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과형 인간과 이과형 인간의 탄생

인간유형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고찰

이 연구는 우리 사회 문화 안에서 암묵적으로 공유된 ‘문과형 인간’과 ‘이과형 인간’이라는 개념이 만들어지게 된 기작과 이 개념이 우리 문화 안에서 넓고 견고하게 자리잡게 된 맥락을 이해하기 위하여, 관련된 개념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교육 제도적 측면에서 ‘문과’와 ‘이과’라는 제도적 역사와 다양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과학철학자 Ian Hacking(2007)의 ‘만들어진 사람’과 ‘루핑 효과’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문과형 인간’과 ‘이과형 인간’이라는 사람의 유형이 구성되는 맥락에 대해 해석했다. 셋째, ‘문과형 인간’과 ‘이과형 인간’ 집단을 상호 구별짓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유형론적 사고와 본질주의적 인식(essentialism) 등 일부 사회심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해석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문과형 인간’과 ‘이과형 인간’ 사이의 타자화와 혐오의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문과와 이과를 양분해서 바라보는 한국의 교육문화를 이해하는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text by which the concepts of “type of humanities person” and ”type of STEM person,” were made, and broadly and firmly established in Korean culture. To be specific,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institutional division of ”humanities” and ”STEM” in terms of the educational system. Second, we reviewed the concepts of ”making up people” and the ”looping effect” suggested by Ian Hacking (2007) for understanding the construction of the ”type of humanities person” and ”type of STEM person.” Third, we discussed the problem of differentiating the two types of person focusing on some socio-psychological concepts such as typological thinking and psychological essentialism. Last, the problem of othering and aversion between the two types of persons was discussed.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educational-cultural phenomenon that usually divides people into ”humanities” and ”STEM.”

Ⅰ. 서론

Ⅱ. 교육제도로서의 ‘문·이과’

Ⅲ. 문과형 인간과 이과형 인간 만들기

Ⅳ. 문과형 인간과 이과형 인간 구별짓기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