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n Oncol Nurs. 2023 Sep;23(3):114-125. Korean.
Published online Sep 27, 2023.
© 2023 Korean Oncology Nursing Society
Original Article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개념분석
박찬미 김선화
A Concept Analysis of Sexual Dysfunction in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Chan Mi Park and Seon Hwa Kim
    •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박사과정생
    • Doctoral Student, College of Nurs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Received June 27, 2023; Revised August 23, 2023; Accepted September 10, 202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d/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fine and clarify the concept of sexual dysfunction in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Methods

This study used the concept analysis process of Walker and Avant, and 20 studies were selected.

Results

Sexual dysfunction in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was defined as experiencing 1) loss of femininity, 2) negative changes in sexual response, and 3) negative feelings about relationship with partners. The identified antecedents were 1) breast cancer treatment-induced changes in body structure and function, 2) disease-related pain, 3) depression, 4) lack of medical services provided to help address sexual matters and difficulties, and 5) lack of understanding and support from partners. The consequences of this were 1) deterioration of relationship with partner, 2) seeking alternatives to overcome sexual dysfunction, 3) deterioration in quality of life, 4) depression, and 5) decrease in frequency of sexual activity.

Conclusion

The definition and attributes of sexual dysfunction in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identifi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tools and programs to measure sexual dysfunction in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to enhance understanding of sexual dysfunction in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Keywords
Breast neoplasms; Women; Sexual dysfunction
유방암; 여성; 성기능 장애; 개념 분석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국내 유방암 환자 수는 2017년 18.7만 명에서 2021년 25.3만 명으로 계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으며, 2021년 악성 신생물별 현황에서 유방암으로 인한 입원과 외래 진료 건수가 각각 2위를 차지하였다.1)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방암 발생률이 증가하는 국외 현황2)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유방암을 진단받는 환자의 연령은 40대부터 증가하여 40~60대 환자가 유방암 환자의 전체 88%를 차지한다.3) 유방암은 높은 발생률에 비해 암 진단 후 5년간 생존할 확률이 86.6%로 생존율이 다른 암에 비해 높다.4) 따라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높다.5)

삶의 질에 있어 성생활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로 중요한 요소이며5) 유방암 진단 환자들은 치료과정에서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성기능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A16) Park과 Yoon6)의 연구에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에서 성기능 장애가 심할수록 삶의 질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성기능 장애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요구된다.

성기능 장애는 현저한 고통이나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욕망, 흥분, 절정감 또는 성적 통증의 장애로 인한 모든 성적 불만 또는 문제로 정의되며7)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 중 40~80%가 성기능 장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 유방암 수술 후 나타나는 림프부종, 상지기능장애는 성기능 장애에 영향을 미치며A9)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하여 성욕, 각성, 오르가즘, 윤활, 만족도 등이 모든 성적 반응 범주에서 이전보다 유의하게 낮아지고 젊은 환자일수록 성욕이 손상된 채로 더 오래 지속된다.9) 또한 유방암 치료 이후 발생하는 신체상과 성 반응의 변화로 환자들은 배우자에게 성 파트너로서의 죄책감과 두려움을 호소하며,A8) 이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0) 하지만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이 성기능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문제 해결 노력과 성 파트너와의 소통을 하는 경우 성생활이 삶의 활력소가 되는 것으로 나타나11) 성기능 장애에 대한 적극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이렇듯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에게 성적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이를 중재하기 위한 요구도는 높지만,5) 대부분의 환자는 종양 전문가나 의료진으로부터 성에 대한 정보나 중재를 받지 못했으며 성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젤을 사용하거나 파트너와 대화를 시도하며 스스로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A19) 유방암 치료과정 중에는 환자가 치료와 회복에 집중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성적 문제를 호소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성적 문제는 의료진이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변화가 아니므로5)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의료진의 도움이 필요하며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에 대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명확한 이론적 정의가 필요하다. 또한 암에 걸린 여성은 치료과정으로 인해 정상 여성에 비해 성기능 장애 발생률이 더 높고12) 자궁경부암은 여성의 성기능에 있어 기능적 변화만 유발하는 반면 유방암은 기능적 변화뿐 아니라 유방 모양 및 주변 피부 변화 등의 신체 이미지 문제까지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13)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은 다른 질병과 구별되는 차이가 존재하므로 그것을 반영한 간호중재가 제공되어야 한다. 성기능 장애의 중요한 속성을 알아보는 것은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 건강 문제에 대한 중재를 개발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 증진을 계획하고 실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와 관련한 선행연구는 성기능 장애 유병률8, 13)과 위험요인,A9,8,14,15) 성기능 관련 질적연구,A8,A19)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과 정상 여성의 성기능 비교12)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고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을 대부분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로 측정하였다.8) 이 도구는 정상 여성을 대상으로 개발된 성기능 측정도구로 ‘성적 반응의 부정적 변화’ 만을 평가할 수 있고, 그 외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측정을 위해 개발된16)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or Breast Cancer populations (FSFI-BC)나 유방암 환자를 위한 삶의 질 설문지인 Breast Cancer-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QLQ-BR) 도구의 일부 항목을 이용하여 성기능 장애를 측정하였고A9) 도구마다 성기능 장애 속성의 차이가 있어 유방암의 질병 특이적인 성기능 장애를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 대상의 성기능 장애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존하는 개념의 의미를 분명히 하고 조작적 정의를 개발하는데 유용하며 도구 개발과 간호 진단을 위한 응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Walker와 Avant17)의 개념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개념의 기능과 속성을 명확하게 규명하여 이론적 정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에 대한 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질병 특성을 반영한 간호중재 제공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에 대한 개념분석을 통해 개념의 속성을 규명하고 의미를 조직화하여 개념에 대한 정의를 명확하게 함으로써 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에 대한 개념분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Walker와 Avant17)가 제시한 분석 방법에 따라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성기능 장애에 대한 개념의 사용범위를 파악하고, 각 문헌에서 제시한 개념의 정확한 속성과 개념의 모델사례, 선행요인,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개념분석을 시행하였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 분석하는 개념은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이며 연구대상은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 대상의 성기능을 연구한 문헌이다.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Data Base periodical information academic (DBpia), Korea Citation Index (KCI), Pubmed, Cumulative Index of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CINAHL), Web of Science를 활용한 문헌 검색 시 사용된 주제어는 Appendix 1과 같다. 선정기준에 해당하는 문헌 중 중복되거나, 제외기준에 해당하는 논문은 제외하였다. 문헌의 구체적인 선정기준과 제외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선정기준

  • •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또는 성기능 장애에 관한 연구

  • • 국문 또는 영문의 학술지 논문

2) 제외 기준

  • • 유방암 진단 남성이 포함된 연구

  • • 학위논문 또는 연구 전문을 찾을 수 없는 논문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3년 4월 10일까지 출판된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 검색 데이터베이스 중 국내 문헌은 RISS, DBpia, KCI에서, 국외 문헌은 PubMed와 CINAHL, Web of Science에서 검색하였다. 2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문헌을 검색하고 작성한 후에 논의와 합의를 거치고 도서관 학술연구지원서비스의 문헌조사를 참고하여 자료를 선정하였다. 국문 2편과 영문 18편으로 최종 총 20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이용하였다(Appendix 2, Fig. 1).

Fig. 1
Flow chart of paper selection process.

본 연구에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개념분석을 위해 Walker와 Avant17)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구체적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첫째, 개념을 선정한다.

  • 둘째, 개념분석의 목적을 설정한다.

  • 셋째, 개념의 모든 사용을 확인한다.

  • 넷째, 개념의 결정적 속성(defining attributes)을 확인한다.

  • 다섯째, 개념의 모델 사례(model case)를 제시한다.

  • 여섯째, 개념의 부가 사례(경계 사례, 반대 사례, 연관 사례)를 제시한다.

  • 일곱째, 선행요인과 결과를 확인한다.

  • 여덟째, 경험적 준거를 결정한다.

연구결과

1.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에 대한 개념의 모든 사용 확인

1) 사전적 정의

먼저, 성기능 장애 개념에 대한 사전적 정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성’과 ‘기능장애’로 구분해서 확인할 수 있다. ‘성’은 ① 사람이나 사물 따위의 본성이나 본바탕, ② 남성과 여성, 수컷과 암컷의 구별. 또는 남성이나 여성의 육체적 특징. 동의어 섹스(sex), ③ 남녀의 육체적 관계. 또는 그에 관련된 일, ④ (불교) 나면서부터 지닌 본연의 성품이나 그 자체. 현상 차별의 상대적 모양에 대하여 오온(五蘊), 평등 진여(眞如)를 이른다. ⑤ (언어) 인도ㆍ유럽어에서 명사, 대명사에 특징적인 문법 범주의 하나. 남성, 여성, 중성으로 나뉜다.라고 정의하였고, ‘기능장애’는 (의학)해부학적으로는 이상이 없으나 생활 기능에 장애를 일으키는 병. 뇌에 기질적 이상이 없는 정신 이상 따위로 정의하였다.18) 또한 의학 사전에서는 ‘성’에 해당하는 sexual을 ‘생식기관의 자극, 반응 및 기능을 포함하여 성과 관계가 있는’으로 정의하였고, ‘기능장애’에 해당하는 dysfunction을 ‘기능의 이상이나 어려움’으로 정의하고 있다.19)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에 대한 사전적 정의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유방암’과 ‘여성’으로 구분하여 확인하였다. ‘유방암’은 ‘유방에 생기는 암으로 초기에는 통증이 없이 잘 움직이는 멍울이 만져지다가, 차츰 이 멍울이 피부에 유착하면서 외관의 변화가 일어나고, 더욱 진행하면 궤양과 통증이 따르는 질환’이고 ‘여성’은 ‘성(性)의 측면에서 여자를 이르는 말. 특히, 성년(成年)이 된 여자’로 정의하였다.18) 또한 한국 유방암학회에 따르면 ‘유방암’은 ‘유방에 발생한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이고 일반적으로 유방의 유관과 유엽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정의하였고,20)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서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세계적 암 통계에서 유방암의 99%가 여성에서 발생함2)에 따라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으로 특정 지어 정의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사전적 정의를 통해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에서 육체적 관계에 작용하는 생식기관의 자극, 반응 및 기능에 이상이 있거나 어려운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2)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개념의 사용범위

(1) 타 학문에서의 개념 사용

성기능 장애 개념은 주로 의학과 간호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개정된 미국 정신의학 협회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5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에서 성기능 장애는 현저한 고통이나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욕망, 흥분, 절정감 또는 성적 통증의 장애로 인한 모든 성적 불만 또는 문제로 정의하고 있으며 많은 정신 의학 연구에서 이 정의를 사용하고 있다.7) Rosen 등21)에 의해 개발된 여성 성기능 측정도구 FSFI는 지역사회 여성 대상, 부인과 암 여성 등 다양한 대상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성기능 평가의 타당성을 검증받았는데,22) 이 문헌에서 성기능은 성적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성적 욕구, 성적 흥분, 질 윤활액, 성적 절정감, 성적 만족감, 성교 통증으로 구성된 반응을 의미한다.21) 여성가족학 문헌에서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 대상의 성기능 장애를 지식 부족, 수줍음, 남성 중심사회 및 적절한 교육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 건조증, 성교통, 성적 거부감 등과 같은 성적 문제로 정의하였으며, 주요 범주로 성교 재개에 대한 두려움, 유방암 치료 후 성적 매력 상실 및 손상된 난소기능 문제, 성행위의 질과 양의 감소를 보고하였다.23)

(2) 간호 문헌에서의 개념 사용

간호학에서는 Rosen 등21)의 타 학문에서 개발된 여성 성기능 측정도구 FSFI를 사용하여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을 정의한 연구A18,15)가 많았으며, 다른 질환이 있는 여성에서도 타당성을 검증하여 ‘성적 자극에 대한 여성의 성 반응’으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개념을 사용하였다. 국제간호진단협회의 간호 진단에서는 성 영역에서 ‘성기능’을 성행위에 참여하는 수용력이나 능력으로 정의하며, ‘성기능 장애’는 개인이 성적 욕구, 고조, 절정을 포함하는 성적 반응 주기 동안에 성기능의 변화를 경험하는 상태가 불만족스럽고 보상이 되지 않으며 부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24) 자궁경부암 진단 여성의 성기능 장애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에서는 성기능 장애 간호 진단을 토대로 방사선 치료를 받는 자궁경부암 진단 여성의 성기능 장애는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신체의 해부학적 및/또는 생리학적 구조의 변화로 인한 건강한 성적 반응의 변화25)로 개념적 정의를 보고하였다.

2. 개념의 잠정적 기준 목록과 속성 확인

1) 잠정적 기준 목록

Appendix 2의 문헌을 통해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속성을 파악하였으며 잠정적 속성 목록은 다음과 같다.

2) 개념의 결정적 속성 확인

잠정적 목록을 종합한 결과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결정적 속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Table 1
Antecedents, Attributes and Consequences of Sexual Dysfunction in Women Diagnosed Breast Cancer in Literature Review

  • (1) 여성성의 상실(①, ②)

  • (2) 성적 반응의 부정적 변화(③, ④, ⑤, ⑥, ⑦, ⑧, ⑨)

  • (3) 파트너와 관계에 대한 부정적 감정(⑩, ⑪)

3. 개념의 모델 사례

모델 사례는 개념의 모든 속성들을 포함하는 예로써, 개념의 속성을 모두 포함하는 모델 사례의 경험을 통해 개념을 분명하게 제시하는 사례이다.17)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정적 속성은 여성성의 상실, 성적 반응의 부정적 변화, 파트너와의 관계에 대한 부정적 감정으로 3가지 속성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모델 사례를 구성하였다.

45세 주부인 A씨는 3년 전 유방암 1기를 진단받고 왼쪽 유방 부분절제술을 받았으며, 6개월 전 오른쪽 유방에 유방암이 재발하여 유방 전절제술을 시행 받고 재건 수술은 아직 시행 받지 않은 상태이다. 항암화학요법 시행 후 거울을 볼 때마다 탈모가 진행된 모습을 보며 스트레스를 받았고 오른쪽은 유방 절제 이후 편평해진 가슴 부위 때문에 배우자에게 절제한 수술 부위가 보일까 봐 조마조마하며 여성으로서의 매력을 잃었다고 생각하고 있다(속성 1번). 수술 이후 재발 방지를 위해 타목시펜을 복용하며 조기폐경 증상으로 질 건조증이 발생했고 성교 시 불편감과 심한 통증으로 인해 성생활이 너무 괴롭고 회피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유방암 재발 이후 성욕이 감소하고 성적 흥분이나 절정감은 느낄 수 없었으며 이전처럼 성생활을 자연스럽게 할 수 없음을 느끼게 되었다(속성 2번). 점점 배우자의 가슴 애무 빈도나 성행위 요구의 빈도가 줄고 부부관계에서 대화도 줄어들면서 A씨는 죄책감이 들고, 심리적 위축을 경험하였다(속성 3번). 배우자는 A씨에게 부부생활에 문제가 있다고 토로하며 통증을 호소할 때마다 집중할 수 없었으며 성생활에 흥미가 떨어진다고 표현하였다. A씨는 자신의 변화된 신체상과 성적 기능으로 인해 배우자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고 생각하며 배우자가 늦게 들어올 때마다 배우자가 외도할까 봐 두려움과 우울감을 갖게 되었다(속성 1번, 3번).

4. 개념의 부가 사례

1) 경계 사례

경계 사례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의 확인된 속성 대부분 또는 일부를 포함하여 그와 비슷하기는 하나, 그 개념이라고 보기 어려운 사례를 의미하며 실제 개념의 명확하고 중요한 속성을 확인하는데 도움을 준다.17)

52세의 B씨는 유방암 1기 진단을 받고 우측 유방 부분절제술 및 림프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수술 이후 오른쪽 겨드랑이와 가슴의 불편감이 발생하였고, 부분절제술 부위의 유방 모양은 울퉁불퉁하며 모양의 변화가 있다. 거울을 볼 때마다 유방암 수술 흉터와 달라진 모습을 보며(속성 1번) 속상하고 수치심이 들어 배우자와 잠자리를 거부하였다(속성 3번). 배우자는 처음에는 B씨가 치료받는 것을 협조하며 지지했지만, 자신과 성생활 회피가 계속되자 불안하고 답답해하였다. B씨는 유방암 자조 집단에서 유방암 수술 후 외도한 배우자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고, 배우자가 자신의 변화된 가슴에 실망할까 봐 두려움으로 자존감이 더욱 저하되었다(속성 1번, 3번).

이 사례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이 치료과정에서 여성성의 상실(속성 1번)과 파트너와 관계에 대한 부정적 감정(속성 3번)이 포함되어 유사한 경계에 있지만 성적 반응의 부정적 변화(속성 2번)는 결여되어 있어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속성과는 차이가 있다.

2) 반대 사례

다음에 제시된 상황은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의 확인된 속성을 전혀 포함하지 않아 규명된 개념과 명확히 구분되는 반대 사례를 제시한 것이다.

39세의 초등학교 교사인 여성 C씨는 첫 아이를 낳고 2년 뒤 유방암 진단을 받았다. 유방 절제술과 화학요법을 받았으며 5년 동안 추적 관찰 중이다. C씨는 아이를 출산하고 싶다는 의지가 있어서 간호사로부터 성생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교육받았으며 지속적인 성생활을 상담하며 임신을 시도하여 현재 두 자녀의 엄마가 되었다. C씨는 배우자와 항상 성생활에 대해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하며 서로의 상황을 배려해준다. C씨는 가슴이 없는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고 떳떳하고 당당하게 배우자뿐 아니라 아이들에게도 자연스럽게 보여주었다. 그녀는 배우자의 지지로 인해 자신감을 가지고 배우자를 대하며 규칙적으로 즐거운 성관계를 유지하면서 이전에 해오던 성생활과 동일하게 절정감을 느끼고 만족감을 느낀다. 이 사례는 유방암 진단받았으나 본 연구에서 규명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이 인식하는 성기능 장애의 속성은 전혀 포함하지 않는다.

3) 연관 사례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와 유사해 보이긴 하지만, 면밀히 검토했을 때 본 연구에서 규명된 중요 속성은 포함되지 않고, 해당 개념과는 다른 의미를 가진 연관 사례는 다음과 같다.17)

38세 D씨는 유방암을 진단받기 전에는 배우자와 15일에 한번씩 성관계를 가졌고 아이를 임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였다. D씨는 최근 유방암 1기를 진단받았고 림프절 전이는 없었다. 모친이 유방암을 진단받고 투병하다 사망하여 유방암 가족력이 있었다. D씨는 유방 부분 절제술로도 치료가 가능한 상황이었으나 재발을 염려하여 좌측 유방 전절제술을 받았고, 지인들의 유방암 치료 부작용과 부정적인 예후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한 걱정으로 수면장애를 겪고 있다. 또한, 유방암 진단 후 유방암 유전자가 유전될까 봐 걱정하며, 임신과 유방암 재발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배우자와의 성관계를 거부하고 있다. 배우자는 적극적으로 D씨를 배려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 사례는 유방암 진단 후 유방암 가족력과 유방암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로 재발과 불안감이 심한 상태이고 이로 인한 성적 활동에 제한이 온 상황으로 본 연구에서 정의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속성과는 다르다.

5. 개념의 선행요인과 결과 확인

선행요인은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이전에 나타나는 사건 또는 부수적인 조건으로 개념의 기본 가정을 확인하는데 도움을 주며, 결과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발생 이후에 나타나는 사건이나 조건으로 개념에 대한 추가적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17)

1) 선행요인

2) 결과

이상 본 연구에서 확인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장애 선행요인, 속성, 결과는 Fig. 2와 같다.

Fig. 2
Conceptual structure of secual dysfunction in woma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6. 개념의 경험적 준거

경험적 준거는 개념분석의 마지막 단계이며 어떤 개념이 있거나 발생했다는 것을 설명하는 실제 현상에 대한 구분이나 범주이고 정의된 속성을 측정하거나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다.17) Castillo 등8)에 따르면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장애를 측정한 많은 문헌에서 FSFI를 가장 검증된 척도로 인정하고 있다. 이 도구는 일반적인 여성이나 다양한 질병 상태에서 성기능 측정이 가능하나, ‘성적 반응의 부정적 변화’만을 평가할 수 있고, 질병 특이적인 성기능 장애를 측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측정을 위해 개발된 FSFI-BC는 여성의 성기능 지수를 측정하는 FSFI에서 성적 반응의 하위요소인 성적 욕구, 성적 흥분, 질 윤활액, 성적 절정감, 성적 만족감, 성교 통증 항목의 일부를 포함하였고,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에 적용하기 위해 특이적으로 암 발생 후 성적 반응의 변화, 성적 고통, 파트너의 성 반응 변화에 대한 하위요소를 추가한 도구이다.16) 이 도구의 경우 본 연구의 속성 중 유방암 진단 또는 치료 후 ‘성적 반응의 부정적 변화’와 ‘파트너와 관계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 중 성적으로 활동적인 여성과 비활동적인 여성 모두에서 측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과 암 진단 후 변화된 성적 반응도 측정하는 점에서 특이적이나, 본 연구에서 도출된 속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지는 않다. 또한 Yang 등A9)의 종단연구에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유방암 특정 삶의 질 설문지인 QLQ-BR 23문항 중 일부 항목을 이용하여 ‘성적 반응의 부정적 변화’와 ‘여성성의 상실’ 속성을 평가했고,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우울증 도구로 자기 비난, 죄책감과 같은 일부 항목을 포함한 ‘파트너와 관계의 부정적 감정’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성기능 측정도구가 아닌 QLQ-BR 23문항 중 일부 항목과 BDI를 혼합하여 성기능 장애를 측정하여,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을 위한 성기능 장애 측정도구로써는 한계가 있지만 본 연구의 속성들을 반영하여 측정하였다.

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의 속성을 잘 반영하는지, 개념의 속성이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는지 문헌 고찰을 통해 확인해 본 결과, 본 연구의 속성 중 ‘성적 반응의 부정적 변화’는 핵심 평가 항목으로 대부분의 도구에서 포함하고 있지만 그 외의 속성은 도구에 따라 일부가 포함되었다. 이를 종합해 보면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가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에서 특이적인 속성을 포함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속성들을 포함한 도구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논의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에서 성기능 장애는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14)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10)으로 그 개념을 명확하게 하는 것은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에서 성기능 장애가 있는 대상을 선별하고 중재 및 관리하는데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를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 여성 대상의 성기능 장애 측정도구인 FSFI를 주로 이용하였고8) 그에 따라 성적 욕구, 성적 흥분, 질 윤활액, 성적 절정감, 성적 만족감, 성교 통증과 같은 성적 반응의 하부요인들만 측정하였다. 이 경우 유방암 진단 및 치료에 따른 변화 정도는 파악하기 어려워 그에 맞는 도구개발과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치료과정에서 경험하는 성기능 장애에 대해 Waker와 Avant17)의 개념분석방법을 통해 속성을 파악하여 개념에 대한 정의를 명확하게 하고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에게 맞는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나아가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이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성생활을 유지하고 삶의 질이 높아지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결과 확인된 속성들로부터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에 대한 개념적 정의는 ‘유방암 진단과 치료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여성성의 상실, 성적 반응의 부정적 변화, 파트너와 관계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는 상태’로 나타났다. 암 진단 여성들의 성기능 장애 발생률을 비교한 연구결과 유방암 진단 시 성기능 장애 발생률은 일반 여성에 비해 3.5배, 자궁경부암 진단 여성에 비해 2.7배로 더 높았는데12) 이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경우 종양의 위치가 성적 반응에 중요하고 성적 정체성을 상징하므로A8) 치료에 의한 성기능 장애 유발 가능성이 더 높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유방암 특이적인 속성인 ‘여성성의 상실’과 더불어 ‘성적 반응의 부정적 변화’와 ‘파트너와 관계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포함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개념적 정의를 논하고자 한다.

성기능 장애의 첫 번째 속성으로는 ‘여성성의 상실’이 도출되었다. 유방 절제술은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들의 유방 모양이나 크기 변화 또는 유방 상실로 이어져 유방이 이전과 다르게 시각적으로 변화함으로 인해 신체 이미지와 성적 감각에 직접적인 문제를 유발한다.8, 23) 뿐만 아니라 방사선요법으로 인한 유방 피부색 침착, 감각 변화26)는 여성성에 치명적인 손상을 준다. 그 외에도 치료로 인한 탈모, 수술 흉터, 림프부종, 체중 변화 또한 부정적인 신체 이미지를A7) 갖게 하는데 이러한 변화들로 인해 유방암을 진단받은 젊은 여성들은 치료 이후 성적 매력 결핍을 이유로 파트너와 성행위를 하지 않으며, 낮은 성적 반응이 나타났다.A10) 이는 유방이 여성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여성 신체의 주요 성 반응 부분 중 하나로 성욕과 여성다움, 성적 매력, 성적 만족도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A3,27) Jeng 등27)이 개발한 성기능 측정도구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과 파트너를 대상으로 유방의 신체적 결함으로 인한 성적 매력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유방의 성적 매력과 유방의 기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여성성으로서 유방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자궁경부암 진단 여성의 성기능 장애 개념분석 연구25)에서 그 속성이 ‘생식기의 해부학적 또는 생리학적 구조의 변화로 인한 건강한 성적 반응의 변화’로만 정의되었음을 볼 때 ‘여성성의 상실’은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에만 나타나는 분명한 특징임을 보여준다.

두 번째 속성으로는 ‘성적 반응의 부정적 변화’가 도출되었다. 이 속성은 성기능 측정 시 표현되는 성적 반응의 결과이며 유방암의 치료에서 사용되는 수술, 방사선, 화학, 호르몬 및 면역 요법 또는 이들 방법의 조합으로 구성된 보조 요법에 의해 유발된다.28) 성적 반응 중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에서 나타나는 질 건조증, 성교 통증, 성욕 감소, 성적 흥분 감소, 절정감 감소, 만족도 감소 등의 부정적 반응을 포함하며 이는 자궁경부암 진단 여성의 성기능 장애 개념분석25)에서 나타난 성적 반응의 변화 속성, 일반 여성 대상의 성기능 연구29)에서 측정된 속성들과 유사하였다.

세 번째 속성은 ‘파트너와 관계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도출되었다.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은 치료 후 ‘새로운 신체’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성적기능변화로 인해 파트너의 거부에 대한 두려움, 불안감, 성적 수치심 등을 경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성행위를 기피하게 되어 성행위 빈도가 감소하였다.A8,5) 또한 파트너를 만족시키지 못했다는 죄책감과 부담감을 가지게 되어 성적 흥분이 감소하고 성욕을 상실하였다.A5) 파트너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질병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지원체계로 파트너의 이해와 지지가 부족하면 파트너와의 관계가 악화되어 파트너의 외도나 이혼으로 연결되기도 하고 일부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은 스스로 자신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을 강구하기도 하였다.A3)이러한 과정에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들은 전문가들에게 성 상담 받기를 희망하였으나 대부분은 의료진으로부터 성적 의료서비스를 받은 적이 없으며, 성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전문적인 교육을 필요로 하였다.A19,5) 따라서 의료진은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에게 적극적인 성 상담을 통해 성생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파트너와 서로 개방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17)의 방법을 이용하여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의 개념에 대한 정의를 명확하게 함으로써 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제목과 초록을 보고 한글과 영어로 된 문헌을 선택하여 중요 속성을 포함한 문헌이 제외되었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으나 연구결과 확인된 속성을 통하여 개발된 성기능 장애 측정도구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평가에 활용 가능하며 간호 대상자를 선별하고 간호중재 요구도와 장애 요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간호중재 및 교육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에 대한 개념을 Walker와 Avant17)의 방법을 이용한 개념분석 연구이다.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는 ‘유방암 진단과 치료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여성성의 상실, 성적 반응의 부정적 변화, 파트너와 관계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는 상태’로 도출되었다. 선행요인은 유방암 치료로 인한 신체 구조 및 기능 변화, 질병 관련 통증, 우울증, 성생활 관련 의료서비스 부족, 파트너의 이해 및 지지 부족이었으며 그 결과는 파트너와의 관계 악화, 성기능 장애 극복을 위한 대안 강구, 삶의 질 저하, 우울증, 성행위 빈도 감소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 연구 측면에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간호 실무 측면에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에 대한 의료진과 환자 간의 의사소통이 향상될 것이며 간호교육 측면에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성생활 교육자료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 개념분석에 있어 Walker와 Avant17)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다양한 문헌을 통한 자료수집과 문화적, 사회적 환경을 고려한 다면적인 방법의 후속 연구가 수행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방암을 진단받은 여성의 성기능 장애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성기능 장애 개선을 위한 파트너 기반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Appendix 1

Searching Strategies Applied to Internet Database

Appendix 2

References Used for Concept Analysis in This study

A1. Ferreira IS, Fernandes AFC, Rodrigues AB, Santiago JCDS, de Sousa VEC, Lopes MVO, et al. Accuracy of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the sexual dysfunction nursing diagnosi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Int J Nurs Knowl. 2020;31:37-43.

A2. Melisko ME, Goldman M, Rugo HS. Amelioration of sexual adverse effects in the early breast cancer patient. J Cancer Surviv. 2010;4:247-55.

A3. Takahashi M, Kai I. Sexuality after breast cancer treatment: change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Japanese survivors. Soc Sci Med. 2005;61:1278-90.

A4. Fobair P, Spiegel D. Concerns about sexuality after breast cancer. Cancer J. 2009;15:19-26.

A5. Cebeci F, Yangin HB, Tekeli A. Determination of changes in the sexual lives of young women receiving breast cancer treatment: a qualitative study. Sex Disabil. 2010;28:255-64.

A6. Goldfarb S. Endocrine therapy and its effect on sexual function. Am Soc Clin Oncol Educ Book. 2015;35:e575-81.

A7. Garrusi B, Faezee H. How do Iranian women with breast cancer conceptualize sex and body image? Sex Disabil. 2008;26:159-65.

A8. Che Ya SN, Muhamad R, Zakaria R, Mohd Zain N, Ishak A, Hassan II, et al. “I Lost My Gift to Him”: the consequences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on breast cancer survivors in Malaysia. Arch Sex Behav. 2022;51:1625-35.

A9. Yang EJ, Kim SW, Heo CY, Lim JY. Longitudinal changes in sexual problems related to cancer treatment in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a prospective cohort study. Support Care Cancer. 2011;19:909-18.

A10. Ljungman L, Ahlgren J, Petersson LM, Flynn KE, Weinfurt K, Gorman JR, et al. Sexual dysfunction and reproductive concerns in young women with breast cancer: type,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problems. Psychooncology. 2018;27:2770-7.

A11. Brédart A, Dolbeault S, Savignoni A, Besancenet C, This P, Giami A, et al.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sexual problems after earlystage breast cancer treatment: results of a French exploratory survey. Psychooncology. 2011;20:841-50.

A12. Pumo V, Milone G, Iacono M, Giuliano SR, Di Mari A, Lopiano C, et al. Psychological and sexual disorders in long-term breast cancer survivors. Cancer Manag Res. 2012;4:61-5.

A13. Manase Lema V. Sexual dysfunction in premenopausal women treated for breast cancer - implications for their clinical care. Afr J Reprod Health. 2016;20:122-8.

A14. Kedde H, van de Wiel HBM, Weijmar Schultz WCM, Wijsen C. Sexual dysfunction in young women with breast cancer. Support Care Cancer. 2013;21:271-80.

A15. Boquiren VM, Esplen MJ, Wong J, Toner B, Warner E, Malik N. Sexual functioning in breast cancer survivors experiencing body image disturbance. Psychooncology. 2016;25:66-76.

A16. Gilbert E, Ussher JM, Perz J. Sexuality after breast cancer: a review. Maturitas. 2010;66:397-407.

A17. Ribi K, Luo W, Walley BA, Burstein HJ, Chirgwin J, Ansari RH, et al. Treatment-induced symptoms, depression and age as predictors of sexual problems in premenopausal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receiving adjuvant endocrine therapy. Breast Cancer Res Treat. 2020;181:347-59.

A18. Kim HY, So HS, Chae MJ, Kim KM. Comparisons of quality of life, sexual function, and depression in sexually active or inactive groups of women with mastectomy. J Korean Oncol Nurs. 2008;8:77-85.

A19. Lee GN, Lee DS. Sexual experience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J Korean Oncol Nurs. 2011;11:210-20.

A20. Shandiz FH, Karimi FZ, Rahimi N, Abdolahi M, Anbaran ZK, Ghasemi M, et al. Investigating sexual function and affecting factor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in Iran. Asian Pac J Cancer Prev. 2016;17:3583-6.

References

    1.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Health insurance treatment statistics [Internet]. [Accessed March 18, 2023].
    1. Siegel RL, Miller KD, Wagle NS, Jemal A. Cancer statistics, 2023. CA Cancer J Clin 2023;73:17–48.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umber of cancer incidences and incidence rate by 24 carcinoma/sex/age (5 years) 2020[Internet]. [Accessed March 18, 2023].
    1. Allemani C, Matsuda T, Di Carlo V, Harewood R, Matz M, Nikšić M, et al. Global surveillance of trends in cancer survival 2000–14(CONCORD-3): analysis of individual records for 37 513 025 patients diagnosed with one of 18 cancers from 322 population-based registries in 71 countries. Lancet 2018;391:1023–1075.
    1. Bobrie A, Jarlier M, Moussion A, Jacot W, D’Hondt V. Sexual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 young women with breast cancer during adjuvant endocrine therapy and patient-reported supportive measures. Support Care Cancer 2022;30:3633–3641.
    1. Park H, Yoon HG. Menopausal symptoms, sexual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Support Care Cancer 2013;21:2499–2507.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Vol. 5, No. 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1. Castillo Ecija H, Mension E, Cebrecos I, Anglès Acedo S, Castelo-Branco Flores C. Sexual 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 Exp Obstet Gynecol 2022;49:134
    1. Farthmann J, Hanjalic-Beck A, Veit J, Rautenberg B, Stickeler E, Erbes T, et al. The impact of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on sexual fun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upport Care Cancer 2016;24:2603–2609.
    1. Chang YC, Chang SR, Chiu SC. Sexual problems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fter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Cancer Nurs 2019;42:418–425.
    1. Yi MS, Son HM. Experiences of sexual life of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descriptions from focus groups and interview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0;17:187–199.
    1. Sousa Rodrigues Guedes T, Barbosa Otoni Gonçalves Guedes M, de Castro Santana R, Costa da Silva JF, Almeida Gomes Dantas A, Ochandorena-Acha M, et al. Sexual dysfunction in women with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22;19:11921
    1. Jing L, Zhang C, Li W, Jin F, Wang A. Incidence and severity of sexual dysfunction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a meta-analysis based on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Support Care Cancer 2019;27:1171–1180.
    1. Hernández-Blanquisett A, Quintero-Carreño V, Álvarez-Londoño A, Martínez-Ávila MC, Diaz-Cáceres R. Sexual dysfunction as a challenge in treated breast cancer: in-depth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to improve individual outcomes. Front Oncol 2022;12:955057
    1. Byun HS, Chung BY, Kim GD, Kim KH, Choi EH. Factors affecting sexual function of breast cancer women after receiving cancer treatment. Asian Oncol Nurs 2013;13:85–94.
    1. Bartula I, Sherman K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adaptation for breast cancer patients (FSFI-BC). Breast Cancer Res Treat 2015;152:477–488.
    1. Walker LO, Avant KC. In: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10.
    1.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Internet]. [Accessed April 15, 2023].
    1. Jung IH, Kang JM, Min DY, Son SG, Eun HC. In: Medical dictionary illustrated in color: English-Korean, Korean-English. Seoul: Hyunmoon-publishing; 2010.
    1.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Breast cancer facts & figures 2022[Internet]. [Accessed March 18, 2022].
    1. Rosen R, Brown C, Heiman J, Leiblum S, Meston C, Shabsigh R, et al.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a multidimensional self-report instrument for the assessment of female sexual function. J Sex Marital Ther 2000;26:191–208.
    1. Bartula I, Sherman KA. Screening for sexual dysfunction in wom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systematic review and recommendations. Breast Cancer Res Treat 2013;141:173–185.
    1. Shoaa Kazemi M, Alikhani Shateri F, Mohammadi F. Marital boredom and sexual dysfunction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 Fam Relat Stud 2022;2:29–36.
    1. Herdman T, Shigemi K, Camila T. In: NANDA international nursing diagnoses: definitions & classification, 2021–2023. Seoul: Hakjisa Medical; 2022.
    1. Silva TG, Oliveira KML, Morais SCRV, Perrelli JGA, Sousa SMA, Linhares FMP. Sexual dysfunction in women with cervical cancer undergoing radiotherapy: concept analysis. Esc Anna Nery 2021;25:e20200404
    1. Carroll AJ, Baron SR, Carroll RA. Couple-based treatment for sexual problems following breast cancer: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Support Care Cancer 2016;24:3651–3659.
    1. Jeng CJ, Hou MF, Liu HY, Wang LR, Chen JJ. Construction of an integrated sexual function questionnaire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Taiwan J Obstet Gynecol 2020;59:534–540.
    1. Smolarz B, Nowak AZ, Romanowicz H. Breast cancer-epidemiology, classification, pathogenesis and treatment (review of literature). Cancers (Basel) 2022;14:2569
    1. Kim HY, So HS, Chae MJ. Sexual function of breast cancer survivors and healthy women: a comparative study. J Korean Oncol Nurs 2009;9:60–66.

Metrics
Share
Figures

1 / 2

Tables

1 / 1

PERMA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