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CA저장 컨테이너와 연결된 품질예측시스템을 이용하여 저장 중인 ‘후지‘ 사과의 감모율을 비파괴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CA저장 시험은 4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감모율 예측성능은 감모율 예측 수식에 포함된 주요 인자인 증산계수와 저장 중 컨테이너의 문 개폐 횟수 및 개폐 누적 시간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감모율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증산계수에 따른 감모율 예측의 경우 증산계수 42와 50을 이용하여 실측값과 예측값을 비교한 결과 증산계수 50으로 했을 때 예측 오차의 RMS error값이 A지역 0.11178(1회차), 0.16204(2회차), B지역 0.12023으로 나타난 반면, 증산계수 42일 때에는 A지역 0.29772(1회차), 0.35742(2회차), B지역 0.29050으로 나타나 증산계수 50에서 감모율 예측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CA 컨테이너의 문 개폐 횟수가 4회로 동일한 B지역과 D지역의 감모율 예측오차의 RMS errorr값은 B지역은 0.1202, D지역은 0.7833으로서 큰 차이를 보여 개폐 횟수는 감모율 예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개폐 누적 시간이 B지역은 197분, D지역은 360분으로 나타나 누적 시간이 클수록 오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non-destructively predict the weight loss rate of Fuji apple by means of a quality prediction system connected to a controlled atmosphere (CA) storage container. Four CA storage containers in different region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The weight loss rate was predicted by the proposed formular based on transpiration coefficient, the number of door openings, and the accumulated door-opening time. The prediction formular was evaluated with experiment data at the transpiration coefficients 42 and 50, respectively. At the transpiration coefficient 50, the prediction of the loss rate was in a good agr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 RMS error values of the predicted error rate at the transpiration coefficients 50 for A area were 0.11178(1st) and 0.16204(2nd), and B area was 0.12023, respectively. The RMS error values of the predicted error rate at the transpiration coefficients 42 for A area were 0.29772(1st), 0.35742(2nd), and B area was 0.29050,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MS error values of the predicted error rate of the B and D area where the CA container had 4 times of number of door openeds was 0.1202 in the B area, and 0.7833 in the D area, respectively. It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door opened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prediction of the reduction rate. However, the accumulated door-opening time was proportional to the RMS error. The accumulated door-opening time of CA storage was 197 minutes in B area and 360 minutes in D area, respectively.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567-001077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