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 민자영 (spabliss)
  • 장성호 (건국대학교)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루키즘과 외모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외모관리 행동이 매개효과를 발휘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40-50대 여성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루키즘이 외모 관리 행동, 외모 만족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외모 관리행동은 중년 여성들의 외모 만족도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루키즘의 하위요인인 유사비교와 상향 비교가 외모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외모 관리행동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셋째, 외모관리 행동은 외모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외모관리 행동을 증가시킴으로써 중년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에 대한 불만족을 감소시키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중년 여성들의 자아 이미지와 외모에 대한 태도를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개인적인 기준에 따라 외모 만족도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ookism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women and to verify whethe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ct as a mediating factor. The research focused on women aged 40 to 50 resid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lookism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appearance satisfaction, whil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women. Secondly, the sub-factors of lookism, namely, social comparison and upward comparison, directly influence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were also found to indirectly influence it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ird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d a positive impa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creasing such behaviors allowed middle-aged women to reduce dissatisfaction with their appearance and increase their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study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and improving middle-aged women"s self-image and attitudes towards their appearance. I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ized standards in forming appearance satisfaction.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beneficial for shaping appearance satisfaction based on personal criteria.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의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4-02-088253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