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노동력 감소에 대한 해결 방안과 수산물 수요의 증가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써 수산업의 효율성 및 지속 가능성 개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농업이나 축산업 뿐만 아니라 수산업 분야에도 규모화 및 친환경화, 생산성 향상, 유통 및 수출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과 같은 ICT 기술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양식의 도입은 장기간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축적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및 지능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산업의 경쟁력과 직결되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농·축·수산 분야에서 경제성 향상 및 생육환경의 최적화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디지털 트윈 기술의 적용 사례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디지털 트윈을 양식 분양에 적용하여 스마트 양식을 제공하는 서비스 및 개발 단계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양식장으로의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을 위해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가상의 순환여과식 육상양식장 에너지 모델을 개발하고, 에너지 최적 관리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현실 양식장과의 데이터 연동을 통한 현장 운영 스케쥴 도출 및 수온 제어 세분화 프로세스에 따른 현장 재현율 향상을 통해 모델예측 성능을 개선한 연구 사례에 대하여 기술한다.

The increasing nee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of the fisheries industry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decline of the labor force has led to efforts in implementing ICT technologies such as digital twins. This applies not only to agriculture and livestock but also to the fisheries sector, aiming for scalability and enhanced productivity. The adoption of smart aquafarming through the utilization of digital twins enables long-term data collection and leverages accumulated data to enable digitization and intelligence, thereby directly impact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fisheries industry. This paper examines case studies of the application of digital twins, an emerging technology that offers economic improvements and optimal growth environments in the fields of agriculture, livestock, and fisheries. It specifically focuses on the use of digital twins in aquaculture, providing insights into the services and development stages of smart aquafarming by applying digital twins to aquaculture. Furthermore, this paper describes a case that enhances predictive performance to derive energy optimal management plan by improving the replication accuracy of real-world operational schedules and temperature control subdivision process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virtual energy model using simulations and data integration with on-site aquafarm.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농·축·수산 분야의 디지털 트윈
Ⅲ.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 양식
Ⅳ.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23)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4-02-088354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