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ICT 기술을 선도하는 핵심 분야는 단연 빅데이터와 AI이며,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기존에는 시뮬레이션 중심의 연구 수행 형태에서 대용량 데이터 기반의 AI 분석 기법을 이용한 연구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데이터의 사이즈의 변화에 따른 데이터 전송 속도의 문제와 AI를 연구하기 위한 컴퓨팅 환경 부족의 문제와 직면하였다. 또한 기존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은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데이터 전송량의 급증으로 데이터 전송 지연, 장애대응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위해 분산처리 환경의 컴퓨팅 기술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과학기술연구망에서는 연구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빅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ScienceDMZ 환경 구축 및 부족한 컴퓨팅 인프라 환경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출연연구소 8개의 기관과 협력하여 ScienceDMZ 기반의 빅데이터 전용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구축된 인프라 위에 컨테이너 기반의 분산처리가 가능한 AI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개발하여 기존의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국내의 ScienceDMZ 환경 구축 사례를 통해 대역폭 대비 80% 이상의 성능 향상의 결과를 보이며, AI 플랫폼의 CPU, GPU 컴퓨팅을 이용한 싱글, 병렬, 분산 컴퓨팅의 성능 비교를 통해 분산 컴퓨팅 성능의 우수성을 보이고자 한다.

Recently, the key areas leading ICT technology are by far big data and AI.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changing from a simulation-oriented research practice to a research environment using AI analysis techniques based on large-scale data. This change faced the problem of data transmission spe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data size and the problem of lack of computing environment to study AI. In addition, when the existing cloud computing technology is us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the data transmission delay and failure response problems occurred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data transmission volume. To this end, we solve the problem using computing technology in distributed processing environment. To this end, the problems are solved by using computing technology in distributed processing environment. Therefore, KREONET aims to improve the fast transmission of big data and the insufficient AI computing environment, centered around the establishment of the ScienceDMZ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aim to solve existing problems by building big data dedicated network based on ScienceDMZ and DTNs capable of distributed computing in cooperation with the eight institutions of super facility and develop a platform that provides container-based AI research environment on the established ScienceDMZ infrastructure. Through the case of establishing the ScienceDMZ environment in Korea, the result of performance improvement of more than 80% compared to the bandwidth is shown, and the superiority of distributed computing performance is shown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single, parallel, and distributed computing using the CPU and GPU computing of the AI platform.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동향 및 관련 논문
Ⅲ. R&E Together 인프라 구축 및 개발
Ⅳ. 적용 사례
Ⅴ. 실험
Ⅵ.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3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567-001775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