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unction Weighting Values for the Rural Revitalization Support Center

농촌활성화지원센터의 업무 중요도 설정에 관한 연구

  • Kim, Doo Soon (Faculty of Regional Development,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 Rok (Faculty of Regional Development,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Bae, Sung Eui (Faculty of Regional Development, College of Industri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두순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
  • 김성록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
  • 배성의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 Received : 2013.11.12
  • Accepted : 2013.12.05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oice the efficient operation for the Rural Revitalization Support Center(RRSC) by using AHP method. AHP method is to assess the importance of the RRSC has come up with the weighting values. According to AHP analysis procedures, the two most important function for the RRSC are eliciting supports for the forum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anagement. And we must acknowledge each RRSC has the difference manpower or condition. Therefore, the RRSC need a focus on efficient and working in conjunction of related organizations, in order to promote the effective center of the function. Also, supraorganization need for integrated management.

농촌지역개발정책은 기존 하향식 개발방식에서 상향식 개발방식으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주민의 적극적인 개발에 대한 참여가 농촌지역개발정책 추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농촌활성화지원센터는 지역인적원의 육성, 정보교류, 네트워크 구축 등과 같은 주민역량강화 측면의 업무와 함께 정책지원, 조사연구, 현장포럼 지원과 같은 농촌지역개발정책의 중간지원 기능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AHP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농촌활성화지원센터가 수행하는 업무의 중요도를 판단하여, 효율적 운영을 도모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현장포럼 지원과 인적자원 개발 및 운영이 센터의 중요 업무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농촌지역개발정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센터의 기능의 효율적 집중과 더불어 지역내의 유관기관과의 거버넌스체제 구축이 필요하며, 또한 각 지역의 센터들이 서로 보유 인력이나 처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통합관리 할 수 있는 상위조직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병주, 2009, AHP를 활용한 해양 관광지 개발적지 선정을 위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대관, 박양우, & 이상민. (2007). AHP를 활용한 관광자원개발사업 평가. 관광연구저널, 21(4), 5-18.
  3. 김영규, & 노시천. (1997). AHP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부실화 원인진단과 그 예방대책에 관한 실증연구. 재무관리연구, 14(2), 75-105.
  4. 김종범. (1999). 연구개발 효율화를 위한 예산제도 개선 및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 과학기술정책원.
  5. 농림축산식품부. (2013). 색깔있는 마을 육성을 위한 농촌활성화지원센터 워크숍 자료집.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6. 농림축산식품부. (2013), 색깔있는 마을 육성을 위한 농촌 현장포럼 핸드북.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7. 박재현. (2004). 분석적 계층과정(AHP)을 이용한 관광지 입지선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호텔관광연구, 6(1), 134-152.
  8. 오세욱, 이진욱, & 하재명. (2008). AHP를 이용한 경사지 아파트단지 계획의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0(2), 207-214.
  9. 오정한. (2010) 계층화분석기법(AHP)을 이용한 어촌관광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기장군공수마을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우찬복, & 문경일. (1999). 관광지 입지선정을 위한 퍼지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23(1), 66-86.
  11. 정문용 (2009). AHP 방법을 적용한 국립 검역소 평가준거의 가중치 결정.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한국농어촌공사. (2012). 농어촌활성화지원센터 모델 정립 연구. 안양: 한국농어촌공사.
  13. Saaty, T. (1980).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Hill.
  14. Sanders, Irwin T. (1976). The concept of community development. In Lee J Cary(ed.) Community Development as a Process(pp. 9-31). Columbia: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Cited by

  1. 농촌 지역사회 주민역량이 지역사회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애착도의 조절효과 - vol.24, pp.4,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17.24.4.0279
  2. 공동체 중심의 스마트빌리지 프로세스 모델 개발 vol.63, pp.2, 2013, https://doi.org/10.5389/ksae.2021.63.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