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8(5); 2015 > Article
훼손된 산지의 복원과 이용을 위한 시민의식 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find critical problems which needed urgent solution and give policy priorities on the damaged forest lands close to cities through analysis of public perception. A survey was conducted of forest land users at the entrance of Mt. Bibongsan. And the survey consist of the questions of socioeconomic background on its nominal scale and the questions of cultural value, problem, solutions, maintenance methods and main body to drive related policies for the highly damaged Mt. Bibongsan on 5-point Likert scale. The 86.7 percent of respondents were in the over forties’ age and 65.3 percent visited the forest land more than two times a month. The early five categories’ averaged values were ranging from 3.54 to 3.89. Among the categories, ‘Solutions of the damaged forest land,’ ‘Mt. Bibongsan Restoration method’ and ‘Main body to drive policie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ir internal variables from Kruskal-Wallis test. But they did not show exact the ranking between variables and ranking. So thirty variables were reclassified to five categories (F1 ~ F5) by factor analysis. And with using this categories as dependent variables, five regression models were established respectively. The result showed that ‘Problem of Mt. Bibongsan (F1a)’ could be severer by illegal facilities and soil erosion from farming and ‘Solutions of Mt. Bibongsan (F1b)’ took the restoration of forest and destruction of aged houses on hillside as priories. For ‘Historical resources restoration (F2)’, it required to find folk tales and commune with citizen more from restoration of historical resources. To enhance ‘Mt. Bibongsan’s cultural value (F3)’, it was very important to consider citizen’s emotion linked to Mt. Bibongsan. As a ‘Main body to drive policies (F4)’, citizen’s active participation is more effective to policy enforcement. ‘Maintenance policy projects (F5)’ took restoration forest from farmland and forestscape improvement on city-viewed part as urgent projects.

서론

산지는 도시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시민들의 접근성이 높으며, 도시 내 공원보다는 경관적, 생태적 조건이 뛰어나 자연체험과 운 동욕구가 높은 현대 도시민들의 니즈를 충족시켜 주며, 휴양을 제 공하며, 도시경관을 구성하는 중요요소로서 다른 경관요소들과의 연계성을 제공한다(Shin et al., 2014). 또한 역사적, 문화적, 보존 적 가치가 높은데, 하나의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산림 혹은 산지는 특유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와 맥을 같이하기도 하고, 지역의 대표 적 명소이기도 하며(Yoo et al., 2009), 지역주민들의 정체성을 드 러내기 때문이다(Shin, 2007). 산지의 환경적인 기능들을 관리하 고, 보전하는 것은 시민들의 삶을 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 에서 중요한 정책과제가 된다.
반면에 산지 훼손은 산지의 지속적 기능유지에 커다란 난제로 작용해 왔으며, 장마, 폭설 등 자연재해가 그간의 훼손원인이었다 면, 최근에는 인간의 행위로 인한 산불, 농경지화, 불법점유 등으로 훼손되는 산지가 급증하고 있다. 불법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발생 하고 있는 산지 훼손의 근본적인 원인은 산지 내 산림성 토양이 생 산성이 높아 농산물 재배지로도 적합하다는 점(Kim and Cho, 2014)과, 도시와 인접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고, 시간과 비용의 경제성이 높다는 점 등이 불법적인 산지 훼손이 지속된 근본적 원 인이었다(Park, 2001; Jin and Sohn, 2010; Ma et al., 2013; Yoo, 2014).
한편 산지 훼손에 관한 연구들은 기존의 산지 훼손 탐지(Ham et al., 2013)과 훼손실태(Huh et al., 2007; Park et al., 2010; Choi et al., 2014), 훼손으로부터의 복원(Lee et al., 2008; Choi et al., 2014) 등이 진행되어 오다가 최근 산림복지 이슈가 접목되면서 산 지관리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Kim et al., 2013; Yoo, 2014), 자 연마당이나 도시자연공원의 개념으로 생태적인 복원방식을 도입 하는 등(Lim, 2013) 변화를 맞이했다. 그러나 훼손된 산지에 대하 여 정책들을 기획하거나 추진할 때, 시민의식 반영과 고려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Kim et al., 2011).
이에 도시에 인접한 산지관리에 있어 필요한 정책들을 제시하기 위하여 활발한 이용이 되고 있는 산지를 대상으로 시민들이 지적하 는 산지 훼손의 실태와 문제점들을 밝히고, 복원과 이용에 근간한 정책요소들을 발굴 및 제시함으로써 시민이 참여하고, 체감할 수 있는 산지관리 정책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용어정의

도시인근에 위치한 산지1)가 산지 훼손의 빈도와 정도가 심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구체화시킨 산지의 범위는 도시와 맞닿아 도시적 용 도(휴양)로 사용되면서 고도가 평지보다는 높은 구릉성 산지의 지형 적 특성을 가지는 지역(Shin et al., 2014)으로 정의하였다. 한편 산 지 훼손은 산지 고유의 성질이나 능력을 감소시키거나 상실시키는 행위 및 현상(Korea Forest Conservation Movement(KFCM), 2005)으로 정의하였다.

2. 조사지 개황

앞서 정리한 산지와 산지 훼손의 정의에 따라 진주시 비봉산을 조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진주시 비봉산은 경상남도 진주시 상봉 동 비봉산 일대로서 북위 35°12’11.25”, 동경 128°04’45.18”에 위치하고 있다(Fig. 1). 지형적 특징으로는 남쪽에 진양호와 이어 지는 남강이 흐르고 있으며, 남강과 비봉산 사이에 진주시가 위치 하고 있다. 과거 조선시대 이후로 비봉산은 진주지역을 대표하는 명산이었고(Shin, 2007), 진주 8경의 하나이면서(Kim and Hwang, 2003), 진주시를 상징하는 도시경관의 주된 요소로 평가되어 왔다 (Park et al., 2010). 산복도로와 같은 등산로가 정비됨에 따라 주말 은 물론 평일에도 진주시민의 이용도가 높아졌으나 2015년에 들어 서 비봉산 산지 훼손에 대한 민원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진주 시청에서 2015년 2월부터 5월까지 실시한 비봉산 훼손 현황에 따 르면 산복도로를 중심으로 하여 불법 건축물 수십개와 경작지가 경 사지를 따라 분포하고 있었는데(Fig. 2), 산림이 거의 사라져 있으 며, 이 자리를 컨테이너, 견사, 창고, 퇴비사 등이 있어 그 훼손정도 가 심각한 수준이었다.
Fig. 1.
Study site location.
KSPPE-18-403_F1.gif
Fig. 2.
2. Area of illegal structures (upper) and its scene of deforestation (middle and lower).
KSPPE-18-403_F2.gif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본 연구의 목적이 진주시민들이 비봉산 자체에 대해 갖는 인식, 그 훼손에 대하여 갖는 인식, 그리고 정비를 위한 정책요소를 발굴 하는 것이므로 연구대상은 비봉산에 대하여 잘 알고 있으며, 이용 도가 높을 것이라 여겨지는 비봉산 이용객들로 설정하였다. 인식조 사를 위한 항목들은 연구목적과 비봉산 훼손실태를 바탕으로 하여 이용자들이 인식하는 비봉산의 가치들, 훼손정도의 심각성, 비봉 산 정비를 위한 정책요소, 정비방법 등 30개 항목과 사회경제적 배 경에 관한 질문 5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인식조사의 방법으로는 인식에 관련된 30개 항목에 대해서는 구 조화된 설문 안을 작성하고, 응답자가 각각의 질문에 평가점수를 매기는 방식을 채택하였는데, 3점은 결과가 단순하고, 7점은 비전 문가인 이용객들에게는 응답시 중요도에 대한 점수부여에 어려움 을 느끼므로 인식조사를 위한 연구들에서 널리 쓰이는 리커트 5점 척도를 적용하였다(Kim and Kim, 2010; Byun and Kim, 2011). 사회경제적 배경을 묻는 5개 항목은 명목척도로 작성하였다.
설문지를 작성한 후 충분한 응답자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비봉산 입구 뿐만 아니라 등산로가 연계된 바로 옆의 선학산 입구에서도 설문지를 배포하고, 배포지에서 작성하게 하여 회수율을 높였다. 회수된 설문지에 응답자별로 순번을 부여하고, 일련번호별로 설문 항목 변수가 대응하며, 평점이 기재된 표를 작성하였다. 기술통계 를 실시하여 응답자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분석하였다. 인식측정 변수별로는 평가점수를 평균화하여 변수 간 순위비교를 하였는데, 인식과 관련된 변수간의 차이는 Kruskal-Wallis 비모수 검정을 근 사유의확률 P < 0.05 수준으로 실시하였다.
비봉산의 가치, 훼손, 정비 등에 관한 설문항목을 독립변수로 하 고, 항목이 속한 카테고리를 종속변수로 하는 모형을 통해서 독립 변수들 중 무엇이 가장 시급한지, 중요한지, 가치가 높은지, 정책적 우선순위가 높을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독립변수 30개에 대해서 Kaiser-Meyer-Olkin 측도검정과 Bartlett 구형성 검정을 수행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5개 기존 범주를 재분류하여 ‘비봉산의 문제점과 해결점(F1)’, ‘비봉산의 역사자원 정비방안 (F2)’, ‘비봉산의 문화적 가치(F3)’, ‘비봉산 정비주체(F4)’, ‘비봉 산 복원방법(F5)’ 등 5개로 범주화 하였다. F1 ~ F5의 요인별 내부 변수들의 기여도를 회귀분석을 통해서 파악하였다. 기술통계, 비 모수검정,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은 IBM 2012년도 SPSS 21.0을 활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설문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배경

연구방법에 따른 작성된 설문 350부를 2015년 5월 9일~10일 이용객에게 배포했고, 302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86.3%를 보였 다. 302명의 응답자들의 사회경제적 질문에 대한 무응답자 비율은 성별과 연령의 경우 1.3%, 방문횟수의 경우 3.6%, 방문이유의 경 우 3.0%, 직업의 경우 2.0%로 대체로 매우 낮았다.
응답자들은 여성 157명(52.0%), 남성 141명(47.7%)으로서 비 슷한 성별구성을 가졌으며, 연령대는 60대 이상(106명, 35.1%), 50대(94명, 31.1%), 40대(62명, 20.5%)를 차지하였다. 직종별 빈 도의 순서는 주부(92명, 30.5%), 기타(67명, 22.2%), 회사원(53 명, 17.5%), 자영업(49명, 16.2%) 등이었다. 비봉산 방문은 월 1~2회(82명, 27.2%), 주 1~2회(82명, 27.2%), 연 1~2회(73명, 24.2%), 매일(33명, 10.9%), 거의 없음(21명, 7.0%) 등의 빈도 순 서를 보였다. 비봉산 방문이유로는 산책 및 등산이 전체 응답자의 94.9%(278명)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Table 1).
Table 1.
Descriptive statistics of respondents' socioeconomic backgrounds.
Category Item Frequency

No. %

Sex Woman 157 52.0
Man 141 46.7
Null 4 1.3

Total 302 100.0

Age Over the sixties 106 35.1
Fifties 94 31.1
Forties 62 20.5
Thirties 19 6.3
Twenties 17 5.6
Null 4 1.3

Total 302 100.0

Visiting Once or twice per week 82 27.2
Once or twice per month 82 27.2
Once or twice per year 73 24.2
Every day 33 10.9
Never been there 21 7.0
Null 11 3.6

Total 302 100.0

Purpose Hiking 278 92.1
Etc 12 4.0
Visiting ancestral graves 2 .7
Farming 1 .3
Null 9 3.0

Total 302 100.0

Occupation Homemaker 92 30.5
Other 67 22.2
Businessman 53 17.5
Independent business 49 16.2
Public officer 17 5.6
Pupil 10 3.3
Farmer 8 2.6
Null 6 2.0

Total 302 100.0
비봉산이 진주시와 인근하고 있으며, 대중교통 등 거주지로부터 의 접근성이 확보되어 있어 건강에 관심이 높은 40대 이상의 연령 대가 산책과 등산 등 야외활동을 위해서 활용하고 있는 산지임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응답자들의 직업빈도가 편중되지 않은 점, 주 1회 이상 재방문자들이 40% 이상인 점, 남녀비율이 비슷한 점 등은 비봉산이 지역주민들에 의해서 일상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장소이며, 적어도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이 있는 40대 이상의 성인 들 누구나 애정을 가지고 있는 공간일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2. 비봉산의 현재에 대한 인식정도

설문조사지에서 각 항목들이 문화적 가치, 비봉산의 문제점, 산 지 훼손에 따른 해결방안, 비봉산 복원방법, 비봉산 정비주체 등 5 개의 범주로 구성된 바, 설문항목별로 응답자들이 표시한 리커트 점수들을 표준화하여 평점을 정리하였다(Table 2).
Table 2.
Descriptive statistics of respondents’ perception on Mt. Bibongsan.
Category Item No. Null Min. Max. Mean S.D.

Cultural Value Representation image of Jinju city. 296 6 1 5 3.83 1.01
Main landscape factor of Jinju city 295 7 1 5 3.84 .95
Emotional connection to citizens 297 5 1 5 3.78 .94
Regional heritage 294 8 1 5 3.93 .88

Problem of Mt. Bibongsan Illegal facilities’scattering over deforested area 296 6 1 5 3.71 .95
Uncomfortable to walk on paved roads 295 7 1 5 3.60 1.06
Dangerousness from car traffic 292 10 1 5 3.74 .99
Car exhaust fumes 294 8 1 5 3.73 1.09
Aged and nearly collapsed houses along the hillsides 296 6 1 5 3.65 .93
Soil erosion from cultivation 296 6 1 5 3.66 .97
Bad smell from fertilizers and agrochemicals 296 6 1 5 3.74 1.03
Destruction of ecosystem from deforestation 297 5 1 5 3.66 .97
Various and plentiful problems arising 297 5 1 5 3.53 .99

Solution of the damaged forest land Tearing down unlicensed structures 296 6 1 5 3.98* .86
Removal of concrete paved road 298 4 1 5 3.80* 1.00
Tearing down aged houses on the hillside 292 10 1 5 3.84* .91
Transformation of farmland into forest 295 7 1 5 3.88* .93
Revival of ecosystem through restoration of forest 295 7 1 5 4.11* .83
Need for overall maintenance and operation 295 7 1 5 3.96* .92

Mt. Bibongsan restoration method Forestscape improvement on city-viewed part 294 8 1 5 3.91* .91
Restoration of forest on farmland 294 8 1 5 4.01* .92
Creation of a path for hiking 300 2 1 5 4.12* .94
Exhumation work around Mt. Bibongsan 295 7 1 5 3.71* .98
Restoration of Bongmyungru to its original state 292 10 1 5 3.83* .98
Finding folk tales about Mt. Bibongsan 296 6 1 5 3.83* .95
Revitalization of hidden historic resources 295 7 1 5 3.88* .88
Securing spaces for education and experience 299 3 1 5 3.81* .97

Main body to drive related policies Local government 269 33 1 5 3.77* 1.00
Citizen 263 39 1 5 3.56* .95
Local government (lead) and citizen (support) 272 30 1 5 3.87* .95

* : Asymptotic significance p<0.05 from Kruskal-Wallis test

‘문화적 가치’에 대한 4개 항목(평점)은, ‘비봉산은 진주시를 대 표하는 주산(主山)이다(3.83)’, ‘비봉산은 진주시의 주요 도시경 관을 형성한다(3.84)’, ‘비봉산은 진주시민의 정서형성에 영향을 미친다(3.78)’, ‘비봉산은 선조들의 삶과 문화가 깃든 역사적 가치 가 있는 공간이다(3.93)’였다(Table 2). 4개 항목의 표준점수는 3.85로서 응답자들은 비봉산이 역사문화적 가치를 대체로 인정하 고 있었다. 그러나 Kruskal-Wallis 검정결과, 근사유의확률값이 0.354(p > 0.05)으로 나타나 네 개 항목 각각의 평점과 네 개 항목 의 표준화된 점수가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어 항목간의 순서는 파악이 불가능하였다.
‘비봉산의 문제점’에 대한 9개 항목(평점)은, ‘불법 시설물이 난 립되어 있다(3.71)’, ‘산복도로가 포장되어 걷기에 불편하다(3.60)’, ‘산복도로 차량 통행으로 다니기 위험하다(3.74)’, ‘차량통행으로 인한 매연이 불쾌하다(3.73)’, ‘비봉산 자락의 노후가옥은 재해 위 험이 있다(3.65)’, ‘경작행위로 인해 토양이 침식되고 있다(3.66)’, ‘농작업시 발생하는 거름냄새, 농약냄새가 불편하다(3.74)’, ‘산림 훼손으로 생태계가 파괴되었다(3.66)’, ‘비봉산은 전반적으로 많 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3.53)’였다(Table 2). 9개 항목의 표준점수 는 3.66으로서 응답자들은 비봉산이 훼손되었으며, 문제점들이 있 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Kruskal-Wallis 검정결과, 근사유의 확률값이 0.060(p > 0.05)으로 나타나 9개의 항목 간 평점의 통계 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이에 9개 항목 중 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을 추출하는 것은 의미가 없었다.
‘비봉산 훼손 해결방안’에 대한 6개 항목(평점)은, ‘불법 시설물 을 철거해야 한다(건축물, 철재울타리, 가시철조망)(3.98)’, ‘콘크 리트 포장도로를 걷어내고, 산책로를 조성해야 한다(3.80)’, ‘비봉 산 자락 노후 재해위험 가옥은 철거해야 한다(3.84)’, ‘경작지는 매 입하여 숲으로 조성해야 한다(3.88)’, ‘숲을 복원하여 생태계를 되 살려야 한다(4.11)’, ‘비봉산이 안고 있는 문제점 개선을 위하여 전 체적인 정비 사업을 시행해야 한다(3.96)’였다. 6개 항목의 표준점 수는 3.94로서 응답자들은 훼손된 비봉산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며, 그것도 높은 수준으로 요구됨을 인식하고 있었다. 비모수 Kruskal- Wallis 검정결과, 근사유의확률값이 0.001(p < 0.05)로 나타나 6 개 항목들이 표준화된 점수와 차이가 있다고 판정되었다. 이에 6개 항목들 중 가장 높은 평점을 보인 ‘숲을 복원하여 생태계를 되살려 야 한다(4.11)’가 통계적으로도 매우 높은 인식정도를 보이고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비봉산 복원방법’에 대한 8개 항목(평점)은, ‘시가지에서 바라 보이는 비봉산의 경관개선(3.91)’, ‘비봉산 뒤편 경작지 산림복원 (4.01)’, ‘비봉산 시민건강 힐링숲길 조성(4.12)’, ‘비봉산 주변은 우리시의 소중한 역사문화 자원이 많은 곳으로 발굴 정비 필요성이 높다(3.71)’, ‘봉명루 등 역사적 기록이 남아 있는 누각은 장소는 이 전하더라도 원형대로 복원해야 한다(3.83)’, ‘비봉산에 얽힌 설화/ 유래/전설 등을 발굴하여 스토리가 있는 관광자원으로 만들어야 한 다(3.83)’, ‘비봉산이 가지고 있는 역사자원을 되살려 시민정서 함 양과 공감대 형성의 장으로 만들어야 한다(3.88)’, ‘비봉산을 문화 와 역사의 교육 및 체험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3.81)’였다. 8개 각 평점의 표준화된 점수는 3.89로서 응답자들은 대체로 설문에서 제시된 복원방법들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였다. 비 모수 Kruskal-Wallis 검정결과, 근사유의확률값이 0.000(p < 0.05) 으로 나타나 8개 항목 각각의 평점들이 통계적인 유효성을 갖게 되 었다. 따라서 응답자들은 역사문화자원을 복원하고, 관광자원으로 개발하는 것도 보통수준 이상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나, 진주시 에서 보이는 비봉산의 경관개선, 경작지를 산림으로 복원, 산책로 조성 등의 복원방식들이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또한 비봉산의 현재적인 인식에서 역사문화자원의 발굴과 개발과 같은 장기적이면서도 시민들의 체감도가 낮은 복원정책보다는 비봉산 을 체험과 활동공간으로 이용하거나 도시경관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며, 시민들의 체감도를 높이는 정책이 될 것임을 예상케 한다.
‘비봉산 정비주체’에 대하여 3개 항목(평점)은, ‘행정기관 주도 (3.77)’, ‘시민주도(3.56)’, ‘행정기관 주도와 시민협력(3.87)’이 었다. 3개항목이 표준점수는 3.735였고, 비모수 Kruskal-Wallis 검정결과, 근사유의확률값이 0.000(p < 0.05)으로 나타나 각 항목 간의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그 차이는 0.2 이하로 미미하였 는데, 응답자들은 비봉산에 대한 관리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그 주 체는 진주시 등의 행정기관은 물론 시민들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3. 비봉산 훼손문제 및 관리정책의 우선순위

앞서 실시한 항목 간 평점의 비교는 상대적인 인식정도의 크기 가 통계적으로 유효한지 파악하는 데에는 유용하였으나 향후 비봉 산에 대한 정책을 기획하거나 추진할 때, 어떤 세부정책들을 시민 들이 우선적으로 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주지 못하였다. 이에 리 커트 척도로 구조화했던 설문항목들 전체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 시하고, 축소화된 요인들을 종속변수로 하고, 각 종속변수에 속한 설문항목들을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모형을 구축함으로써, 독립변 수 기여도를 통해서 정책 우선순위를 가늠코자 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Kaiser-Meyer-Olkin 측도는 0.934로 높게 나 왔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정에서도 30개 변수에 대한 분석결과의 검정치(근사 X 2 )가 5261.702이고, 자유도(df)가 435이며, 유의확 률(p)값이 0.000(p < 0.05)으로 나타나, 요인분석의 사용이 적합하 며, 공통요인이 존재한다고 결론지었다. Table 3과 같이 정리된 베 리맥스로 회전된 성분행렬에서, 5개의 성분으로 축소화된 요인들 의 명칭을 ‘비봉산 훼손문제와 해결방안(F1)’, ‘비봉산 역사자원 정비방안(F2)’, ‘비봉산의 문화적 가치(F3)’, ‘비봉산 정비정책 주 체(F4)’, ‘비봉산 정비사업(F5)’로 하였다.
Table 3.
Result of factor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on from F1 to F5.
Item Component Linear regression


1 2 3 4 5 D S t Model

Car exhaust fumes .821 .109 F1 .160*** 5.169 A.R2: .937*** df:14 F:237.507
Destruction of ecosystem from deforestation .805 .181 .165 .137 F1 .154*** 5.064
Soil erosion from cultivation .804 .187 .144 F1 .130*** 4.207
Bad smell from fertilizers and agrochemicals .798 .149 .207 F1 .177*** 6.116
Dangerousness from car traffic .789 .163 .214 F1 .096*** 3.804
Aged and nearly collapsed houses along the hillsides .767 .239 F1 .086** 3.095
Various and plentiful problems arising .743 .125 .128 .143 F1 .096** 3.510
Illegal facilities’scattering over deforested area .720 .257 .142 F1 .105*** 4.163
Tear down unlicensed structures (fences, buildings etc) .700 .158 .270 .259 F1 .061 2.120
Uncomfortable to walk on paved roads .681 .174 .294 F1 .096*** 3.804
Removal of concrete paved road .676 .259 .146 .182 F1 .094*** 3.728
Tearing down aged houses on the hillside .608 .275 .332 .251 F1 -.002 -.077
Transformation of farmland into forest .605 .268 .393 .339 F1 -.027 -.927
Revival of ecosystem through restoration of forest .500 .382 .116 .327 .353 F1 -.122*** -4.646

Finding folk tales about Mt. Bibongsan .131 .802 .214 .211 F2 .335*** 6.468 A.R2: .790*** df:5 F:169.212
Revitalization of hidden historic resources .160 .797 .311 .163 .131 F2 .304*** 5.320
Exhumation work around Mt. Bibongsan .217 .748 .272 .154 .126 F2 .194*** 3.965
Restoration of Bongmyungru to its original state .149 .741 .200 .203 F2 .222*** 4.845
Securing spaces for education and experience .153 .723 .313 .243 .270 F2 -.035 -.627

Emotional connection to citizens .150 .209 .797 .167 .215 F3 .443*** 8.202 A.R2: .757*** df:4 F:174.918
Representation image of Jinju city. .150 .360 .755 .105 .140 F3 .264*** 4.942
Main landscape factor of Jinju city .405 .753 .137 F3 .253*** 4.755
Regional heritage .171 .363 .709 .270 .160 F3 .027 .489

Citizen’s lead .109 .188 .211 .797 F4 .485*** 12.188 A.R2: .803*** df:3 F:304.203
Local government’s lead .167 .236 .108 .750 .207 F4 .336*** 8.506
Local government’s lead with citizen’s support .234 .242 .718 .282 F4 .255*** 6.448

Restoration of forest on farmland .261 .323 .222 .152 .742 F5 .465*** 6.219 A.R2: .599*** df:4 F:84.278
Forestscape improvement on city-viewed part .136 .385 .228 .103 .713 F5 .348*** 5.138
Creation of a path for hiking .275 .423 .241 .252 .560 F5 -.046 -.703
Need for overall maintenance and operation .463 .346 .362 .527 F5 .073 1.275

F1: Problems and solutions of Mt. Bibongsan, F2: Historical resources restoration of Mt. Bibongsan, F3: Mt. Bibongsan’s cultural value, F4: Main body to drive policies, F5: Maintenance policy pojects, D : Dependent variable, S : Standardized coefficients, A. R 2 : Adjusted R 2

* : p < 0.01,

** : p < 0.005,

*** : p < 0.001

F1 요인의 경우, 14개의 독립변수가 속해 있으며, Table 2상의 ‘비봉산의 문제점’ 카테고리 내 9개 독립변수가 모두 포함되어 있 었고, ‘비봉산 훼손의 해결방안’ 카테고리 내 6개 독립변수 중 ‘전 반적인 비봉산 정비작업이 필요하다’를 제외한 5개의 변수를 포함 하고 있었다. 독립변수들은 비봉산 산지 훼손에 의해 발생하고 있 는 문제점들과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이 함께 존재하 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므로 F1의 명칭을 ‘비봉산 훼손문제와 해결방안’으로 하였다. 요인분석 시에 응답자별로 만들어진 F1 표 준화 점수 값을 종속변수로 하고, 여기에 속한 14개 항목들을 독립 변수로 하여 선형 회귀분석 실시한 결과, 수정된 R 2이 93.7%의 설 명력을 가지고, 유의확률값이 0.000(p < 0.001)인 회귀모형을 얻 게 되었다. 기여도가 높은 독립변수는 ‘거름이나 농약으로 인한 악 취(0.177)’였고, 그 다음이 ‘차량매연으로 인한 불쾌함(0.160)’, ‘숲 훼손에 따른 생태계 파괴(0.154)’ 등의 순이었다. 또한 ‘숲의 복 원으로 생태계 회복(-0.122)’은 계수가 음수로 나타났다. 응답자들 은 비봉산의 훼손에 따른 문제점을 이용 시에 경험하게 되는 것들 을 중심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산림훼손으로 생태계가 파괴되었다는 것은 시각적인 경험에 보다 의존한다는 점 에서 볼 때, 거름이나 농약의 악취, 매연 냄새 등 후각으로 경험한 문 제를 더 심각하게 느끼는 것으로 판단된다. 양수로 그 값이 커지는 계수들을 취하는 변수들이 비봉산 문제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음수 이나 그 절대 값이 커질수록, 해당변수들은 비봉산 훼손에 대한 해 결방안을 주제로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응답자들은 훼손의 심각성을 인지하는 것이 해결을 위한 방안 추진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독립변수가 14개로 많 고, 문제와 해결방안이 섞여있었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해석이 요구 되었다. 이에 14개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F1a, F1b 두 개의 성분으로 축소하고, F1a와 F1b 각각의 표준화된 점수를 종속 변수로 하는 회귀모형을 다시 구축하였다(Table 4).
Table 4.
Result of factor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on factor F1.
Item Component Linear regression


1 2 D S t Model

Illegal facilities’scattering over deforested area .732 .242 F1a .244*** 6.811 A.R2: .828*** df:9 F:144.976
Uncomfortable to walk on paved roads .631 .351 F1a .095 2.606
Dangerousness from car traffic .693 .416 F1a -.012 -.244
Car exhaust fumes .756 .344 F1a .220*** 4.735
Aged and nearly collapsed houses along the hillsides .695 .431 F1a .003 .084
Soil erosion from cultivation .781 .322 F1a .195*** 4.313
Bad smell from fertilizers and agrochemicals .725 .330 F1a .120** 3.020
Destruction of ecosystem from deforestation .755 .332 F1a .138** 3.184
Various and plentiful problems arising .726 .320 F1a .124** 3.173
(constant) for regression model F1a -34.056

Tear down unlicensed structures (fences, buildings etc) .424 .699 F1b .093 2.483 A.R2 : .834*** df:5 F:271.080
Removal of concrete paved road .421 .685 F1b .119** 3.395
Tearing down aged houses on the hillside .354 .783 F1b .286 *** 7.168
Transformation of farmland into forest .368 .752 F1b .148*** 3.902
Revival of ecosystem through restoration of forest .236 .826 F1b .430*** 11.641
(constant) for regression model F1b -34.094

F1a: Problems of Mt. Bibongsan, F1b: Solutions of Mt. Bibongsan, D : Dependent variable, S : Standardized coefficients, A.R 2 : Adjusted R 2

* : p < 0.01,

** : p < 0.005,

*** : p < 0.001

F1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Kaiser-Meyer-Olkin 측도는 0.933 으로 높게 나왔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정에서도 14개 변수에 대한 분석결과의 검정치(근사 X 2 )가 2719.429이고, 자유도(df)가 91이 며, 유의확률(p)값이 0.000(p < 0.05)으로 나타나, 요인분석의 사 용이 적합하며, 공통요인이 존재하였다. 베리맥스(Verimax)로 회 전된 성분행렬에서 기존 F1에 속하였던 14개의 독립변수들 중 비 봉산 훼손문제를 다루는 9개의 독립변수들이 F1a로 재배치되었으 므로 F1a의 명칭을 ‘비봉산의 문제’로 하였다. F1b에는 5개의 독 립변수들이 속하게 되었으며, 명칭을 ‘비봉산 문제의 해결방안’으 로 하였다. F1a를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모형은 설명력이 82.8%(p = 0.000 < 0.001)였으며, 독립변수의 계수의 순서가 불법건축물 난립(0.244), 차량매연의 불쾌함(0.220), 경작으로 인한 토양침식 (0.195) 등이었으며, 비료와 농약의 악취문제(0.120)도 변수로서 유효하며, 기여도가 낮지는 않았다. F1상의 독립변수 전체를 대상 으로 하였을 때, 즉 훼손의 문제와 해결방안을 합쳐서 고려했을 때 는 악취, 매연 등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인식되었었지만, 비봉산이 가진 문제만으로 우선순위를 가리고자 할 때는 불법건축물 난립과 같은 문제가 더 두드러지게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비봉 산 훼손의 문제가 무엇이며, 심각하게 고려해야 될 것은 무엇인지 를 파악하고자 할 때는 이 결과가 유용할 것이다. 한편 F1b를 종속 변수로 하는 회귀모형은 83.4%(p = 0.000 < 0.001)의 설명력을 보 였으며, 독립변수의 계수순서는 숲 복원을 통한 생태계 회복 (0.430), 비봉산자락 노후가옥 철거(0.286), 경작지를 산림으로 복 원(0.148) 등으로 나타났다. F1상의 독립변수 전체를 대상으로 하 였을 때, 숲의 복원은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나 비봉산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에 속한 변수들만을 가지고 기여도를 따졌을 때는 가장 그 계수 값이 높았다. 그 이유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절대 값으로 보 면 숲의 복원은 높은 계수를 취하는 독립변수였으므로 F1b를 종속 변수로 하는 회귀모형에서 이 독립변수 값이 가장 높은 이유와 부 합되는 것이며, 더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비봉산의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가장 중요하고,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 숲의 복원, 그리고, 이를 통한 생태계의 복원임을 알 수 있었다.
F2 요인의 경우, 5개의 독립변수가 속해 있으며, Table 2상의 ‘비봉산 복원방법’에서 비봉산의 역사에 관련된 내용만이 추출되 어 있었으므로, 그 명칭을 ‘비봉산 역사자원 정비방안’으로 하였다. 요인분석 시에 응답자별로 만들어진 F2 표준화 점수 값을 종속변 수로 하고, 여기에 속한 5개 항목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선형 회귀분 석 실시한 결과(Table 2), 수정된 R 2이 79.0%의 설명력을 가지고, 유의확률값이 0.000(p < 0.001)인 회귀모형을 얻게 되었다. 기여 도가 높은 독립변수는 ‘비봉산에 대한 전통이야기 발굴(0.335)’, ‘숨겨진 역사자원의 복원(0.304)’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서 지역의 역사나 전설을 담은 이야기나 역사시설물 등 역자자원에 대한 정비에서 비봉산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고려하고, 이 점을 특화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
F3 요인의 경우, 4개의 독립변수가 속해 있으며, Table 2상의 ‘문화적 가치’와 동일한 변수들이었다. 이에 그 명칭을 ‘비봉산의 문화적 가치’로 하였다. 요인분석 시에 응답자별로 만들어진 F3 표 준화 점수 값을 종속변수로 하고, 여기에 속한 4개 항목들을 독립변 수로 하여 선형 회귀분석 실시한 결과(Table 3), 수정된 R 2이 75.7%의 설명력을 가지고, 유의확률값이 0.000(p < 0.001)인 회 귀모형을 얻게 되었다. 계수가 높아 기여도가 큰 독립변수는 ‘시민 정서함양에 영향(0.485)’, ‘진주시의 대표성(0.366)’, ‘진주시의 주요 도시경관(0.253)’ 등의 순서로 나타났는데, 이는 응답자들의 인식을 통해 볼 때, 비봉산은 진주시를 대표하는 도시경관으로서의 가치보다 시민에게 미치는 정서적인 가치가 훨씬 크게 작용하고 있 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F4 요인의 경우, 3개의 독립변수가 속해 있으며, Table 2상의 ‘비봉산 정비주체’와 동일한 변수들이었다. 이에 그 명칭을 ‘비봉 산 정비정책 주체’로 하였다. 요인분석 시에 응답자별로 만들어진 F4 표준화 점수 값을 종속변수로 하고, 여기에 속한 3개 항목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선형 회귀분석 실시한 결과(Table 3), 수정된 R 2 이 80.3%의 설명력을 가지고, 유의확률값이 0.000(p < 0.001)인 회귀모형을 얻게 되었다. 계수가 높아 기여도가 큰 독립변수는 ‘시 민주도(0.485)’, ‘진주시 등 행정기관 주도(0.336)’, ‘행정기관 주 도, 시민협력(0.255)’의 순서를 보였다. 이는 Table 2상의 비모수 분석에 의한 평점의 차이 값이 0.2 이하로 미미하였다는 점과는 매 우 다른 양상을 보인 것인데, 비모수분석 상에서는 ‘시민주도’가 낮 은 값이었으나, 기여도에서는 가장 높은 값을 차지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결과를 비봉산 정비정책의 추진자체를 시민이 해야 한다 는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안 될 것이다. 다만 시민이 적극적인 참여 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 반영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F5 요인의 경우, 4개의 독립변수가 속해 있으며, Table 2상의 ‘비봉산 복원방법’에서의 비봉산 경관, 산책로, 경작지에 대한 복 원방법과 ‘비봉산 훼손 해결방안’에서의 ‘전반적인 정비사업 시행 필요’ 변수들이 포함된 것이었다. 이에 그 명칭을 ‘비봉산 정비사 업’으로 하였다. 요인분석시에 응답자별로 만들어진 F5 표준화 점 수 값을 종속변수로 하고, 여기에 속한 4개 항목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선형 회귀분석 실시한 결과(Table 3), 수정된 R 2이 59.9%의 다소 낮은 설명력을 가지고, 유의확률값이 0.000(p < 0.001)인 회 귀모형을 얻게 되었다. 계수가 높아 기여도가 큰 독립변수는 ‘경작 지를 산림으로 복원(0.465)’, ‘시가지에서 보이는 산지 경관개선 (0.348)’ 등이었다. 각 회귀모형에 대한 기여도 설명에서 계속 강조 되고 있는 바와 같이 비봉산의 산지가 훼손되었고, 훼손된 곳을 경 작지가 대체하고 있으므로 무엇보다 시급하게 요구되는 정책은 경 작지를 산림으로 복원하는 것이며, 또한 복원구역을 검토할 때, 시 가지에서 비봉산이 보이는 구간들을 사업지로 고려하는 것이다.

적요

본 연구에서는 공공의 인식분석을 통해서 훼손된 산지의 문제점 과 해결책을 찾고 우선적인 정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진주 비봉 산에 방문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지는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묻는 명목척도와 비봉산 훼 손의 문제점, 해결책, 문화적 가치, 유지관리 방법, 정비주체 등을 묻는 리커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초기 5개 범주와 그 내부 항목간의 순위를 분석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서 재조정된 F1 ~ F5의 범주 를 종속변수로 하고, 각 범주에 소속된 항목들을 독립변수로 하는 5개의 회귀모델을 도출하였다.
응답자의 86.7% 가 40대 이상이었고, 65.3% 의 응답자가 한달 에 두 번 이상 비봉산을 방문하고 있었다. ‘문화적 가치’에 대한 표 준 평점은 3.85, ‘비봉산의 문제점’에 대한 표준 평점은 3.66, ‘비봉 산 훼손 해결방안’에 대한 표준 평점은 3.94, ‘비봉산 복원방법’에 대한 표준 평점은 3.89, ‘정비주체’에 대한 표준 평점은 3.735를 보 였다. 재분류된 범주는 ‘비봉산의 문제점(F1a)’, ‘비봉산의 해결점 (F1b)’, ‘비봉산의 역사자원 정비방안(F2)’, ‘비봉산의 문화적 가 치(F3)’, ‘비봉산 정비주체(F4)’, ‘비봉산 복원방법(F5)’ 등 6개이 며, 회귀모형을 통해서 독립변수들의 기여도를 제시하였다.
현재 응답자들이 대표하고 있는 진주시민들이 느끼고 있는 비봉 산의 훼손은 심각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인식들은 특 히 응답자들의 이용경험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훼손을 심각하게 인식하는 데에는 비봉산에 대해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지역 고유의 역사문화자원으로서의 자부심이 크게 자리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 로 분석되었다. 비봉산 정비에 있어서 응답자들은 산복도로를 산행 코스로 하였을 때, 시각적 경험으로 심각하게 인식했었던 불법건축 물과 경작지를 정비하여 산림으로 복원해야 하며, 후각적으로 불쾌 감이 심했던 거름, 농약의 악취, 차량통행으로 인한 매연에 대한 관 리를 위해서, 차량통행이 금지되도록 하여 도로를 시민들의 산책로 로 변경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비봉산 산림을 복원하여 시민이 이용하기 쾌적하며, 생태계가 회복될 수 있도록 정비해야만 한다는 당위성을 금번 시민인식을 분 석하면서 적시하였으며, 행정기관의 주도는 물론이려니와 관련 정 책추진에 있어서 시민의 참여가 꼭 필요하다는 근거도 얻게 된 것 은 본 연구의 의의이다.
다만 구체적으로 제시된 정비 사업들의 숫자가 적어 보다 다양 하고, 효과적인 사업들을 발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향 후 비봉산 산지 훼손의 유형별로 분류된 데이터들을 분석하고,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를 토대로 한다면 구체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정비 사업들을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봉산 회복의 마지막 단계인 동식물에 근간한 생태계 복원을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Notes

본 연구에서 쓰이는 산지는 산지관리법 제2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입목(立木), 죽(竹)이 집단적으로 생육하고 있거나 일시 상실되었거나, 사용 예정인 토지 이며, 임도, 작업로, 토지 내 암석지, 소택지도 산지에 포함된다는 정의를 따르 고 있다.

V
V

REFERENCES

Byun SM, Kim HJ. Recognition of free inquiry activity and its effects on the science inquiry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J. Kor. Assoc. Sci. Edu 2011;31(2): 210–224.

Choi SM, Kweon HK, Lee JW, Choi YH, Choi TJ. A study on deterioration of ridge trail in Jeongmaek. Korean J. of Environ. Ecol 2014;28(4): 450–456.
crossref
Ham BY, Lee CY, Byun HK, Min BK. A study on detection of deforested land using aerial photographs. J. KOGSIS 2013;21(3): 11–17.
crossref
Huh J, Kim DS, Joo SH, Kim CS, Ahn MJ. The visual preference for damaged mountain landscape. J. KILA 2007;35(4): 71–80.

Jin JS, Sohn HK. Use standard of forest land and application plan. KRIHS Policy Brief 2010;291:1–8.

Kim EH, Cho JY. Runoff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from agroforest culture field. J. Appl. Biol. Chem 2014;57(4): 331–336.
crossref
Kim JH, Hwang YW. A study on scenic resources shown in the pictures of Jinju's Palky?ng. Proc. Autumn Annu. Confer. of the Archi. Insti. Kor. Planning & Design 2003;23(1): 471–474.

Kim SB, Kim MH, Kim BJ. Citizen's needs and uses on greenspace of mountainous parks - Focusing on Mt Apsan (front mountain) in Daegu. J. Nakdong River Environ. Res. Insti 2011;16(1): 130–147.

Kim TI, Kim JJ, Lee BR. Formulating forest welfare and establishing policy direction for forest welfare. J. Kor. Forest Recreation Welfare 2013;17(4): 119–131.
crossref
Kim YH, Kim HJ. A study of recognition for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programs of middle school students being educated at local centers for the gifted. J. Kor. Assoc. Sci. Edu 2010;30(2): 192–205.

Korea Forest Conservation Movement(KFCM). A survey and cause analysis on largely damaged forest land, and monitoring method for sustainable forest land conservation 2005;Chungnam Publisher; Deajeon.

Lee HH, Park JC, Lee KH, Lee SW. Application to stabilization and restoration of ecology function at torrential streams in special erosion control area. Academic Meeting of Korean Forest Sci 2008;2008:319–321.

Lim SG. Iksan-si natural yard development project. CONCEPT 2013;175(2013): 162–165.

Ma HS, Kang WS, Kang EM. Change analysis of damaged area by forest land conversion. Joint Academic Meeting for Forest Sci 2013;(2013): 901–903.

Park GJ.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 for development of hilly in the rural area. J. Kor. Insti. Rural Archi 2001;3(1): 11–23.

Park KJ, Jeong KS, Moon TH. Re-interpretation of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n the urban spatial configuration in Jinju city. J. Kor. Planning Assoc 2010;45(3): 175–191.

Shin JY, Sohn HK, Koo HM. Exploration of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urban regions and mountain geomorphology: Review of theoretical examination and quantitative case analysis. J. Kor. Cartographic Assoc 2014;14(1): 29–47.
crossref
Shin SH. A study on topography interpretation and the space remodeling of Jinju by the feng shui thought. J. Residential Environ. Insti. Kor 2007;5(2): 243–254.

Son SR, Yoon BK. A study on open space policy based on urban residents' values of open space. J. Kor. Planners Assoc 2002;37(4): 59–81.

Yoo HS, Yoo MJ, Kim YS. A study on the regional brand utilizing for regional revitalization. J. Kor. Real Estate Soc 2009;27(2): 97–113.

Yoo YM. Wise uses conditions of forest resources for forest welfare. Planning and Policy 2014;394:22–28.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1,121 View
  • 2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J. People Plants Environ.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