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Preference on the Sign Design of the Industrial Heritages Space

산업유산 공간의 사인디자인 평가 및 선호도 연구

  • 장징위 (동서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 윤지영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환경디자인)
  • Received : 2017.12.22
  • Accepted : 2018.05.09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eference on the sign design in the industrial heritages space. The research were performed by the process of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survey of questionnaire. Seven industrial heritage space in Korea and China regenerated as art and cultural space after 2000 were selected and evaluated by 6 criteria including integrity, continuity, simplicity, aesthetics, legibility and historic aspects. The findings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six criteria factors were evaluated as the similar scores in the assessment of 7 sites without extremity. Simplicity was the highest score while historicality was the lowest one. It mean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 systems of the heritage sites were focused on the simple, contemporary and effective design. Second, integrity, continuity, aesthetics, legibility were evaluated as the medium score in the sign design. While, in the evaluation on the aesthetics the score differences were comparatively high. Sanhai M50 which got the highest score showed the integrity of contrast using yellow and grey color with minimal design. However, Sanghai M50 got the lowest score in the historic aspects and was evaluated as the most favorite sign design in the preference. It means that the historic aspects have no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preference for the sign design. It shows that the effectiveness with integrity and the aesthetic aspects are considered more importantly than the application of the historic identity of the site in sign design.

Keywords

References

  1. 윤지영 외, 나오시마의 지역 재생에서 나타난 건축, 예술, 자연의 유기적 특성 연구, 한국예술과학학회, Vol.16, 2014
  2. 陳燕, 閑置空間再生中的文化創意産業集聚研究, 南京藝術學院博 士學位論文, 2013
  3. 田中直人,岩田三千子, サイン環境のコニバ-サルデザイン, 學藝出版社, 1999
  4. 유혜진, 도시이미지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2010
  5. 劉培芳, 대학 사인시스템 디자인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대학원, 2009
  6. 李知炫, 지역문화 특성화를 위한 공공사인시스템 연구,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8
  7. 왕발부, 장징위, 윤지영, 문화기반 산업유산 공간의 장소성 평가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6권, 1호, 2017
  8. 산업자원부, 사인디자인 실용화를 위한 디자인 가이드북과 디지털 컨텐츠 개발, 한국디자인 진흥원, 2005
  9. 권영현, 이충훈, 사희민, 공공사인의 디자인 실태 및 개선방안, 충남발전연구원, 2007
  10. 강동진, 이석환, 최동식, 산업유산의 개념과 보전방법 분석, 대한국 토지.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38권, 제2호, 2003
  11. 왕세학, 근대 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예술창의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14
  12. 최문정, 관광객을 위한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서울 소재 5대 고궁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7
  13. 이암우, 도시공원 사인시스템 디자인에 관한 연구, 동서대 석사논문, 2016
  14. 문원징, 국가지정 문화재 민속마을의 사인시스템 연구, 영남대 석사논문, 2010
  15. 서염화, 한.중 테마파크 유도사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 석사논문, 2011
  16. 유혜진, 도시환경 공공공간의 어메니티(Amenity)를 위한 사인 커뮤니케이션(sign communication)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10
  17. 정민주. 국내 폐공장 재활용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5권, 3호, 통권32호, 2013
  18. 최다혜, 바이즈만의 길찾기 이론 특성에 따른 역사계 박물관 유도동선 체계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