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공격성에 대한 규범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중인 중학생 360명(남: 168명, 여: 19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 test로 공격성에 대한 규범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에 대한 규범적 신념은 사이버불링 피해경험 및 가해행동과 각각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이버불링 피해경험 및 가해행동 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대한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의 직접적인 영향이 유의미했고, 공격성에 대한 규범적 신념을 통한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대한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의 간접적인 영향이 유의미했다. 분석 결과,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공격성에 대한 규범적 신념이 부분 매개 효과를 있음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불링 피해경험,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보이는 중학생에 대한 개입 방법과 함께 연구의 의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normative belief about aggression between cybervictimization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in self-report and online survey modes from 360 students (168 boys and 192 girl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data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normative belief about aggression was verified with the Sobel test.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ormative belief about aggress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ybervictimization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and cybervictimization was positive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yberbullying perpetration. Second, the direct effect of cybervictimization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wa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 of cybervictimization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through the normative belief about aggression was also significant. It was also confirmed from the study that the normative belief about aggress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victimization and cyberbullying perpetration. Finally, intervention and prevention strategies for cybervictimizati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4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