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지형적 특성과 함께 사회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격자 단위의 폭염취약지역을 도출하고, 온도저감시설의 적정 위치를 선정하고자 한다.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에서 제공하는 기후변화 취약성평가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변수들을 선정 및 분류하여 태양 복사량,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고령인구밀도, 유소년 인구밀도, 수변 영향, 기존 무더위쉼터 그리고 그늘막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지는 폭염의 영향이 큰 대구광역시를 선정하였다. 취약지역의 경우 대구 수성구 지산동의 지범로, 달성군 유가읍 테크노북로, 북구 구암동 대천로 마지막으로 달서구 유천동 조암로 등에 분포되어 온도저감시설의 추가 설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구광역시의 폭염 저감을 위한 정책적 지원에 있어 세밀한 온도저감시설의 적정 위치를 제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grid-level heatwave vulnerability areas while considering both geograph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to determine suitable locations for temperature mitigation facilities. Based on the concept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provid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variables such as solar radiation,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density of elderly population, density of children and youth population, aquatic influences, existing heat shelters, and Shade cloth location data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for the research.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city of Daegu, which is highly affected by heatwaves. Vulnerable areas were identified in locations such as Yucheon-dong, Dalseo-gu, Guam-dong, Buk-gu, Yuga-eup, Dalseong-gun, Map of Jisan-dong, Suseong-gu, where additional temperature mitigation facilities are deemed necessar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ropriate location of detailed temperature reduction facilities can be suggested in policy support for heat wave reduct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목차

要旨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지표선정
3. 자료수집 및 가공
4. 폭염취약지역 도출 및 온도저감시설 적지분석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4-02-088078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