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86.171
18.117.186.171
close menu
KCI 등재
조선 후기 서유구 『임원경제지』의 『유예지』 「화전」 연구
A study on "Hwazen"(畵筌) of "Yuyeji"(游藝志) in Seo yu-gu(徐有榘)'s Imwon kyengjeji(林園經濟志)
조송식 ( Jo Song-sig )
미학 84권 3호 1-47(47pages)
UCI I410-ECN-0102-2021-100-000387632

본 연구는 서유구 『임원경제지』의 『유예지』 「화전」에 나타난 그의 예술론을 두 가지 방향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하나는 서유구 예술론의 체계성으로 『유예지』의 “유어예”(游於藝)의 의미와 「화전」과의 관계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화전(상)」에서 서유구 화론의 체계성에 나타난 특징에 관한 것이다. 서유구 예술론의 체계성은 기존 연구에서 종종 지적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다루는 것은 기존 연구에서와 같이 총론, 품등론, 화가전, 화과론(畵科論), 수장론(收藏論) 등 그림을 둘러싸고 있는 포괄적 범주의 수평적 체계성에 관한 것이 아니라, 수직적인 체계성을 말한다. 그것은 형이상과 형이하, 즉 덕(德)과 기(器), 도(道)와 기(技, 예술)의 관계를 논한 것이다. 서유구는 이를 “유어예”에 대해 새롭게 해석하면서 시도하였다. 서유구는 “유어예”에 대해 주희(朱熹)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면서, 중국 청나라 안원(顔元)과 그 제자 이공(李塨)의 영향을 받아들였다. 특히 그는 소학으로서의 학습과 ‘종용잠완’(從容潛玩)으로서의 유(游)를 “志於道, 據於德, 倚於仁”의 선후에 각각 놓인, 서로 다른 두 개로 보았던 주희와 달리, 하나의 과정이며, 학습하면서 자유롭게 노니는 것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서유구는 「화전(하)」에서 화보를 통해 육예의 방편인 그림을 기법적으로 숙련시키고 이를 통해 완숙한 자유로운 경지로 진입하는 길을 제시하였다. 다른 하나는 서유구 화론의 특징으로 「화전(상)」에 인용된 중국화론과의 비교를 통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서유구는 중국 명대 모일상(茅一相)의 『회묘』(繪妙), 심호의 『화주』(畵麈), 그리고 북송시대 곽약허의 『도화견문지』 등 3종의 화론서를 통해 그 이론 구성의 큰 틀을 이루면서, 여기에 자기의 관점을 가미시켜 체계화시켰다. 이는 조선 후기에 성행한 남종화의 이론적인 배경인 동기창의 남북종론에 입각하여 저술되었다는 것, 「화전(상)」의 항목 순서에서 조선성리학적 위계질서를 반영하는 “위치”의 의미와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것, 청나라에서 유행하였던 고증학과 명물학(名物學)에 대한 태도가 부각되었다는 것, 이 3가지로 크게 정리할 수 있다. 이 3가지는 조선 후기의 문화예술의 특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조선 후기의 풍부한 예술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의 제시로서 이루어졌다. 이는 한 개인의 예술이론이 의식적인든 무의시적이든 당시 시대적 예술현상들과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는지 살펴 볼 수 있게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is artistic theory in two directions from "hwajeon" of "yuyeji" in Seo yu-gu's Imwon kyengjeji. One is about the systematic nature of his artistic theory, namely, the meaning of 'you yu yi'(游於藝) in "yuyeji"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t and the "hwajeon", and the other is the characteristic of his artistic theory in "hwajeon". The systematic nature of Seo yu-gu'se art theory was often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What we are dealing with here is not the horizontal systematic, but the vertical systematic, which is based on the comprehensive category surrounding the paintings, such as generalism, criticism, painter's biography, theories of genres, and theories of collection. It 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physics and morphology, that is, between Dao(道) and the technique(技) or between Dao(道) and the arts. This was attempted through a new interpretation of 'you yu yi' by Seo yu-gu. It is Zhu zi(朱子) who had the biggest influence ahead of Seo yu-gu in the interpretation of 'you yu yi'. He distinguished between learning as xiao xue(小學) and 'Yu' as 'cong rong qian wan'(從容潛玩). In other words, he interpreted 'xiao xue' learning as a step prior to "志於道, 據於 德, 義於仁", and 'cong rong qian wan'(從容潛玩)’s "Yu" as moral completion after "志於道, 據於德, 義於仁". On the other hand, Seo yu-gu influenced by the Chinese Qing Dynasty 顔元 and his disciple 李塨, interpreted as xiao xue(小學) and 'Yu' as 'cong rong qian wan'(從容潛玩) as a process, not Steps before and after of “志於道, 據於德, 倚於仁”, and he interpreted it as playing freely after learning. Thus, Seo yu-gu showed a way to learn the painting skillfully through "hwajeon(above)" and enter the free field through it. As another, Seo yu-gu's characteristics of painting theory is to examine through comparison with Chinese painting theory quoted in "hwajeon(above)". "Hwajeon (above)" composed of contents quoted from a total of 37 kinds of books was written about 33 kinds of Chinese painting theory in 7 Chinese era. Especially, Seo yu-gu has formed a large framework of his theoretical composition through three kinds books of painting theory, such as 茅一相's "繪妙" and 沈顥's 『畵麈』 in Chinese Ming Dynasty, and 郭若虛's 『圖畵見聞志』 in the Northern Song period. I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it was written on the basis of Dong qi chang(董其昌)'s 南北宗論, which w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Nam Jong Hwa who becam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condly, he emphasized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position" reflecting the class hierarchyhierarch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Thirdly, it is the attitude toward Documental archaeology and Myeongmulhak(名物學) which was popular in Qing Dynasty. These three are also characteristic of culture and art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study was made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explain the rich artistic phenomenon in the late Joseon period. It allows us to examine how the artistic theory of this research is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phenomena of contemporary art, whether conscious or unconscious.

Ⅰ. 화론(畵論)의 체계성과 『유예지』「화전(상,하)」1)의 위상
II. “유어예”(游於藝)에서 예(藝)와 유(游), 그리고 도(道)의 관계
III. 『유예지』에서 ‘유어예’와 「화전」의 관계
IV. 「화전(상)」의 내용과 구성, 그리고 그 특징
V. 「화전(상)」에서 나타난 서유구 화론의 특징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