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장애인은 진단과 유형에 따라 신체 기능, 관절의 가동범위 및 근력의 정도가 다르므로 특정 시스템에 대한 사용성의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장애 유형에 따른 휠체어 사용자 전용 고속버스 예매시스템의 사용성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해 휠체어를 사용하는 근육 장애인 5명, 척수 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의 사용성 지표와 휠체어 좌석 예약 및 결제하기, 예약 취소하기의 시나리오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효과성 결과는 근육 장애인과 척수 장애인 모두 과제를 완수하였기 때문에 두 그룹 모두 100%로 측정되었다. 효율성 결과에서는 척수 장애인보다 상지 근위부 근력이 약한 근육 장애인의 시나리오 과제 수행 시간, 노력도, 난이도가 더 높았다. 만족도 결과에서는 하나의 시나리오를 제외하고는 두 그룹의 수용도가 같았으며, 예매시스템의 전반적인 사용성을 측정한 SUS는 두 그룹 모두 A등급의 수용할만한 시스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뷰를 통해 간편한 예약 및 결제를 위한 기능, 터미널과 타 교통수단으로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정보 및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매시스템을 보완하여 장애인의 접근성 및 이동권 개선에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The usability of a particular system varies across people with disabilities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their physical functions, range of motion, and muscle strength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y. This study carried out usability testing on 5 people with a muscular disease and 5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all of whom were using wheelchairs. The purpose was to analyze the usability of the express bus reservation system for wheelchair users according to disability types and derive improvements. The usability testing used indicators of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as well as scenarios covering reserving and paying for a wheelchair seat and canceling a reser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Effectiveness was measured as 100% for both groups because both groups completed the tasks. In the efficiency results, people with muscular dystrophy had a higher task performance time, expended more effort, and had greater difficulty because of weaker muscle strength in the proximal part of the upper extremity compared to people with a spinal cord injury. 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acceptance was the same for both groups except for one scenario, and SUS which measured the overall usability of the reservation system showed that it was an acceptable A-grade system for both groups. The necessity for information and services to improve accessibility to terminals and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as well as the need for functionality for convenient reservation and payment were brought out through interview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rvation system should be supplemented to improve accessibility and mobility for people with wheelchair disabilities.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고찰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