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afety Improvement in Incineration System from the Case Study of Acrylic acid manufacturing process Accident

아크릴산 제조공정 사고사례를 통한 소각 시스템의 안전성 향상 방안

  • Ma, Byung-Chol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
  • Lee, Keun-Won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
  • Im, Ji-Pyo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
  • Kim, Young-Chul (Faculty of Applied Chemical Engineering and the Research Institute for Cataly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마병철 (전남대학교 대학원 화학공학과) ;
  • 이근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 임지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 김영철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응용화학공학부 및 촉매연구소)
  • Received : 2012.04.20
  • Accepted : 2012.08.27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Recently, waste gas incineration is increasing due to strong environmental regulatory system in Korea. These incinerating facilities are usually connected with the top of the storage tank through pipeline and incinerate off gas with the flame. Therefore, the flame originated from these facilities is likely to move back into pipeline and might cause an explosion of the storage tank.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eventive measures and the way to improve the safety of these incineration systems through the cause analysis of a major industrial accident occurred in a acrylic acid manufacturing proces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eventive measures are suggested as follows. (1) Air or inert gas inflow facilities should be well designed to dilute flammable gases into air or inert gas sufficiently before the blower is restarted in order to prevent the explosion (2) It is needed for the detonation-type flame arresters to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torage tanks. (3) In case of using the deflagration-type flame arresters,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rupture disk before the arresters, or blow off the flame outside tanks by connecting the tank top and the incinerator with hood-type pipe. (4) TDR should be installed to be restarted automatically after the momentary power failure.

최근 대기환경규제의 강화로 화학공장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소각 처리하는 경우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소각설비는 저장탱크 상부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화염을 통하여 폐가스를 연소 소각시키기 때문에, 배관을 따라 화염이 역화될 경우에는 치명적인 사고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크릴산 제조공정의 소각시스템에서 발생한 중대산업사고에 대해 폭발의 3요소와 화염의 전파 원인을 분석하여 사고 예방대책 및 안전성 향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소각시스템의 송풍기를 재 가동하기 전에는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로 충분히 희석하여 폭발을 예방하여야 한다. 둘째, 폭굉으로 전이된 화염이 저장탱크로 전파되지 않도록 소각설비의 전단 및 저장탱크 상부에 폭굉용 화염방지기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섯째, 폭연용 화염방지기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그 전단에 파열판을 설치하거나 저장탱크 상부와 소각설비의 배관을 후드식으로 연결하여 폭굉으로 전이된 화염을 저장탱크 밖으로 분출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소각설비에 연결된 송풍기의 제어반(MCC)에 순간정전 보상장치인 시간지연계전기(TDR: time delay relay)등을 설치하여 순간정전 후에도 자동으로 재가동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황순용,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안전관리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명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중대산업사고 조사보고서", (2010)
  3. 이근원 등, "축열식 소각로의 화재.폭발 사고원인 규명", 한국가스학회지, 11(4), 7-11, (2007)
  4. API PR 2028, "Flame Arresters in Piping systems", (2002)
  5. G. Ciccarelli, S.Dorofeev, "Flame acceleration and transition to detonation in ducts", Progress in Energy and Combustion Science, 34, 499-500, (2008) https://doi.org/10.1016/j.pecs.2007.11.002
  6.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전남동부지도원, "화학 공장의 안전장치", (2006)
  7. IEC 60079-20-1(Part 20-1),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gas and vapour classification- Test methods and data ", (2010)
  8. KOSHA Code D-43, "연소 소각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처리설비의 기술지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1)
  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부산지역본부, "소각법에 의한 VOC 처리설비의 안전대책",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