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무선랜과 같은 무선 연결 기술을 사용하는 기기가 매년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무선망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들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향상된 프리앰블 탐지기술인 Message In Message 기능이 구현된 무선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노드들의 적절한 배치를 통해 시스템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두 노드간의 거리에 따른 간단한 캡처 확률 모델을 바탕으로 무선 메시노드를 배치하여 동시전송 기회를 극대화 하면 기존의 IEEE 802.11 DCF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무선 메시망에 비해 데이터 처리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우리는 시물레이션을 통한 성능검증을 통해 Message In Message 캡처를 활용하는 무선메시망 배치구조가 기존 DCF로 동작하는 망에 비해서 약 60% 정도의 처리량 향상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With the explosive spread of mobile devices including notebook computers and smartphones that use wireless LANs,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n advanced technology to handle excessive wireless traffic.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ethod of improving system performance through proper placement of nodes embedding wireless interfaces implementing MIM functions. If a wireless mesh node is placed harnessing an MIM capture probability model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wo nodes, concurrent transmissions become possible, and achieved throughput can be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a wireless mesh network operating based on the legacy IEEE802.11 DCF. Through performance verification through both analytic study and extensive simulations, we confirmed that the MIM capture-aware wireless mesh network deployments has a potential of throughput improvement up to 60% at a moderate distance compared to the DCF-based network.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MIM 기반 동시전송 방법
Ⅲ. MIM 캡처 확률 분석
Ⅳ. MIM 기반 동시전송을 위한 무선 매시노드 배치전략
Ⅴ. 성능 평가
Ⅵ.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1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004-001561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