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 사회복지관의 제도적 정체성 규명에 관한 연구

Inquiring Institutional Identity of Social Welfare Center in Korea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약어 : -
2015 vol.17, no.3, pp.27 - 56
DOI : 10.22944/kswa.2015.17.3.002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연구분야 : 사회복지학
Copyright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1 회 열람

이 연구는 한국 고유의 ‘사회복지관’ 명칭을 가지는 조직의 정체성을 규명하려는 것이다. 근래에 사회서비스 공급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면서, 사회복지관 정책의 당위성이나 적정 포지셔닝(positioning)에 대해 많은 논란이 제기되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이 대부분 사회복지관의 정체성 혼란과 결부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이런 문제의식에 기반해서 사회복지관 정책의 대안적 정향(定向)에 요구되는 정체성의 실체를 규명해보고자 했다. 기축된 개념과 담론들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제도적으로 규명 가능한 실체적 수준에서 사회복지관의 정체성을 구성해보았다. 역사적 문헌자료에 대한 분석과 해석이 주된 연구 방법이며, 법제와 각종 통계 자료, 보고서 및 연구물, 직·간접 인터뷰 자료 등에 대한 프로빙 방식의 자료수집이 적용되었다. 이들 자료의 주관적 편향을 배제해내기 위해서는 연구자의 합리적 의심을 통한 비판적 검토와 삼각측량 원칙을 채용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을 밝힌다. 첫째, 현존하는 한국의 사회복지관들은 1960년대 중반에 처음 나타났던 ‘사회복지관’ 명칭의 조직을 정체성의 원형(原型)으로 한다. 둘째, 사회복지관의 정체성에는 ‘커뮤니티’와 ‘복지서비스’가 이념적 및 현실적 지향으로 공존해오고 있다. 셋째, 현실적으로 사회복지관 사업이 1980년대 정부 정책에 본격 편입된 이후 커뮤니티 지향은 최소화되었고, 서비스 지향 일변도의 확장 경로가 발생했다. 이는 2000년대에 들어 사회복지관이 겪는 두 가지 정체성 위기의 근원으로 작용한다. 넷째, 현재와 향후 사회복지관의 대안적 정체성의 정향은 커뮤니티와 복지서비스라는 두 가지 코어의 혼화(混和) 구조에 있다고 본다. 중간조직으로서의 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코어의 재구조화 작업이 예시로 제안된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의 정체성 위기의 본질을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대안적 정향을 제시하는 정도에서의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s to inquire identity of the organizations named ‘Social Welfare Center(SWC)’ which is an indigenous organization in Korea. Recently much debates have been occurred surrounding the policy of SWC, that are mostly related to the confusing identity of SWC. Various discourses on the SWC, especially with the usage of complex ‘community welfare’ concept, contribute to deepen obscurity of the organizational aspect as well as service programs of the organization. Recognizing this problem, this study intends to construct the identifiable level of organizational nature of origin which is inherited from the birth of SWC. Historical data were gathered, scrutinized, and analyzed, which are legal documents, statistical tables, interviews, and others. Probing, Critical Analysis, and Triangulation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This study finds the following : First, SWC is unique phenomenon independent from other organizational origins like Settlement House. Second, The identity of SWC is composed of two cores, ‘community’ and ‘welfare’ with either ideological or practical inclination. Third, since the periods of the 1980s, when the SWC had been adopted by the government as the useful alternative for expanding capacity of social service provision, SWC has weakened the ‘community’ core of identity compared to the strengthened ‘welfare’ core identity. And this has caused the crisis of the recent SWC situations. Finally, the desirable course for the SWC identity seeking is suggested as with modulating ‘intermediary organization’ role. It is concluded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regarding pratical model building of intermediary organization conceptualization for SWC.

사회복지관, 지역사회, 커뮤니티, 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중간조직, 정체성, 역사
Social Welfare Organization, Community, Service, Delivery System, Intermediary Organization, Identity, Settlement, History

  • 1. [단행본] 감정기 / 2009 / 지역사회복지론 / 나남
  • 2. [학술대회] 강만춘 / 1971 / 사회개발과 사회복지관의 역할 / 캐나다유니테리안봉사회 USC 제5회 연찬회보고서 : 39 ~
  • 3. [기타] 경제기획원 / 1986 / 국민복지 증진대책
  • 4. [기타] 국민복지기획단 / 1995 / ‘삶의 질’ 세계화를 위한 국민복지의 기본구상
  • 5. [보고서] 기획재정부 / 2010 / 한국형 복지국가의 미래 전망 보고서
  • 6. [기타] 김덕준 / 1969 / 사회사업교육의 현대적 경향과 한국사회사업교육 / 국립사회사업지도자훈련원 교수부, 사회사업교직자연찬회 토의자료 : 26 ~
  • 7. [단행본] 김만두 / 1995 / 지역복지의 이론과 실제 / 동인 : 65 ~
  • 8. [인터넷자료] 김만두 / 원로역사증언
  • 9. [학술지] 김범수 / 2010 / 지역사회복지의 중심축이 되는 기관단체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협의회와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 법정리뷰 / 27 (2) : 227 ~ 2
  • 10. [학술지] 김성이 / 1999 / 한국의 사회복지관 및 재가복지봉사센터 발전 방안 한국사회복지관협회 편 / 비교지역사회복지 : 391 ~
  • 11. [학술지] 김영모 / 2001 / 사회복지관의 정체성 / 사회정책연구 / 23 : 1 ~
  • 12. [학술지] 김영종 / 2003 / 한국 사회복지조직의 형성 과정에 관한 역사적 연구:1950~70년대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5 (3) : 31 ~ 3 kci
  • 13. [학술지] 김영종 / 2012 / 한국 사회서비스 공급체계의 역사적 경로와 쟁점, 개선 방향 / 보건사회연구 / 32 (2) : 41 ~ 2 kci
  • 14. [학술대회] 김영종 / 2012 / 새로운 사회정책서비스 전달체계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정책 과제 / 사회정책서비스 전달체계 개편방안 정책토론회
  • 15. [학술지] 김영종 / 2014 / 한국 사회복지전문직의 제도적 전문성 경로와 대안적 정향 / 사회복지정책 / 41 (4) : 377 ~ 4 kci
  • 16. [학술지] 김용득 / 1999 / 사회복지관 역할에 대한 최근 논의와 정책적 대안 / 월간복지동향 : 14 ~
  • 17. [단행본] 김융일 / 1994 / 지역복지의 이론과 실제 / 동인 : 85 ~
  • 18. [학술지] 김은정 / 2013 / 사회서비스정책 현황분석과 정책적 과제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24 (1) : 111 ~ 1 kci
  • 19. [학술지] 김은정 / 2015 / 사회적 돌봄체계 구축에서 공동체적 접근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연구 / 46 (2) : 153 ~ 2 kci
  • 20. [학술지] 김형용 / 2013 / 지역사회기반 서비스와 사회복지관- 사회서비스 공급체계에 대한 비판과 대안 찾기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5 (1) : 169 ~ 1 kci
  • 21. [학술지] 남진열 / 2003 /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의 쟁점과 과제 / 법과 정책 / 9 : 161 ~
  • 22. [기타] 대한민국정부 / 1981 / 제5차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1982~1986)
  • 23. [기타] 대한민국정부 / 1986 / 제6차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1987~1991)
  • 24. [기타] 대한민국정부 / 1988 / 제6차경제사회발전5개년계획 수정계획(1988~1991)
  • 25. [보고서] 박진근 / 2009 / 한국 역대정권의 주요 경제정책
  • 26. [단행본] 변철식 / 1995 / 지역복지의이론과 실제 / 동인 : 99 ~
  • 27. [기타] 보건복지부 / 1994 / 노인복지사업지침-노인복지시설현황 1991~1997, 2011
  • 28. [기타] 보건복지부 / 2014 / 보건사회(복지)통계연보. 1955 ~ 2014
  • 29. [기타] 보건사회부 / 1967 / 1967년도 외원단체활동현황 및 요망사항
  • 30. [기타] 보건사회부 / 1991 / 90년도 외원관리현황
  • 31. [보고서] 서울시복지재단 / 2014 / 임대지역 주민주도형 경제모델 지원사업 보고서 : 길음, 면목, 노원사례의 참여적 성과평가를 중심으로
  • 32. [보고서] 성규탁 / 1993 / 사회복지관의 기능 및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 사례분석 접근
  • 33. [학술지] 성민선 / 2007 / 캐나다유니테리언봉사회에 의한 한국 최초의 학교사회사업 고찰 / 사회복지연구 (35) : 389 ~ 35 kci
  • 34. [학술지] 성민선 / 2010 / Rekkebo의 기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사업의 초기(1955-1965) / 사회복지리뷰 / 15 : 129 ~
  • 35. [학술지] 양난주 / 2014 / 영리·비영리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차이와 동형화에 대한 연구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6 (1) : 179 ~ 1 kci
  • 36. [기타] 여성가족부 / 2015 /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현황
  • 37. [기타] 유동철 / 2011 / 지역사회복지관을 어떻게 할 것인가 / 복지동향, 2011.1 : 4 ~
  • 38. [단행본] 이덕주 / 1993 /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의 역사(1921~1993) /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 39. [보고서] 이봉주 외 / 2010 / 사회서비스 이용권 사업자 등록기준개발
  • 40. [학술지] 전광현 / 2004 / 지역사회복지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복지관의 실천 방안 /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15 : 119 ~
  • 41. [학술지] 최원규 / 1998 / 초기 사회사업 개념 형성에 미친 외원단체 활동의 영향: <카나다 유니테리안 봉사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연구 / 11 : 161 ~
  • 42. [단행본] 최일섭 / 1995 / 지역복지의 이론과 실제 / 동인 : 11 ~
  • 43. [학술대회] 최재성 / 1999 / 사회복지관의 발전과정과 과제 / 서울시사회복지관협회 세미나자료집
  • 44. [학술대회] 최천송 / 1971 / 사회개발장기전망과 사회복지관사업과의 관계 / 캐나다유니테리안봉사회 USC 제5회 연찬회보고서 - 사회개발에 있어서의 사회복지관의 역할 : 13 ~
  • 45. [단행본] 카바40년사편찬위원회 / 1995 / 외원사회사업기관활동사 / 홍익제
  • 46. [보고서] 한국사회복지관협회 / 1992 / 사회복지관현황 조사보고서
  • 47. [단행본] 한국사회복지관협회 / 1999 / 사회복지관백서
  • 48. [기타] 한국사회복지관협회 / 2010 / 사회복지관기능정립연구사업 2차년도 연구위원회 공청회 자료
  • 49. [기타] 한국인구보건연구원 / 1987 / 사회복지시설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 87 ~
  • 50. [기타] 행정자치부 / 2004 / 전국자원봉사센터현황
  • 51. [단행본] 홍현미라 외 / 2010 / 지역사회복지론 / 학지사
  • 52. [보고서] 황성철 / 1994 / 사회복지관 운영평가 및 모형개발
  • 53. [학술대회] 황성철 / 1997 / 한국의 사회복지관 모형과 발전방안 / 한국사회복지관협회 1997 하반기사회복지세미나
  • 54. [단행본] 호사카 미쓰히코 / 2014 / 복지사회의 개발: 지역 및 공동체 접근 / 학지사 : 135 ~
  • 55. [단행본] 김영종 / 2012 / 일본의 지역복지 : 정책 및 방법 / 학지사
  • 56. [기타] 京城府社會課 / 1941 / 京城府社會事業要覽
  • 57. [기타] 京城府社會事業助成會 / 1938 / 京城府內各種社會事業要覽
  • 58. [기타] 日本社会福祉学会編 / 2004 / 社会福祉学研究の50年―日本社会福祉学会のあゆみ ミネルヴァ書房 / 日本 社會福祉事業法(昭和26年法律第45号)
  • 59. [기타] 朝鮮總督府內務局社會課 / 1929 / 朝鮮社會事業要覽
  • 60. [기타] 朝鮮總督府學務局社會課 / 1943 / 朝鮮の社會事業
  • 61. [단행본] Berger, P. / 1995 / To Empower People : From State to Civil Society /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Press
  • 62. [단행본] Dillick, S. / 1953 / Community organization for neighborhood development : Past and Present / Woman’s Press and W, Morrow
  • 63. [단행본] Dunham, A. / 1958 / Community welfare organization : Principles and Practice / Crowell
  • 64. [단행본] Hasenfeld, Y / 1992 / Human Services as Complex Organization / Prentice-Hall : 24 ~
  • 65. [단행본] Hill, M. / 2007 / Care, community and citizenship: research and practice in a changing policy Context / The Policy Press : 5 ~
  • 66. [보고서] National Council of Community Development Republic of Korea / 1960 / Community Development Programs Annual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