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접경지역 발전 전략

Promoting Strategies for the Border Region in Post-COVID Era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약어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0 vol.23, no.3, pp.229 - 246
DOI : 10.23841/egsk.2020.23.3.229
발행기관 : 한국경제지리학회
연구분야 : 지리학
Copyright © 한국경제지리학회
100 회 열람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글로벌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데, 특히 접경지역과 같이 상대적으로 외면 받아오던지역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남북한 접경지역의 경우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화해와 협력, 공존을위한 공간으로서 새로운 인식 및 개념화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전망을 통해 자국우선주의, 새로운 국가경쟁력의 기준 변화, 지역가치사슬의 변화, 4차산업혁명시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등 변화특성에 따라 SWOT 분석 등 상황별 발전방향을 분석, 제시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완충지역의 활용, 회복탄력성의 마련을 위한 비정치적 협력의 확대,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등 현실적인 접근을 제안하고, 시나리오 작성을 통해 긍정적인 경우와 부정적인 경우의 영향과 대응전략을 마련해 보았다.

The global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Coronavirus outbreak, especially in areas that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such as border areas. In particular, In the post-COVID era, the border area between the two Koreas requires a new perception and conceptualization as a space for reconciliation, cooperation and coexistence. Through the status and outlook of post-COVID era, this paper analyzed the promoting directions of each situation, such as SWOT analysi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such as domestic preference, changes into standards of new national competitiveness, changes into regional value chains, and the transition to digital econom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this paper proposed realistic approaches such as the utilization of buffer zones, expansion of non-political cooperation to prepare resilience, and promotion of new growth engine industries.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ed prepared strategies for analyzing the influ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cases and responding to them by writing possible scenarios.

포스트코로나 시대, 코로나바이러스, 접경지역, 남북관계, 발전전략, 시나리오
post-COVID era, Corona-virus, Border Region, Inter-Korean relations, Promoting Strategies, Scenarios

  • 1. [보고서] 강민조 / 2018 /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균형개발을 위한 종합 발전구상과 실천방안 연구 I
  • 2. [보고서] 강원도 / 2017 / 강원비전 2040
  • 3. [보고서] 관계부처 합동 / 2020 / 「한국판 뉴딜」종합계획-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으로 대전환 - (2020. 7. 14)
  • 4. [학술지] 김갑삼 / 2019 / 통일대비 남북 접경지역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주거환경 / 17 (1) : 285 ~ 1 kci
  • 5. [학술지] 김갑식 / 2012 / 시나리오 기법에 기초한 북한의 변화와 한국의 전략 / 현대북한연구 / 15 (1) : 124 ~ 1 kci
  • 6. [학술지] 김정완 / 2018 / 접경지역 남북교류거점의 입지와 개발방향 / 평화학연구 / 19 (4) : 99 ~ 4 kci
  • 7. [학술지] 김지나 / 2018 / 사회생태적 회복탄력성의 관점을 통해 본 DMZ 접경지역의 커뮤니티 기반 관광 / 국토연구 / 98 : 113 ~ kci
  • 8. [학술대회] 김택희 / 2019 / 통일경제특구 지정을 통한 강원 접경지역 활성화 방안 /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 572 ~
  • 9. [학술지] 류주한 / 2020 / 리쇼어링은 탈출구가 아닌 ‘재편모델’ 유연하게 ‘넥스트 쇼어링’을 준비하자 / 동아비즈니스리뷰 (303)
  • 10. [학술지] 박민철 / 2017 / 분단체제의 공간성 : DMZ와 접경지역의 로컬리티를 중심으로 / 시대와 철학 / 28 (3) : 123 ~ 3 kci
  • 11. [학술지] 박배균 / 2019 / 한반도 접경지역에서 나타나는 ‘안보-경제 연계’와 영토화와 탈영토화의 지정-지경학 / 대한지리학회지 / 54 (2) : 199 ~ 2 kci
  • 12. [단행본] 박삼옥 / 2005 / 사회∙경제공간으로서 접경지역 : 소외성과 낙후성의 형성과 변화 / 서울대학교출판부
  • 13. [학술지] 박삼옥 / 2004 / 접경지역 기업의 연계 및 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7 (2) : 227 ~ 2 kci
  • 14. [학술지] 박은주 / 2018 / 한반도 신경제구상 및 접경지역 발전을 위한 제언 / 한국동북아논총 / 23 (4) : 49 ~ 4 kci
  • 15. [보고서] 박정수 / 2020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서비스 모델과 정책과제
  • 16. [학술대회] 서울연구원 / 2020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경제전략 / 포스트코로나 대응 서울연구원 정책제안 토론회
  • 17. [학술지] 신동호 / 2017 / 경로의존론과 지역회복력 개념: 지역격차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접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20 (1) : 70 ~ 1 kci
  • 18. [학술지] 이병민 / 2013 / 소셜 네트워크 리소서(Social Network Resource)의 적용과 활용 -공간적 의미의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16 (1) : 50 ~ 1 kci
  • 19. [학술대회] 이상준 / 2020 / 뉴노멀과 남북접경지역의 과제 / 제5회 접경지역포럼 발표 자료
  • 20. [단행본] 이영민 / 2013 / 문화 장소 흔적: 문화지리로 세상 읽기 / 한울아카데미
  • 21. [학술지] 이원호 / 2004 /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이해 ― 소외성의 형성과 변화 ―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7 (2) : 171 ~ 2 kci
  • 22. [단행본] 이정철 / 2013 / DMZ 담론 / 강원발전연구원
  • 23. [보고서] 이정훈 / 2019 / 한반도 신경제구상과 경기북구 접경지역발전 전략
  • 24. [학술지] 이현주 / 2004 / 경기도 접경지역의 경제구조변화와 기업의 입지특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7 (2) : 203 ~ 2 kci
  • 25. [보고서] 일자리위원회 / 2019 / 일자리창출과 제조업 혁신을 위한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안)
  • 26. [학술지] 임을출 / 2018 / 한반도 신경제 구상과 DMZ·접경지역 평화벨트 조성 방안 / 접경지역통일연구 / 2 (2) : 9 ~ 2
  • 27. [학술대회] 임을출 / 2020 / 북한의 2020 정면돌파전략과 접경지역에서의 남북협력 전망 / 제3회 접경지역포럼 발표 자료
  • 28. [보고서] 임현 / 2009 / 미래예측을 위한 시나리오 분석 및 시스템 구축방안
  • 29. [기타] 중소기업연구소 / 2020 /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내 중소기업의 리쇼어링 활성화 방안 연구
  • 30. [보고서] 중소기업중앙회 / 2020 / 중소기업 ‘리쇼어링’ 관련 의견조사 결과보고서
  • 31. [학술지] 지상현 / 2019 / 한반도 경계와 접경지역에 대한 포스트 영토주의 접근의 함의 / 공간과 사회 / 29 (1) : 206 ~ 1 kci
  • 32. [단행본] Sheller, M. / 2019 / 모빌리티 정의 /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 2018
  • 33. [학술대회] 최인수 / 2020 / 코로나 19 위기극복과 사회경제적회복력(Resilience)의 측면에서 본 신뢰문제 /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1 ~
  • 34. [보고서] 하수정 / 2014 / 지속가능한발전을 위한 지역 회복력 진단과 활용 방안연구
  • 35. [단행본] Faulconbridge, J. / 2019 / 모바일 장의 발자취: 모빌리티 연구 10년 /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 36. [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2020 / 포스트코로나시대의 미래전망 및 유망기술
  • 37. [기타] 해외문화홍보원 / 2020 / 해외언론이 본 한국 코로나19 방역 100일 (2020. 4. 30)
  • 38. [기타] / 2019 /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변경 수립 및 사업 추진 (2019. 2.8) /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 39. [기타] 행정안전부 / 2011 /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한반도 중심의 생태평화벨트 육성 (2011.7.27.)
  • 40. [학술지] 허동숙 / 2019 / 산업과 문화의 협력: 스마트 전문화를 통한 지역 혁신성장 전략 모색 / 국토지리학회지 / 53 (1) : 101 ~ 1 kci
  • 41. [단행본]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미래전략연구센터 / 2020 / 2030카이스트 미래경고 / 김영사
  • 42. [학술지] Martin, R. / 2016 / How regions react to recessions : resilience and the role of economic structure / Regional Studies / 50 (4) : 561 ~ 4
  • 43. [단행본] Park, S. O. / 2015 / Dynamics of Economic Spaces in the Global Knowledge-based Economy: Theory and East Asian Cases / Routledge
  • 44. [인터넷자료] / 코로나 이후 한국은 ‘첨단제품 세계공장’이 된다 / 중앙일보
  • 45. [인터넷자료] /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19가지 ‘뉴 트렌드’… / 문화일보
  • 46. [인터넷자료] / Korea urged to promote manufacturing reshoring / Korea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