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34.64
18.224.34.64
close menu
KCI 등재
원청 사용자와 하청 근로자 간 단체교섭 대상 사항으로서 산업안전보건 의제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s an agenda for collective bargaining between the primary contractor and subcontractor’s workers
이재현 ( Lee Jae-hyun )
영남법학 57권 237-269(33pages)
DOI 10.56458/YULJ.2023.57.237
UCI I410-ECN-151-24-02-089110032

최근, 집단적 노사관계의 주요 쟁점은 원청을 하청 업체 근로자의 단체교섭 상대방으로 인정할 것인지다. 확립된 대법원의 판결이 없는 상태에서, 하급심법원 판례와 노동위원회 재결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학계의 논의도 치열하게 전개 중이다. 본 연구는 하급심 법원 판결과 중앙노동위원회의 판정에서 중점적으로 언급된 산업안전보건 의제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근로자나 노무제공자의 생명과 건강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하지만 구체적인 보호의 방법을 정하거나 실행하는 과정에는 냉철한 접근이 필요하다.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사항은 단체교섭 방식보다는 법으로 명확한 기준을 정하고 근로감독을 통해 실효성을 높이는 방식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전제에서, 본 연구는 교섭 외의 방식으로 하청 업체 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을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하청 업체와 근로자의 교섭 결과에 대해 원청의 노력 의무를 부과하는 방법, 원청의 산업안전 협의회 등에서 하청근로자 보호에 관한 사항을 다루고 하청 근로자가 직접 참여하는 방법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Recently, a major issue in collec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is whether to recognize the primary contractor as a counterparty for the subcontractor’s workers in collective bargaining. Despite the absence of a precedent ruled by the Supreme Court, lower court precedents and examples of adjudications by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s are increasing, and discussions are also intensifying in academia. This study reviewed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genda that was mainly mentioned in the lower court ruling and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Commission’s adjudication. There can be no disagreement on the need to protect the life and health of workers or labor providers. However, an objective approach is needed to determine or implement specific ways to provide protection of workers. Regarding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t is considered more appropriate to set clear standards by law and increase effectiveness through supervision rather than using collective bargaining. Under this premise, this study suggested how to improve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f subcontractor workers in ways other than through collective bargaining. The first way is to impose the primary contractor’s obligation to make efforts to realize the outcome of negotiations between the subcontractor and subcontractor’s workers. The second way is to have the subcontractor’s workers directly involved in discussing the agenda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subcontractor’s workers in industrial safety committee discussions hosted by the primary workers.

Ⅰ. 들어가며
Ⅱ. 주요 하급심 법원 및 재결례 태도
Ⅲ. 단체교섭 대상 사항으로서 산업안전보건 의제
Ⅳ. 교섭 외 방식을 통한 하청 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 향상 방안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