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일상적 예술실천으로 생성되는 다양한 관계망과 새로운 형식의 공통하기를 주목하고자 했다. 이에 상황주의자 인터내셔널(Internationale situationniste)의 비판적, 급진적, 정치적 예술실천을 탐구했다. 이들이 추구했던 상황의 구축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주요한 실천 장으로서 일상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고 일상생활을 혁명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표류’와 전용의 실천을 논의했다. 그리고 표류와 같이 ‘도시를 걷는 행위’로 일상적 예술실천을 꾀하고자 했던 동시대 예술실천 사례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아 질적 탐구를 수행했다. 사례는 ‘능동적 예술 걷기’를 수행한 페이스타임(Pace time)이며, 5개월간 20회의 미션 수행을 통해 도시를 의도적으로 표류하며 다양한 방식의 관계망을 생성해냈다. 표류와 페이스타임은 각기 다른 시대적 맥락과 배경을 가졌지만, 자본주의 도시 체계와 전혀 다른 새로운 심리지리학적 지형도를 생성하는 ‘도시 걷기’를 실천했다는 점에서 연결이 가능하다. 동시에 이들은 예술실천을 통해 일상적이고 관계적인 활동이 갖는 대안적인 의미를 보여주었다. 이에 이 글은 두 예술실천을 연결하여 논의함으로써, 다양한 실천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자발적 계기와 상황을 구축해 소외와 단절을 극복하고 일상에서 대안적인 시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움직임의 가능성을 주목하고자 했다.

This article tried to focus on the various relationships and commonings created through everyday art practice. In this regard, the critical, radical and political artistic practice of the Internationale situationniste was explored. This article examines what the construction of a situation means and the meaning of daily life as a major practical arena. And the practice of ‘dérive’ and ‘détournement’ to revolutionize everyday life was discussed. In addition,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contemporary art practice cases that attempted to practice everyday art through ‘walking the city’ like drifting as the main research object. An example is ‘pace time,’ which performed ‘active art walking’, and through 20 missions over 5 months, deliberately drifted through the city and created a network of relationships in various ways. Although ‘dérive’ and ‘pace time’ have different historical contexts and backgrounds, they can be connected in that they practiced ‘city walking’, which creates a new psycho-geographical map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capitalist city system. At the same time, it showed the alternative meaning of everyday and relational activities through artistic practice.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alienation and disconnection and creating alternative time and space by constructing voluntary opportunities and situations by linking and discussing the two artistic practices of ‘dérive’ and ‘pace time’.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논의의 배경
3. 사례 분석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