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에서는 교류전기철도 전차선로 설비에 낙뢰 유입시 과도특성 해석을 위해 AT급전구간의 대지저항률을 100, 1000(Ω·m)의 2가지인 경우에 대하여 가공지선의 설치 유무와 접지인출선의 설치조건에 대하여 EMTP 해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낙뢰전류가 피크점까지 상승하는 시간은 1(μs), 피크의 50% 지점까지 떨어지는 시간을 70(μs)를 가정하였으며, 낙뢰전류의 피크값을 가변하면서 애자 섬락[애자의 뇌충격내전압 250(kV))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해석결과 가공지선의 설치 유무에 따라 최소 섬락전류에 차이를 보였다. 대지저항률이 100(Ω·m) 일때, 가공지선이 설치된 경우 접지인출선 길이 6(m) 1조인 경우에서 최소 섬락전류가 19[kA]로 나타났으며, 가공지선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16(kA)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two cases of earth resistivity of 100 and 1000 (Ω·m)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of transient characteristics when lightning strikes the AC electric railway catenary facilities. Using the EMTP program, analysis conditions a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verhead ground wire and the length of the grounding lead wire. It is assumed that the time for the lightning current to rise to the peak point is 1 (μs) and the time to fall to the 50% point of the peak is 70(μs). The simulation analyzed whether insulator flashover [insulator"s lightning impulse withstand voltage 250(kV)] occurred while varying the peak value of the lightning curr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inimum flashover current was 19(kA) when the ground resistivity is 100(Ω·m), the overhead ground wire is installed, and the length of the grounding lead wire is 6(m), the flashover current was 16(kA) when the overhead ground wire is not installed.

목차

Abstract
초록
1. 서론
2. AT 급전방식 전차선로 및 낙뢰의 유입 모델링
3. 전차선로에 낙뢰 유입시 과전압 특성 해석
4.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