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uccess factors in construction IT convergence : applying AHP

AHP를 이용한 건설.IT융합 사업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 임정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u-City공학과) ;
  • 권순욱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1.05.07
  • Accepted : 2011.06.17
  • Published : 2011.07.31

Abstrac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new programs incorporating IT applications. In construction, initiatives calling for changes ensuring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quality and safety, and for the strengthening of global competitiveness, have contributed to the increased need for exploring new markets. Moreover, the government's supportive policies have helped develop profit models. Meanwhile, the industry and the government have supported the efforts for identifying and disseminating successful case studies - as part of the strategy for evaluating and promoting the developed programs. However, the criteria for identifying/evaluating successful cases remain vague, and the viewpoints of participants differ depending on their disciplines. These discrepancies could lead to inconsistent results. Thus, it is imperative that a criterion be provided, upon which to judge the success or failure of implementation cases and to disseminate role models. It is also imperative that a direction of improvement be propo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criteria for and process of evaluating the success of construction-IT convergence to help promote the construction industry incorporating IT applications. To that end, success factors for and the significance of IT-incorporated construction were identified.

현재 건설업 및 산업전반에서 IT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사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건설 생산성, 품질, 안전향상을 위한 변화와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시장 개척의 필요성이 증대되었으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u-city와 같은 수익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함께 개발된 사업을 평가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산업계 및 정부차원에서 성공사례 발굴과 보급에 대한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성공사례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기준이 모호하고 각 분야의 참여자들의 관점이 달라서 판단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도출될 수 있어, 어떤 기준으로 성공사례를 판단하고 성공모델로 보급할 지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 IT 융합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건설 IT융합 사업의 성공요인과 그 중요도를 도출하여 건설 IT융합 성공사례의 평가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용호(2010)," U-City 해외 진출 전략 및 미래전략"
  2. 김태호, 조경석(2008),"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TPS성과지표개발", 한국경영컨설팅학회, Vol.8(2), 151-164
  3. 배용호 (2003), "건설기술 연구개발 성과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4. 유일한, 김경래, 정영수, 진상윤, 김예상 (2004), "비교가능한 건설 산업의 성과측성 Framework",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Vol.5(5), 172-182
  5. 유일한, 김경래, 정영수, 진상윤, 김예상(2005)," 건설사업의 성과지수 개발을 위한 핵심성과지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ol.21, 139-150
  6. 유일한, 김경래, 정영수, 진상윤 (2006), "건설기업 성과지표의 정량적인 특성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Vol 7(4), 154-163
  7. 유현선(2010).", 건설-IT융합 시장 및 기술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KIET 산업경제 연간간행물, 31-42
  8. 임영희, 손명호, 이희석(2005)," IT균형성과표를 활용한 IT성과지표의 비교분석", 경영학연구, Vol.34, 1807-1828
  9. 전황수, 박기식 (2008), "건설과 IT융합", 전자공학회지, Vol.35(5), 476-488
  10. 조근태, 하상도, 김성민, 염용권(2000)," AHP를 이용한 중소기업형 의료기기 개발사업의 선정", 기술경영경제학회, Vol.8(2), 1-17
  11. 조근태(2003)"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12. 조충호(2010)," 건설IT융합시장전망", 고려대학교
  13. 정보통신연구진흥원(2007)," IT융합 기술로드맵"
  14. 지식경제부 (2010)," 건설IT융합지원센터 연차보고서"
  15. 호진원 (2009), "전자정부 사업 성과지표 표준화에 대한 연구", 감사원 평가연구원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