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특수교육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국내 장애 부모교육 연구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An Analysis of a Keyword Network of the Research Field on the Educa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국내 장애 부모교육 연구의 지적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장애부모교육’, ‘장애어머니교육’, ‘장애아버지교육’, ‘장애모교육’, ‘장애부교육’을 검색어로 국내 학술지 논문을 검색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NetMiner 4.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의 전체 구조적 속성, 노드 수준의 중심성, 클러스터 분석을 하고 주요 결과를 시각화했다. 연구 결과 국내 장애 부모교육 연구의 전체 네트워크는 3개의 컴포넌트로 이루어져 있고, 부모교육, 장애아동, 자폐스펙트럼장애, 발달장애아동이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또한, 클러스터 분석 결과 국내 장애 부모교육 연구는 12개의 지적 하위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장애 부모교육 연구의 지적구조의 특성과 연구의 한계 및 의의, 향후 연구 방향 제시 등에 대하여 논의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research field regarding the educa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Korean keywords meaning ‘educa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ducation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ducation for fa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entered as search terms into the database of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This is to screen for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in South Korea on the research field. After collecting the keywords from the articl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field, and the centralities of the keywords, the clusters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NetMiner 4.4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for also visualizing the research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keyword network of the research field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Parent educati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ildren with autism,’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the keywords with high-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The cluster analysis identified 12 subfields within the research fiel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research field were summarized and the limitations, significance, and insight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