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7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현대 뮤지컬에서 볼거리로서 스펙터클은 연극실천가의 주요한 예술 행위 중 하나이다. 그러나 여러 영상매체가 구사하는 화려한 판타지의 세계에 익숙한 현대 관객들에게 공연예술 장르에서 그보다 못한 스펙터클의 경험은 차가운 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다. 2019년 토니어워즈에서 8개 부문 수상과 2020년 그래미어워즈에서 최고 뮤지컬 앨범상을 받으며 브로드웨이 명품 신작 뮤지컬의 반열에 오른 〈하데스타운〉은 일반적인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러한 관객의 요구에 부응한다. 이는 파비스의 스펙터클 옹호론 중 다른 특성인 ‘의미를 띤 물질성’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재현 과정 자체를 노출하여 관객이 그것의 의미를 창출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방식을 끌어들인 것이다. 또 그에 더해 ‘연극적 기쁨’은 극장의 테크니컬한 요소를 이용하되 재현이 아닌 실제로 보지는 않았지만 무언가 본 듯한 느낌을 만들어 충족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하데스타운〉의 스펙터클만의 특징을 각각 ‘현존’과 ‘현존효과’ 개념의 연계 과정으로 분석한다.

As a thing to see in contemporary musicals, a spectacle is one of the major artistic practices of theater practitioners. However, in the performing arts genre, a lesser spectacle experience can be a cold reaction for modern audiences who are accustomed to the splendid fantasy world driven by various video media. However, as it won 8 Tony Awards in 2019 and Best Musical Album at the 2020 Grammy Awards, Hadestown, which rose to the ranks of Broadway luxury new musicals, responds to this audience’s needs in a different way than usual. This is based on ‘materiality with meaning’, which is another characteristic of Pavis’s spectacle advocacy theories, and it introduces a mediating method that exposes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itself so that the audience can create its meaning. Also, in addition to that, whereas ‘theatrical joy’ uses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theater, it is not a reproduction, not actually seen, but it satisfies the feeling of seemingly seeing something. This study analyz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pectacle of Hadestown as a process of linking the concepts of ‘presence’ and ‘present effect’, respectively.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하데스타운〉스펙터클에서 나타난 현존
Ⅲ. 〈하데스 타운〉 스펙터클에서 나타난 현존효과
Ⅳ. 〈하데스 타운〉 스펙터클에서 나타난 현존과 현존효과의 연계 과정
Ⅴ.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