에 대한 연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 (3) : 149 ~ 161

  14. [단행본] 오동근 / 2009 / KDC5의 이해 / 태일사 : 95

  15. [단행본] 韓國圖書館協會 / 1997 / 韓國十進分類法解說 / 韓國圖書館協會 : 280

  16. [인터넷자료] / 1995년 봄베이(Bombay)를 뭄바이로 개칭 [네이버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